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만리경
천리경
쌍안경
축원경
반사망원경
반사
사진망원경
뉴스
"
망원경
"(으)로 총 1,160건 검색되었습니다.
[데이터]블랙홀 포착에 나선 전세계 전파
망원경
들
2019.04.10
유럽남방천문대가 운영하는 남극텔레스코프(SPT). ESO 제공 유럽남방천문대(ESO)가 10일 오후 3시(한국시간 10일 밤 10시) 세계 여섯 곳에서 동시에 진행되는 기자회견을 통해 ... 미국 매사추세츠공대와 독일 막스플랑크 전파천문학연구소로 보내져 분석된다. 전파
망원경
보기 관련링크 ... ...
'인터스텔라 속 블랙홀은 얼마나 사실적일까' 관측결과 오늘밤 첫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19.04.09
메시에 87)'의 중심부에 자리한 거대질량블랙홀이 강한 제트를 내뿜는 모습을 허블우주
망원경
으로 찍었다. 태양 질량의 70억 배 크기로 추정되는 이 블랙홀의 모습이 이번 EHT 프로젝트를 통해 공개될 것으로 알려졌다. 사진제공 NASA 이번 발표에서 정말 사건의 지평선 관측 결과가 나온다면, 이는 ... ...
GPS는 1024주마다 'Y2K' 공포 온다… 6일 美GPS 시간표기 ‘리셋’
동아사이언스
l
2019.04.09
제공하는 정교한 시간 신호를 이용해 이 작업을 수행한다. GPS와 시간 동기화를 하는 전파
망원경
이나 레이저나 빔을 쏴 되돌아오는 시간을 계산해 중성미자 등 우주입자를 검출하는 기초과학 장비도 영향을 받는다. 1999년 이미 한 때 롤오버 이슈를 겪었던 연구자들은 문제가 발생하기 전 장비 ... ...
초대형블랙홀 무더기로 발견
과학동아
l
2019.04.02
위치한 스바루
망원경
과 스페인 라팔마섬의 카나리아대형
망원경
, 칠레의 제미니사우스
망원경
등을 이용해 지난 5년간 300일 이상 퀘이사를 탐색했다. 그 결과, 빅뱅이후 약 8억 년 뒤에 발생한 것으로 추정되는 83개의 퀘이사가 발견됐다. 그중 66개는 그동안 예상하지 않았던 우주 공간에 존재하는 ... ...
인류가 확인한 외계행성 4000개 돌파…후보 2866개도 등재 진행中
동아사이언스
l
2019.03.25
외계 행성 후보군들이 많다. 케플러 우주
망원경
이 발견한 외계행성 2423개와 NASA 테스 우주
망원경
이 발견한 443개 후보군도 있어 발견된 외계행성 숫자는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프랑수아즈 로케스 파리천문대연구소 연구원은 “외계 행성 구조는 엄청난 다양성을 가지고 있다”며 “혼자 ... ...
우리은하 중심에서 뿜어져 나오는 'X선 굴뚝'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9.03.21
천체물리학과 공동연구팀은 유럽우주국(ESA)의 XMN-뉴턴
망원경
과 찬드라 우주
망원경
을 이용해 은하 중심부를 750시간 관찰한 결과, 은하 중심부에 있는 초대형 블랙홀의 위아래로 강력한 X선이 뿜어져 나오는 것을 확인했다. X선 굴뚝의 규모는 블랙홀 위아래로 각각 672광년(160파섹)이나 된다. ... ...
日 다음 탐사대상 소행성 ‘파에톤’ 특성, 국내 연구팀이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3.19
관측했다. 보현산천문대 1.8m 구경
망원경
과 소백산천문대 0.6m
망원경
, 레몬산천문대 1m
망원경
등 국내 관측시설과 대만, 카자흐스탄 등의 국외 연구시설이 이 관측에 동원됐다. 연구팀은 파에톤이 스스로 빛을 내지 않고 태양빛을 반사하며, 공전 및 자전을 하면 반사되는 햇빛의 양이 변한다는 ... ...
2% 아쉬운 국내 첫 외국인 대상 천체관측 프로그램
동아사이언스
l
2019.03.17
0분동안 진행된 프로그램에 내내 참여했던 카리사 스테어 씨는 “1m 반사
망원경
과 중소형
망원경
을 경험하는 그룹을 둘로 나눠 진행했으면 어떨까라고 생각한다”며 “천체관측소의 공간이 매우 비좁았다”며 아쉬움을 토로했다. 언어 문제를 지적하는 참가자들도 있었다. 보나르 씨의 부인인 ... ...
17일 밤하늘에 수백개의 별이 담긴 '여물통'이 뜬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3.10
큰 성단을 육안으로도 희미하게 볼 수 있다. 다만 별들을 하나하나 볼 순 없다. 천체
망원경
을 통해 관찰해야만 100개 이상의 별을 볼 수 있다. 기상청에 따르면 17일은 구름 없이 맑은 날씨가 될 것으로 보인다. 문제는 달이 보름에 가깝다는 점이다. 한국천문연구원 관계자는 “사흘 후인 20일 보름인 ... ...
[블랙홀 그림자 공개 임박] 블랙홀의 그림자를 추적하다
2019.03.10
기여를 하고 있다. 한국천문연구원은 서울대 천문대와 함께 2020년부터 자체 전파
망원경
으로 EHT 프로젝트에 참여할 계획도 갖고 있다. 블랙홀의 비밀을 벗기는 세기의 연구에 한국 천문학계가 기여했다는 점에서 더없는 자긍심을 느낀다. ※필자소개 손봉원. 한국천문연구원 전파천문본부 ... ...
이전
68
69
70
71
72
73
74
75
7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