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장
자계
뉴스
"
자기장
"(으)로 총 793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에 ‘아폴로 플랜트’ 지으면 어떨까요”
2015.03.23
붙어 있다. 이 군은 “지구는 우주에서 날아오는 유해한 우주선(線)과 자외선 등을 지구
자기장
이 막아주지만 우주에는 이런 방어막이 없다”면서 “자외선과 우주선은 차단하고 인간이 생존하는 데 필요한 태양광과 태양열을 공급하는 우주 발전소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우주의 ... ...
손목에 차기만 하면…
자기장
-음파로 암세포 제거
동아일보
l
2015.03.20
구글 측은 신경퇴행성 질환인 파킨슨병에 걸린 사람이 이 기기를 손목에 차면 발사된
자기장
이 파킨슨병의 원인이 되는 단백질을 제거하거나 성질을 변형시켜 병의 진행 속도를 늦출 수 있다고 밝혔다. 또 암세포를 변형시키거나 파괴해 암의 전이까지 막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구글은 새로 개발한 ... ...
한 달 만에 2290km 이동하는 바다거북의 비밀
2015.03.16
후보에서 제외됐다. 더지 연구원은 “바다거북도 새 등 다른 동물처럼 지구의
자기장
과 태양의 위치를 나침반 삼아 움직이는 것 같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프로시딩즈 오브 더 로얄소사이어티B(Proceedings of the Royal Society B)’ 11일자에 실렸다. ... ...
목성의 달 ‘가니메데’ 밑에 지구보다 더 큰 바다 숨었다
2015.03.16
생긴다. NASA팀이 이 오로라의 사진을 분석한 결과 소금물이 존재할 때 나타나는 보조
자기장
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가니메데는 목성의 주위를 도는 위성이지만 지구의 절반 정도로 크기가 크다. 이번에 발견한 바다는 수심이 지구보다 10배가량 깊은 97㎞ 정도로, 두꺼운 얼음층(약 153㎞) ... ...
갤럭시s6 탁자에서 충전?… 앞으론 자동충전 세상온다
2015.03.05
S6는 전자기유도를 활용해 전기를 충전한다. 전류가 흐르면 주변에
자기장
이 생기고, 이
자기장
이 다른 전선에 전류를 흐르게 만드는 원리를 이용했다. 이미 전동칫솔 등에 이 방식이 쓰이고 있지만 휴대전화에 적용된 건 이번이 처음이다. 다만 전자기유도방식은 수mm 만 떨어져도 충전이 불가능해 ... ...
보글보글 공기방울에서 전기 만들었다
2015.03.03
이용해 공기방울을 집어넣었다. 그 결과 공기방울 때문에 자기유체가 움직이며 주변의
자기장
이 바뀌고 그 영향으로 전기가 생산됐다. 연구팀은 “실험실에서는 3~5mL의 소량의 자기유체에서 발전을 했기 때문에 발전량이 많지 않았지만 1L 규모에서는 발광다이오드(LED)를 켤 수 있을 정도의 전기를 ... ...
호주 바다에 나타난 ‘마귀할멈’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2.20
마귀상어의 우스꽝스럽게 긴 코는 마귀상어가 살아가기 위해 꼭 필요한 기관이에요.
자기장
의 방향과 세기를 감지할 수 있는 ‘로렌치니 기관’이거든요. 최근에는 마귀상어가 이 코로 미세한 전류를 감지한다는 사실도 밝혀졌지요. 그래서 시각과 후각이 퇴화한 상태에서도 마귀상어는 ... ...
티베트인은 중국인과 같은 민족일까
2015.02.15
교수는 레이저 빛을 꼬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진행하는 빛의 구성 성분인 전기장과
자기장
의 상태를 변화시켜서 빛의 성분이 나선 모양으로 꼬인 채 진행시키는 것이다. 파제트 교수는 이 기술을 이용하면 빛으로 디지털 정보를 암호화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피에르 베리니 캐나다 ... ...
막대기를 움직인 건 수맥인가 내 마음인가?
과학동아
l
2015.02.10
막대기가 회전하는 원리는 과학적으로 입증되지 않았습니다. 물속에 녹아 있는 이온이
자기장
을 만들어 금속 막대기를 움직인다는 주장도 있지만, 어림없는 소리입니다. 폭포 옆에 나침반을 가져가면 바늘이 핑핑 돌기라도 한단 겁니까? 현재로서는 무의식적으로, 혹은 암시에 의해 손을 움직이고 ... ...
양자역학에 나비효과는 없다
2015.02.08
놓인 전자의 전기전도도는 외부
자기장
의 크기에 따라 역시 불연속적으로 변한다. 강한
자기장
과 전자가 결합하여 새로운 상태가 형성되기 때문이다. 이를 양자홀 효과라고 한다. 1985년 폰 클리칭, 1998년 로버트 러플린 등이 이 연구로 노벨 물리학상을 받았다(러플린은 2004년부터 2년간 카이스트의 ... ...
이전
68
69
70
71
72
73
74
75
7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