d라이브러리
"형태"(으)로 총 6,831건 검색되었습니다.
- [한페이지 뉴스] ‘눈썹코입술턱’ 옆모습 결정하는 유전자 32개 확인과학동아 l2021년 03호
- 결정된다. 영국 유니버시티칼리지런던(UCL) 등 국제 공동연구팀이 이처럼 사람의 옆얼굴 형태에 관여하는 유전자를 무더기로 밝혔다. 연구팀은 브라질, 칠레, 콜롬비아, 멕시코, 페루 등 라틴아메리카에 있는 5개 국가에서 여성 3408명과 남성 2761명의 오른쪽 얼굴을 사진으로 찍은 뒤, 얼굴의 ... ...
- 명화 속 빛의 비밀, 데이터는 알고있다과학동아 l2021년 03호
- 로마로의 회귀를 외치며 정확하고 균형 잡힌 미술을 주장하는 신고전주의 미술, 구체적 형태보다는 느낌과 색채를 중시하는, 현실보다는 인간의 감정을 중시한 낭만주의 미술 사조가 차례로 전개됐다. 이후 사진보다 더 사진 같은 사실주의 미술이 유행했고, 눈에만 보이는 것이 아닌 사람의 ... ...
- AI 공학│ 공정성 수호할 기술 도구들과학동아 l2021년 03호
- 변수의 수치를 바꿔보면 그 변수가 불공정한 결과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 보기 쉬운 형태로 나타나는 것이다.가령 채용 AI에 입력된 한 지원자의 정보에서 성별을 남성에서 여성으로 바꿔보거나, 나이를 20세에서 50세로 바꾸면 성별과 나이가 합격과 불합격을 가르는 데 불공정한 영향을 얼마나 ... ...
- [도전! 섭섭막사 메이커] 99자 그림을 그려 보자! 하모노그래프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장치를 더 발전시킨 ‘하모노그래프’를 만들었어요. 하모노그래프에는 실에 추가 달린 형태의 단진자가 달려 있고, 단진자 끝에는 펜이 연결돼 있어요. 추를 당겼다가 놓으면 펜이 함께 일정하게 움직이며, 단진자의 자취를 그린답니다. 알아보자! 구멍을 바꾸면 99가지 그림을! 섭섭박사가 ... ...
- 20년 만에 실마리 찾았다! 4차원 궁극의 모양수학동아 l2021년 03호
- 켈러 다양체를 리치 흐름에 따라 변화시키면 기껏해야 (n-4)이하 차원의 특이점을 갖는 형태로 수렴한다는 것을 증명해냈습니다. 논문은 무려 6년의 검증을 거쳐 수학계의 인정을 받고 2020년 11월 ‘미분기하학저널’에 게재됐어요. STEP4 해밀턴-티엔 추측의 의미그렇다면 해밀턴-티엔 추측을 ... ...
- [수학체험실] 수학과 거리두기는 이제 그만! 인도의 베다 방진과 베다 도형수학동아 l2021년 03호
- 작성된 베다 경전을 바탕으로 전해내려왔다.베다 수학의 기본 원리는 수의 형태와 특성을 살펴 가장 빠르고 효율적으로 계산하는 방법(수트라)을 찾는 것이다. 수트라를 이용하면 일반적인 계산법보다 5배에서 15배 빠르게 답을 찾을 수 있기 때문에 미국에서는 ‘스피드 수학’이라고도 부른다.베다 ... ...
- [한페이지 뉴스] ‘뭉치면 강한’ 검은벌레 로봇에 활용한다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서로 얽혀서 한 방향으로 이동했다. 이때 각 로봇의 에너지 소비량을 비교해보니 군집 형태로 이동할 때가 개별적으로 이동할 때보다 에너지 소모량이 적었다. 연구에 참여한 다니엘 골드만 연구원은 “캘리포니아 검은벌레의 움직임을 모방하면 로봇끼리 의사소통 없이도 군집을 이뤄 움직이게 ... ...
- [논문탐독] 가상 우주로 은하의 역사를 들여다 보다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자글자글한 무늬가 나타납니다.밀도 차이를 규모 별로 분류하고, 그 규모를 가지는 형태가 얼마나 많은지 표현한 자료를 ‘파워스펙트럼’이라고 합니다. 이를 활용하면 무작위적인 가상 우주를 만들 수 있습니다. 그 뒤 이를 현재까지 진화시키고, 만들어진 가상 우주 가운데 현재의 우리은하와 ... ...
- [헷갈린 과학] 이 정도면 쌍둥이? 시베리안 허스키 vs 알래스칸 맬러뮤트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개들에 비해 모피가 촘촘한 것이 특징이랍니다. 빗자루처럼 생긴 꼬리는 밑으로 쳐진 형태를 하고 있어요. 알래스칸 맬러뮤트 다부진 몸을 자랑하는 사진 속 주인공은 누구일까요? 미국 알래스카에서 마핼뮤트 족과 함께 생활하던 ‘알래스칸 맬러뮤트’라는 개예요. 알래스칸 맬러뮤트는 ... ...
- 역대 최대 규모 북극 탐험 1년간의 기록... 북극 해빙을 헤쳐 나가다과학동아 l2021년 03호
- 북극에서 노르웨이와 그린란드 사이의 프람해협으로 향하는 해빙의 표류 궤적이 직선 형태로 바뀌었다. 이 때문에 2020년 7월에는 폴라스턴호가 정박해 있던 부빙이 붕괴하기에 이르렀고, 우리는 다른 부빙을 찾아 조금 더 북쪽으로 이동해야만 했다.1년에 걸친 탐험은 현재의 위성 원격 탐사 관측 ... ...
이전68697071727374757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