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엔지니어링
연구소
유전
과학기술
응용과학
라디오공학
라디오
뉴스
"
공학
"(으)로 총 8,296건 검색되었습니다.
"극한의 우주 환경 견디는 신소재가 뜬다"
2024.08.01
31일(현지시간) 영국 코벤트리 워릭대 더오큘러스관에서 열린 '한국·유럽 과학기술학술대회(EKC 2024)'의 화학
공학
·재료과학 세션에서 공경일 브리 ... 심화하고 있어 고분자
공학
에서도 우주 소재에 관한 연구가 늘고 있다"며 "앞으로 (재료
공학
에서) 가장 주목받는 분야가 될 것"이라고 했다 ... ...
‘인공 미니 망막’으로 망막 기능 재현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4.08.01
기대된다. 강남세브란스병원은 이준원, 변석호 안과 교수와 박장웅 연세대 신소재
공학
과 교수 공동 연구팀이 망막 오가노이드(장기 유사체)에서 3차원 액체 금속 미세전극을 이용해 망막 발달 과정에서의 전기 신호를 분석했다고 1일 밝혔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즈’ ... ...
[뉴스페이스로드] 발사체 기술 IP 소유권 갈등…또다른 '성장통의 서막'(중)
동아사이언스
l
2024.08.01
모색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우주비행체 추진기관 전문가인 김정수 부경대 기계
공학
과 교수도 "한국 우주항공 산업계는 우주 선도국과 비교해 열악한 투자와 체계 속에서 분투하고 있다"며 "크고 작은 기업들이 안심하고 산업에 뛰어들 수 있도록 정부가 명확한 비전을 제시해야 한다"고 ... ...
딱정벌레 날개 모방한 '초소형 로봇' 공중 비행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4.08.01
될 것으로 기대된다. 판 호앙-부 스위스로잔공대 교수와 박훈철 건국대 스마트자동차
공학
부 교수 등이 참여한 국제공동 연구팀은 딱정벌레가 날개를 펼치는 메커니즘을 자세히 규명하고 이를 초소형 로봇에 적용하는 방안을 제한한 연구 결과를 31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발표했다. ... ...
[과기원NOW] KAIST, 신개념 제노-프리 줄기세포 배양 플랫폼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7.31
교수는 '데이터 뉴로모픽 연산가속기'를, 한상윤 DGIST 로봇및기계전자
공학
과 교수는 '뉴로모픽 광학 전이학습 AI 엔진을 위한 이종집적 다중소재 광집적회로 칩렛'을 주제로 글로벌 공동연구를 수행한다. 이건우 DGIST 총장은 "이번 공동연구를 통해 반도체 원천기술 분야에서 글로벌 경쟁력을 더욱 ... ...
8월 과학기술인상에 김창석 교수…악천후에도 문제없는 자율주행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7.31
과기정통부 제공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8월 수상자로 김창석 부산대 광메카트로닉스
공학
과 교수가 선정됐다. 안개·눈·비 등으로 인한 악천후에도 선명한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는 레이저 광원을 개발해 기존 자율주행 자동차 기술의 한계를 극복한 것이 높이 평가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 ...
"딥테크 발전, 길게 보고 가야…정부부처간 협력 필요"
2024.07.31
UCL)의 라마 하마데 박사는 "UCL은 딥테크를 만들 수 있는
공학
자들을 기르기 위해 모든
공학
분야 학생에게 프로그래밍 기술을 가르치고 있다"며 "실제로 프로그래밍과 AI를 통해 항공기 날개를 만들어보는 등 실질적인 교육을 통해 산업 분야에서 필요로 하는 인재를 길러내고 있다"고 했다 ... ...
'과학 자본' 개념 부상…"이공계 인재부족 겪는 韓도 주목해야"
2024.07.31
기조강연과 기초과학, 환경 및 에너지 탄소중립 기술, 생명과학과 건강, 기계 및 항공우주
공학
등에 대한 심포지엄이 개최될 예정이다. 30일(현지시간) 오후 2시 영국 코벤트리 워릭대에서 '한국·유럽 과학기술학술대회(EKC 2024)' 개막식이 열렸다. 한국과학기자협회 공동취재단 ... ...
[뉴스페이스로드] 차세대 발사체 개발에 누리호 참여기업 불만 터졌다(상)
동아사이언스
l
2024.07.31
등 필수적인 예산"이라고 설명했다. 우주비행체 추진기관 전문가인 김정수 부경대 기계
공학
과 교수는 "체계종합기업도 물론 이러한 예산 구조에 대해 사전에 인지를 했겠지만 외부에서 봤을 때는 협력업체들과 하드웨어 개발을 도맡는 기업에 예산이 다소 적게 분배된 것 같다"며 "체계종합기업과 ... ...
[과기원NOW] KAIST, 홀로토모그래피 기술의 첨단바이오 분야 적용 전략 소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7.30
은 이재홍 로봇및기계전자
공학
과 교수 연구팀이 이정승 성균관대 글로벌바이오메디컬
공학
과 교수팀과의 공동연구를 통해 상처 부위의 염증 수준 변화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전자봉합사를 개발했다고 30일 밝혔다. 연구팀은 인체 내부와 외부 상처의 염증 상태를 장기간 모니터링 할 수 ... ...
이전
68
69
70
71
72
73
74
75
7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