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설
원리
주의
체계
설
원론
견해
스페셜
"
이론
"(으)로 총 830건 검색되었습니다.
머리 겔만과 펜타쿼크
2015.07.27
수학적 쿼크는 영원히 갇혀 있기 때문에 보이지 않지만 그런 특성을 통해서 우리가 볼 수 있는 현실적 입자들을 만들어낸다. - 머리 겔만 ... 올해 78세인 츠바이크는 2015년 사쿠라이상을 단독수상했다. 1985년 제정된 사쿠라이상은
이론
입자물리학에 공헌한 물리학자에게 주어진다. ... ...
우리나라 최초의 화학박사, 이태규
KISTI
l
2015.06.23
공부한 결과라고 전하고 있다. ■ 예리한 관찰과 끊임없는 노력 ‘리-아이링
이론
’으로 그는 학계의 주목을 받았고, 그와 그의 아들, 그리고 헨리 아이링이 공동으로 참여한 수송현상(輸送現象)의 완화원리는 미국 화학회의 산업 및 공업화학분과로부터 상패를 받기도 했다. 또한 ... ...
병원체에 대한 고찰
2015.06.22
워낙 강했기 때문이다. 원래 이들 질환은 ‘기질의 병’으로 여겨졌지만 19세기 후반 세균
이론
이 나오면서 연구자들이 병원체 사냥에 몰두했고 다른 가능성을 시사하는 연구결과들은 무시한 결과다. 다시 기고문으로 돌아와서, 카사데발과 피로프스키는 절대적인 병원체도 없고 절대적인 유익균 ... ...
창조성의 대가는 정신질환?
2015.06.15
‘인명(人命)은 재천(在天)’이라는 옛사람들의 말이 떠올랐다. 1950년 22살 때 발표한 게임
이론
으로 1994년 노벨경제학상을 받은 내쉬는 수학분야의 노벨상이라는 아벨상 올해 수상자로 선정됐다. 아내 알리샤와 함께 노르웨이를 방문해 상을 받고 귀국해 택시를 타고 자택으로 가다가 그만 ... ...
잃어버린 기억을 찾아서…
2015.06.08
한 사람은 존 바딘으로 1956년 트랜지스터 개발로 물리학상을 받았고 1972년 초전도현상
이론
연구로 두 번째 물리학상을 받았다. 다른 한 사람은 프레더릭 생어로 1958년 인슐린의 아미노산 서열을 규명해 화학상을 받았고 1980년 핵산의 염기서열분석법을 개발해 역시 화학상을 받았다. 도네가와 역시 ... ...
SF에 나타난 원자력 에너지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5.29
묘사한 SF에서 익숙한 설정으로 자리 잡게 된다. 게다가 1905년에 아인슈타인이 상대성
이론
을 통해 에너지-질량 등가 방정식(E=mc²)을 내놓으면서 SF작가들은 무한에너지라는 매력적인 아이디어를 너나없이 끌어다 쓰기에 이르렀다. 어스타운딩 SF의 1949년 11월판. 1940년대에 이르면 원자력 에너지는 ... ...
고세균 로키, 진핵세포 진화의 잃어버린 고리인가
2015.05.11
세포의 형태변화에 관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린 마굴리스의 연속 세포내공생
이론
은 각론에서 다수가 버려졌지만 미토콘드리아와 엽록체 공생 가설은 더 확고해졌다. 그럼에도 여기에는 해결하지 못한 근본적인 문제가 있었으니, 바로 지금까지 알려진 원핵생물을 놓고 봤을 때 원핵생물(또는 ... ...
힉스 이후, 한국인이 제안한 3대 입자가 이끈다
IBS
l
2015.05.06
에너지의 크기다.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 LHC의 양성자 빔 출력이 8TeV였는데 자기홀극의
이론
적인 질량을 계산해 보면 5~7TeV/c2 정도라고 한다. 자기홀극은 하나의 극을 갖는 대신 두 개가 한 쌍씩 나오니, 한 번에 관측할 입자의 질량이 10~14TeV/c2 사이라는 뜻이다. LHC가 2013년부터 업그레이드에 ... ...
자연은 진공을 싫어하는가?
IBS
l
2015.03.26
연구팀. 최기운 단장은 입자물리학 분야의 석학으로 ‘초대칭 깨짐’에 대한 새로운
이론
을 발견하여 큰 주목을 받은 바 있다. 최 단장은 IBS에서의 연구를 통해 우주를 이루는 모든 힘을 통합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그러자면 우주의 기원과 텅 빈 공간에서 일어나는 요동들에 대해 분명한 ... ...
쌍둥이에 관한 오해와 진실
KISTI
l
2015.03.10
형제가 빠르게 움직이는 물체일수록 시간이 느리게 간다는 아인슈타인의 ‘특수상대성
이론
’을 증명할 수 있을지, 후성유전학의 실마리를 제공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 ...
이전
68
69
70
71
72
73
74
75
7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