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뇌"(으)로 총 764건 검색되었습니다.
- 내몸으로 열려라 참깨! 바이오인식(1)어린이과학동아 l20080111
- 흐르는데, 이걸 뇌파라고 해. 똑같은 것을 생각하더라도 사람마다 뇌파 신호가 다 다르기 때문에 내 고유한 열쇠가 될 수 있어. 앞으로 뇌파를 이용한 기술이 발전하면 사과를 생각하며 문을 여는 날이 올지도 몰라. 정말 신기하지? {BIMG_R15}심장박동 심장이 뛰면 심장 근육에 미세한 전기가 흘러. 이것을 측정하는 것을 ...
- 내몸으로 열려라 참깨! 바이오인식(2)어린이과학동아 l20080111
-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니 정말 놀라워. 그런데 기계들이 어떻게 날 알아보는 건지 정말 궁금해. 우리 몸을 인식하는 기계의 눈과 뇌를 파헤쳐 보자! 큰그림 보러가기 그렇다면 컴퓨터는 어떻게 생체정보의 특징을 찾아 내는 걸까? 가장 많이 쓰이는 지문과 홍채의 생체정보를 찾는 방법을 자세히 알아보자. 소용돌이를 파헤쳐라 지문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소용 ...
- 고흐에겐 뭔가 특별한 것이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071213
- 밝고, 눈 밑이나 콧속은 어두워서 밝기가 자연스럽지? 다시 원래 자화상을 볼까? 얼굴이 녹색이더라도 밝기가 자연스러우면 우리 뇌는 이상하다고 생각하지 않아. 게다가 노란 계열의 얼굴에 푸른색이나 녹색을 약간 칠하면 바탕에 노란색과 보색인 파란색을 칠해도 전체적으로 조화롭게 보여. 과감하게 색을 칠해 오히려 새로운 느낌의 그림이 된 거야. {BI ...
- 꺄악~! 까마귀 자판기로 돈을 벌겠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071130
- ” “그래서 미국 듀크대학교의 에릭 저비스라는 신경생물학자는 새의 뇌에 대한 새로운 연구결과를 발표하기도 했어요. 새의 뇌가 대부분 원시적인 영역으로 이루어졌다는 이전 학설과 달리, 사람처럼 복잡한 처리를 하는 영역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거예요.” “도구를 만들어 쓰고, 기억력이 뛰어난 데다 대상을 정확히 알아차리는 걸 보면 새의 머 ...
- [천기누설 날름 도사]'혀'씨의 고민을 해결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071114
- 00개 모여 있다. ④ 미각세포는 짠맛, 단맛, 신맛, 쓴맛, 감칠맛 다섯 가지를 느낄 수 있다. 음식물에 섞인 각 맛을 전달받은 미각세포는 뇌로 정보를 전달한다. [소제시작]혀 씨, 당신이 의심스러워![소제끝] 혀 씨는 잘 들으라! 우리의 심층 조사에 따르면 진짜 혀 씨의 모습은 우리가 알고 있는 것과 좀 달랐다! 또한 수상한 점도 몇 가지 ...
- 카이스트 유룡 교수 국가과학자 선정어린이과학동아 l20071114
- 카이스트 화학과의 유룡 교수가 두 번째‘국가과학자’에 선정됐어요. 유룡 교수는 머리카락 굵기의 10만분의 1 크기인 아주 작은 거푸집을 이용해 신기한 나노 물질을 만든 과학자예요. 과학기술부는 유 교수에게 매년 15 ... 개발되면 생각만으로도 컴퓨터를 움직일 수 있을 것이다. 언젠가 등장할 로봇 태권브이를 조종하는 훈이도 위급 상황에서는 자신의 뇌 ...
- 착각하는 뇌, 너 믿어도 되니?(1)어린이과학동아 l20071011
- 거지. 오빠가 아프니 나도 아픈 것이 거짓이 아니었구나. 오빠 나를 위해서라도 어서 나아 줘요! *기능성자기공명영상(fMRI) 장치 : 뇌의 특정 부위에 혈액이 몰릴 때 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해 그 부위를 마치 불이 켜진 것처럼 보여 주는 장치. 어떤 부위가 밝은지에 따라 사람의 감정이나 생각을 알아 낼 수 있다. [소제시작]이남석 박사님이 들려 ...
- 착각하는 뇌, 너 믿어도 되니?(2)어린이과학동아 l20071011
- [소제시작]‘어린이과학동아’를 읽으면 한 시간이 훌쩍~![소제끝] 자야 할 시간이 훌쩍 넘었는데 아직도 잠이 오지 않아. 잠이 오지 않을 땐 역시 책이 최고지. 내가 가장 좋아하는 ‘어린이과학동아’를 읽어 볼까? 팔랑팔랑(책장 넘기는 소리). 앗! 벌 ... 영향을 준다는 의미지. 이래서 짜증나고 저래서 힘들다고 생각하지 말고 이래서 행복하고 저래서 재미있 ...
- 붉은 보름달어린이과학동아 l20070912
- 조건반사 이론을 세웠다. 개에게 먹이를 주면서 종을 울리면 나중에는 먹이를 주지 않고 종만 울려도 개는 침을 흘린다. 개의 뇌가 종소리를 먹이와 연관시키기 때문이다. 파블로프는 이러한 조건반사 이론으로 1904년 노벨생리의학상을 받았다. {BIMG_R12}1901년 9월 29일 물리학자 엔리코 페르미 출생 로마에서 태어난 페르미는 이탈리아와 독 ...
- 남자같은 여자, 여자같은 남자어린이과학동아 l20070912
- 4. 스타일을 살펴라![소제끝] 보통 남자는 수수한 걸 좋아하고 여자는 화려한 것을 좋아하는 경향이 있어요. 이것은 남자와 여자의 뇌가 달라서 그렇다기보다는 사회적, 문화적 영향 때문이에요. 아기 때부터 남자는 파란색이나 하늘색 옷을 입히고 여자는 분홍색이나 빨간색 옷을 입혀요. 그리고 여자에게는 리본이나 구슬 장식도 달아 주죠. 남자가 그런 ...
이전68697071727374757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