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반
평범
범용
보편
보통개념
개념
예사
스페셜
"
보통
"(으)로 총 1,010건 검색되었습니다.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자존감의 계란’을 한 바구니에 담지 마라
2018.01.20
특징들은 늘 동일하기보다 상황과 역할에 따라 크게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자기 개념은
보통
다면적(multifaced)인 경향을 보인다. 자기 개념을 내용별로 보면 크게 특정 사건이나 행동(나는 매일 5시간 운동한다), 꾸준히 관찰되는 자신의 일반적 특성(나는 성실한 학생), 성격(외향적인), 역할(엄마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술이 안 받는 사람은 안 먹는 게 낫다!
2018.01.16
아세트산으로 100% 바꿀 수는 없기 때문에 DNA는 조금이라도 손상을 입기 마련이다. 다만
보통
사람들은 이를 복구하는 시스템이 있기 때문에 큰 문제로 이어지지 않는 것이다. 그렇다면 Aldh2 유전자의 변이형과 판코니 빈혈의 원인 가운데 하나인 Fancd2 유전자의 변이형을 동시에 지닐 경우 알데히드의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나만 친구 없어! 나만 불행해! 라는 생각이 찾아올 때
2018.01.13
사람과 비교하도록 했을 때 전자의 사람들은 자신의 사회성을 나쁘게 평가했지만 후자는
보통
으로 평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나만 친구가 없다고 느껴지는 것은 애초에 비교의 기준이 지나치게 편향되어 있어서 생기는 착각에 가깝다는 것이다. 또한 우리가 속속들이 사정을 알 수 있는 것은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남의 시선과 의무감을 벗어던질 때 최고의 성과가 나온다
2018.01.06
걱정근심이 모두 사라지고 시간의 변화 조차 느껴지지 않는 몰입 상태를 경험하곤 한다.
보통
이런 활동들은 굳이 누가 칭찬해주든 칭찬해주지 않든 전혀 상관 없이 계속해서 하게 되는 것들이다. 누가뭐라고 해도 내가 좋으니까. 당신은 타인의 인정이나 돈 같은 외적 보상과 상관 없이 그냥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카페라테의 유체역학
2018.01.02
즐겨 마시지만 오늘의 주인공은 라테다. ● 레이어드 라테를 아시나요?
보통
라테는 핫이냐 아이스냐에 따라 만드는 순서가 다르다. 뜨거운 라테는 잔에 먼저 에스프레소를 넣고 스팀으로 데운 우유를 붓는다. 적은 양을 먼저 넣고 많은 양을 나중에 넣어야 잘 섞이기 때문이다. 반면 ... ...
자율주행 자동차 언제 개발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17.12.17
또한 주행한 거리의 5분의 1에는 운전 기사를 제외한 사람이 아무도 타고 있지 않았다.
보통
고령자는 새로운 기술을 받아들이는 속도가 느리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실험 결과 은퇴한 고령자는 실험 이후 저녁 운전을 3배 이상 많이 했고, 장기 여행 횟수도 2배 늘었다. 워커는 “고령자의 경우 ... ...
강석기의 과학카페ㅣ기다리다 지친 과학자, 반합성(semi-synthetic) 생명체 만들다!
2017.12.06
안에 집어넣은 뒤 배양을 했다. 플라스미드는 대장균 안에서 게놈과는 별도로 복제해
보통
세포 당 수십 카피가 된다. 만일 증식한 대장균에서 추출한 플라스미드가 여전히 X:Y 염기쌍을 하나 갖고 있다면 대장균에서 플라스미드 복제가 일어날 때 DNA중합효소가 세포 안에 있는 비정규 염기 분자들( ... ...
빙하가 무너져 내리는 '얼음 사태' 그 원인은?
동아사이언스
l
2017.12.03
고인 물은 빙하가 갈라져 생긴 좁고 긴 틈(크레바스)을 통해 빙하 바닥까지 침투한다.
보통
의 빙하는 이런 과정이 천천히 이루어져 바닥에 물이 빙하 바깥으로 빠져나갈 수 있는 물길이 만들어져 있다. 그러나 한꺼번에 많은 물이 빙하 표면에 생겨났을 경우에는 크레바스를 통해 물이 빙하 바닥에 ... ...
강석기의 과학카페ㅣ똑똑한 사람의 뇌는 뭐가 다를까
2017.11.29
쉬고 있을 때 찍은 fMRI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모듈의 개수는 평균 3.5개로 나타났다.
보통
대뇌피질을 전두엽, 두정엽, 측두엽, 후두엽으로 나누는데 비슷한 맥락이다. 그리고 모듈 하나에 대략 1500개의 노드가 존재했다. 노드는 같은 모듈의 노드들과 상호작용하기도 하고 다른 모듈의 노드들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구충제로 항암 효과도 얻는다?
2017.11.21
의아해했다. 이에 대해 기생충학자인 단국대 의대 서민 교수는 “27㎝짜리 회충은
보통
크기”라며 별일 아니라고 촌평했다. 바꿔 말하면 우리나라 사람의 몸에서 회충 같은 기생충이 없어진지 하도 오래됐기 때문에 전문가가 아니고서는 의사들도 본 적이 없다는 말이다. 사실 필자가 어렸을 때만 ... ...
이전
68
69
70
71
72
73
74
75
7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