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입
이익
이득
수확
수입금
유익
이입
뉴스
"
소득
"(으)로 총 797건 검색되었습니다.
“의사 그만두고 더 많은 사람 도울 ‘스마트 벨트’ 만들어요”
2015.03.25
지원을 받아 건강관리 헬스앱을 만드는 청년벤처에 뛰어들었다. 공중보건의 복무 중 저
소득
중장년층의 건강을 원격 관리하기 위해 매년 30억 원이 투입되는 ‘건강관리서비스’의 반응이 미진한 데서 아이디어를 얻었다. 기존 운동 관련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앱)에 게임을 더해 운동을 할수록 ... ...
[미래를 듣는다 1] “낙후된 중소기업과 교육 살려야”
2015.03.22
살고,
소득
의 양극화가 해소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역대 정부가 이 부분에서 실질적으로
소득
을 거둔 게 없습니다. 둘째는 교육입니다. 대학은 사회에 도움이 되는 인재, 앞으로 과학기술을 세계적인 수준으로 올려놓을 인재를 배출하는 데 목표를 맞춰야 하는데, 현재는 입시제도에 가로막혀 그런 ... ...
여성 수학자가 부족한 이유는 선생님 때문?
수학동아
l
2015.02.18
점점 수학에 대한 흥미를 잃고 진로도 수학과 관계없는 분야를 택했습니다. 특히 저
소득
층이거나 어머니의 학력이 아버지보다 낮은 경우 이런 경향이 두드러졌습니다. 연구팀을 이끈 빅터 레비 워릭대 교수는 “이번 연구는 교사의 편견이 남학생과 여학생의 수학성적 차이를 불러온다는 점을 보여 ... ...
서울교육청 “자사고 2015년 100% 추첨 선발”
동아일보
l
2015.01.30
초등학교 부지나 건물 등을 활용해 9곳의 새 유치원을 지을 예정이다. 또 법정저
소득
층 차상위계층 자녀에게 공립유치원 입학 시 우선권을 부여하기로 했다. 자율형사립고(자사고)는 기존의 ‘추첨+면접’ 방식의 입학전형을 완전추첨제로 바꾸고 면접권을 박탈하겠다고 밝혀 갈등이 예상된다. 현재 ... ...
수학 잘 하고 싶으면 아침 드세요
수학동아
l
2015.01.20
5점 올랐다. 양 교사는 “9시 등교 정책의 시행 근거 중 하나가 아침밥 효과”라며, “저
소득
층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아침 급식 프로그램을 운영해야 한다”고 말했다 ... ...
끈이론으로부터 물리학을 지키자?
2015.01.05
그러나 아인슈인은 인생 후반기 30여년을 통일장이론 연구에 전념했지만 결국 별
소득
을 거두지 못했다. 그런데 1980년대 중반부터 연구되기 시작한 끈이론도 같은 길을 걷고 있다는 게 저자의 시각이다. 즉 일반상대성이론이나 디랙방정식 같은 승리를 꿈꾸고 있지만 지난 20년 동안(책을 ... ...
안방에서 스마트폰으로 농장일 척척
2014.12.17
온실의 온도 변화를 기존 10도 수준에서 3도 내외로 정밀하게 관리할 수 있게 되면서
소득
이 52%나 늘었다. 현재 국내 5만1000ha(헥타르·1ha는 1만 ㎡)의 온실 가운데 1만ha에 스마트팜 기술이 보급돼 있지만 대부분 대농장 중심으로 비싼 네덜란드산 기술이 적용돼 있다. 정부는 국내 환경에 맞는 ... ...
농업은 내 운명
동아사이언스
l
2014.12.09
더욱 보람 있는 이유는 연구를 현장에서 바로 접목할 수 있다는 점이에요. 이는 농가
소득
증대로 이어질 수 있어요. 농사의 효율성을 추구하면서 경제적으로 이득을 높일 수 있죠. 농업인분들을 직접 대면하면서 연구를 진행하는 과정은 정말 즐겁고 보람 있어요.” 여성이 기피할 수 있는 현장 ... ...
국운(國運) 건 각축전, 아시아 국가 달탐사 경쟁 2라운드 돌입
2014.11.28
미국뿐이다. ●도전 거세지는 인도, 달 탐사 재개하는 일본 인도는 국민
소득
에서는 빈곤국으로 분류되지만 달 탐사 역량은 선진국 수준이다. 2008년 ‘찬드라얀 1호’를 달 궤도로 보내면서 달 탐사 성공국 반열에 올랐다. 이 실험으로 달에서 물과 얼음을 발견하면서 인도의 우주 탐사는 ... ...
애벌레 한번 잡숴봐~
2014.10.08
연구사는 “이번에 흰점박이꽃무지 애벌레가 식품원료로 추가되며 곤충사육농가의
소득
증대와 곤충 산업의 활성화는 물론 미래 식량문제 해결에도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농림축산식품부와 농촌진흥청은 장수풍뎅이와 귀뚜라미도 식용화를 위해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 ...
이전
68
69
70
71
72
73
74
75
7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