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사
탐험
연구
답사
탐방
탐구
현지답사
스페셜
"
탐사
"(으)로 총 771건 검색되었습니다.
”누구나 편리하게 위성자료를 활용할 수 있어야 합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15.11.12
위성의 자료가 현실과는 오차가 없는지 정기적으로 점검하고 보정해야 하기 때문에 현장
탐사
가 반드시 필요하다. 사진은 2012년 진행된 현장공동관측. 사실 위성데이터 활용 기반이 약한 편입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위성 개발과 발사 성공이 우선적인 목표다 보니 데이터를 필요에 맞게 활용하는 ... ...
중국, 해양위성 활용 지속 증가
2015.11.12
이어 5월 8일에는 러시아와 위성항법시스템분야 협력추진으로 지구원격
탐사
테이터 수집을 위한 인프라구축과 위성항법시스템 기술이전을 쿠바, 니카라과, 베트남 등 개도국에 진행했다. 중국은 해양위성을 지속적으로 자체 개발하고 발사하여 해양위성의 활용범위를 지속적으로 확장하고 있다. ... ...
화성
탐사
의 심리학
2015.10.19
모르는 남녀 사이의 ‘긴장’을 우려해서라고 한다. 계획대로 2030년대 NASA의 화성
탐사
가 이루어진다면 어떤 기준으로 대원들을 뽑을지 벌써부터 궁금해진다. ... ...
호모 날레디, 고인류학을 비추는 별이 될까
2015.09.14
신종으로 명명하기가 쉽지 않았을 것이다. 2013년 9월 동굴탐험가들이 뜨는 별 동굴을
탐사
하다 지하 30m 공간(별들의 방)에서 호모 날레디 화석을 처음 발견했다(왼쪽 빨간 점). 이들 인류가 어떻게 이곳에 놓이게 됐는지는 미스터리다. - eLife 제공 ● 오스트랄로피테쿠스속과 호모속의 ... ...
우주개발과 원자력 기술의 역사와 오늘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8.18
전문가들은 이 기술이 실용화되면 우주인이 오랜 시간 머무를 수 있는 화성유인
탐사
선이나 우주기지, 우주정거장을 가능하게 만들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원자력 기술이 본격적인 우주여행 시대를 열지도 모르겠다. * 본 기사는 한국원자력문화재단의 아톰스토리(http://atomstory.or.kr)에서 ... ...
2039년, 여름휴가는 화성으로?
KISTI
l
2015.05.19
상황이다. 특히 인도는 2년 전에 아시아 국가로서는 최초이자 세계에서 네 번째로 화성
탐사
선인 ‘망갈리안(Mangalian)’ 발사에 성공해 세계를 놀라게 한 바 있다. 망갈리안은 발사 후 약 300일을 날아 지난해 화성 궤도 진입에 성공했고, 현재는 화성에 대한 소중한 정보들을 지구로 보내주고 있다. ... ...
수성
탐사
선 ‘메신저’여 편히 잠드소서!
2015.05.04
mercury, 수성의 영어명)의 직업인 전령(messenger)을 뜻하기도 한다.
탐사
의 난관이란
탐사
선이 수성을 향해갈 때 점점 가속도가 붙어(태양에도 가까워지므로) 수성 궤도에 진입하기가 어렵다는 것. 감속을 시키려면 연료를 잔뜩 싣고 가야 한다. 연구자들은 메신저의 궤도를 교묘하게 설계해 이 문제를 ... ...
韓中 백두산 폭발 대비 구멍뚫어
탐사
나선다
2015.04.02
양측의 협력이 한중 관계에 시너지를 낼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 측은 향후 백두산
탐사
에 일본도 참여시켜 한중일 프로젝트로 확대시킬 계획도 갖고 있다. 이 연구원은 “학계에서는 일본 열도가 형성되는 과정에서 백두산이 탄생한 것으로 보고 있다”면서 “한중일 3국이 공동 연구를 ... ...
지구의 그 많은 물은 다 어디서 왔을까
2015.02.09
접근해
탐사
로봇 필레까지 상륙시킨 로제타는 지금도 혜성 주위를 돌면서 여전히
탐사
를 진행하고 있다. 또 혜성이 태양을 향해 오고 있기 때문에 현재 배터리가 나가 잠자고 있는 필레도 충전이 돼 다시 깨어나 활동할지도 모른다. 특집에 실린 논문 8편을 훑어보다가 혜성 67P에 있는 물분자의 ... ...
로제타호가 혜성에 닿기까지
KISTI
l
2015.01.26
그늘진 곳 자리 잡았다. 이에 태양 전지판이 전기를 만들지 못해 배터리의 방전으로 잠깐
탐사
활동을 진행한 후 신호가 끊어지고 말았다. 추후 이 지역에 태양빛이 들어오게 된다면 필레가 다시 살아날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혜성이 점차 태양에 가까워짐에 따라 표면에서 가스와 먼지를 ... ...
이전
68
69
70
71
72
73
74
75
7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