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미숙아
이형인 사람
기형인 사람
병신
기형
신체이상
뉴스
"
불구
"(으)로 총 1,446건 검색되었습니다.
로봇 동료와 함께 일할 준비 얼마나 됐습니까 (2부)
동아사이언스
l
2020.01.16
로봇 등의 도입이 구조적 실업과 노동 소득 감소로 이어질 것이라는 일부 연구에도
불구
하고, 구조적 실업이 증가하지 않을 것이며 노동이 상당 부분 혜택을 얻을 것으로 보는 분석이 설득력을 점점 얻어가고 있다. ... ...
로봇동료와 함께 일할 준비 얼마나 됐습니까 (1부)
동아사이언스
l
2020.01.15
근로자 1만명 당 로봇 보급 대수 국가마다 로봇 도입 패턴 달라 이런 어려움에도
불구
하고 차세대 생산 체계를 뒷받침할 신기술은 계속해서 개발되고 있고 점점 더 많은 현장에 도입되고 있다.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측정 항목은 근로자수 대비 산업용 로봇의 수다. IFR에 따르면 근로자 1만 ... ...
출연연 현안 산적한데…손놓은 국가과학기술연구회
동아사이언스
l
2020.01.14
하지 않는 이상 정원을 늘리기는 어렵게 됐다”며 “이같은 현안들이 산적함에도
불구
하고 연구회의 조정 기능이나 정책적 차원의 문제해결 의지가 실종된 지 오래 됐다”고 말했다. 소속 기관들이 다양한 현안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사이 연구회의 몸집만 더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공공기관 ... ...
기존 항생제 ‘젊은 치매’ 치료 효과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13
항생제 G418를 첨가하는 실험을 했다. 그 결과 세포는 돌연변이가 있음에도
불구
하고 프로그래뉼린을 생성했다. 매튜 젠트리 켄터키대 의대 분자및세포생화학과 교수는 "돌연변이가 없는 정상적인 세포가 만드는 프로그래뉼린의 50~60%를 생성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며 "항생제 분자가 세포 내 ... ...
호모 에렉투스, 동남아 진출 기존 예측보다 늦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12
살았다. 100종이 넘는 생물종이 화석으로 발견되기도 했다. 하지만 이런 중요성에도
불구
하고 그동안 연대 측정 결과가 연구에 따라 크게 차이가 나면서 논란이 많았다. 170만 년 전에 처음 나왔다는 연구부터, 90만 년 전에 나왔다는 의견까지 다양했다. 연구팀은 호모 에렉투스가 처음 등장하기 ... ...
[표지로 읽는 과학] 교육 불평등과 아이 성장 수준 담은 지도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11
등 상대적으로 부유한 지역이 비율 상승을 주도했다. 나이지리아는 이러한 성장세에도
불구
하고 2017년 기준 여전히 가장 불평등한 국가 중 하나였다. 연구팀은 ‘어린이 성장 실패(CGF)’도 지도화했다. CGF는 5세 이하 어린이 중 키와 몸무게가 작고 발육이 부족하며 저체중인 경우로 정의했다. ... ...
[함께 봐요 CES] 휴지 배달 로봇부터 공기 없는 타이어까지
동아사이언스
l
2020.01.07
시식 행사를 열었다. 당시 임파서블푸즈는 100% 식물성 재료로 패티를 제작했음에도
불구
하고 육류의 풍미를 잘 살렸고 영양학적으로도 우수하다는 점에서 ‘가장 인상적인 제품’ ‘최고 중의 최고’ 등 언론의 극찬을 받았다. ‘CES 톱 테크’ 디지털 트렌드 분야 우승자로 선정되기도 했다. ... ...
김명준 ETRI 원장·박천홍 기계연 원장 등 45人 공학한림원 신규 정회원
동아사이언스
l
2020.01.06
정회원 가운데 3명(7%)의 여성 회원이 선정된 지난해에 비해 소폭 늘어났지만, 노력에도
불구
하고 아직 여성 신규회원의 비중이 10%를 넘지 않아 여성에게 아직 척박한 공학계 현실을 보여줬다. 다만 차기 정회원 선정의 후보인 일반회원의 올해 신규 회원은 68명 가운데 여성이 7명으로 10%를 넘었다. ... ...
中당국 우한 폐렴 사태 발빠른 공개
불구
, 관리 허술 곳곳서 포착
동아사이언스
l
2020.01.06
찾기 위해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하지만 중국 당국의 발빠른 정보 공개 노력에도
불구
하고 환자 관리에선 허점이 여전히 드러나고 있다. 우한시 보건당국은 환자 전원을 격리하고 접촉을 제한하고 있으나 현장에선 통제가 잘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지적이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냄새와 페로몬에 대한 우리 뇌의 ‘극단적인 융통성’
2019.12.31
페로몬을 이용해 무의식적인 의사소통을 함을 시사하는 많은 연구결과가 나와 있음에도
불구
하고 지금까지 필자가 선뜻 받아들이지 못한 건 이를 관장하는 서비골기관의 존재 여부가 여전히 논란 중이고 설사 있더라도 퇴화한 흔적 기관으로 기능을 하지 못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그러나 ... ...
이전
68
69
70
71
72
73
74
75
7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