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초
처음
요람기
초창기
초대
단서
시작
스페셜
"
초기
"(으)로 총 1,644건 검색되었습니다.
코로나19 신규 확진 657명…23일 만에 600명대
동아사이언스
l
2021.01.03
경우 시설 종사자 대다수가 확진되고, 이들의 가족과 지인으로 2, 3차 전파가 일어나
초기
에 확산을 차단하지 못하면 지역사회 감염으로 이어질 우려가 크다. 방역 당국은 영국에서 처음 보고된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의 국내 확산 차단 여부도 향후 코로나19 확산세를 결정할 중요한 요소 중 ... ...
[프리미엄 리포트]영면에 들어간 천문학의 노병들
과학동아
l
2021.01.02
이외에도 팽창 우주론의 결정적인 증거가 된 초신성 관측, 소행성대의 진화 추적, 탄생
초기
의 별 관측 등 천문학계의 굵직한 발견 뒤에 허블우주망원경이 있었다. 천문학자들은 허블우주망원경이 관측한 자료로 암흑물질도 찾고 있다. 암흑물질은 우주 전역에 분포하지만 빛을 흡수하거나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팬데믹의 희망과 과학자의 고난
2020.12.31
이끈 과학자들을 영웅이라며 치켜세웠다. 거기엔 세계보건기구(WHO) 사무총장과 각국에서
초기
코로나 방역을 주도한 의학자와 과학자의 이름이 쓰였다. 하지만 네이처의 영웅주의는 코로나19와의 승리에 진정으로 기여한 무명의 과학자들의 이름을 기록하지 않았다. 하지만 카탈린 카리코와 ... ...
중수본 "요양병원 집단감염 발생하면 긴급대응팀 투입할 것"
동아사이언스
l
2020.12.30
30일 정례 브리핑에서 “고령자가 많고 감염에 취약한 요양병원과 시설은
초기
에 빠른 개입과 조치가 필요한 만큼 중앙정부 차원에서 개입해 지자체와 해당 병원에 필요한 자원을 제공하겠다”며 “오늘부터 중수본 내에 긴급현장대응팀 3개 팀을 구성해 운영한다”고 밝혔다. ... ...
올해의 10대 과학뉴스에 한국산 진단키트·세계 첫 코로나19 유전자 지도 완성
동아사이언스
l
2020.12.29
번째로는 ‘코로나19 유행 속 발빠른 한국산 진단키트’가 꼽혔다. 한국은 코로나19 확산
초기
였던 2월 초 감염 여부를 6시간 만에 확인할 수 있는 진단키트를 보급해 빠른 진단과 대응을 방역 전략으로 삼았다. 한국 진단키트는 190여 개 제품이 수출용으로 허가됐고, 전세계 170여 개국에 4억 9679만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벤자민 버튼의 시간은 거꾸로 갈 수 있을까
2020.12.29
야마나카 인자 가운데 암을 유발하는 효과가 가장 큰 c-Myc을 뺀 나머지 셋(OSK)으로 개체의
초기
재프로그래밍이 가능한지 알아봤다. 유전자 세 개를 넣은 생쥐는 약물로 유전자를 켜고 끄는 일을 반복해도 종양이 생기지 않았다. 연구자들은 현재 이 생쥐의 노화실험을 진행하고 있는데 결과가 ... ...
[의학바이오게시판] 삼성서울병원, AI 신규 감염병 대응 실증랩 개소 外
동아사이언스
l
2020.12.29
프로젝트 일환으로 이번 실증랩 개소가 추진됐다. ■메디인테크는 퓨처플레이로부터
초기
단계 투자를 유치했다고 28일 밝혔다. 메디인테크는 한국전기연구원 창업기업으로 의료용 내시경 시스템을 개발한다. 기존 업계에서 사용되던 검진용 기계식 내시경은 많은 내시경 의사들에게서 근골격계 ... ...
英 변이 바이러스 어떻게 찾아냈나…유전체 염기 3만 개 해독
동아사이언스
l
2020.12.28
번째 아미노산인 아스파르트산(D)이 글라이신(G)으로 변이가 일어난 것으로 코로나19 유행
초기
에는 D614 바이러스가 대부분이었지만 지금은 D614G가 전파를 주도하고 있다. ●NGS 이용해 유전체 전체 염기서열 해독 방역 당국은 바이러스 변이를 확인하기 위해 전장 유전체 검사법을 사용하고 ... ...
영국 변이 코로나바이러스 지금까지 알아낸 것과 아직 모르는 것
동아사이언스
l
2020.12.28
실제로 코로나19 사태 이후 변이 바이러스는 계속해서 등장하고 있다. 코로나19 유행
초기
에는 RBD의 614번 아미노산이 아스파르트산(D)인 D614인 바이러스가 대부분이었지만, 지금은 글라이신(G)으로 변이가 일어난 D614G 바이러스가 전파를 주도하고 있다. 안 교수는 “엄밀한 의미에서 지금까지 ... ...
'60%부터 90%까지' 계속 바뀌는 집단면역 기준…전문가들도 확신 잃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27
소장도 계속 바뀌는 집단면역 형성 기준을 내놓은 것이다. 파우치 소장은 코로나19 사태
초기
때 전체 인구의 60~70%가 항체를 가져야 집단면역이 형성된다고 했으나 한달 전쯤인 11월에는 70~75%로 이를 상향했다. 그러다가 또 한번 80~85%로 높였고, 이달 25일에는 최대 90%까지도 기준이 올라갈 수 있다고 ... ...
이전
68
69
70
71
72
73
74
75
7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