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비율
한도
범위
노정
역정
여정
여행길
d라이브러리
"
정도
"(으)로 총 12,223건 검색되었습니다.
빛의 마술봉으로 사라지는 그림
과학동아
l
200104
물질에 따라서 두 물질의 경계면에서 빛이 꺾이는
정도
가 다르다. 물질마다 다른 굴절
정도
를‘굴절률’이라고 한다. 즉 공기 중에서 같은 입사각으로 입사하더라도 물보다는 유리 속에서, 유리보다는 다이아몬드 속에서 더 크게 꺾인다.한편 빛이 물(큰 굴절률의 매질)에서 공기(작은 굴절률의 매질 ... ...
농구 막슛 65% 성공률의 비밀
과학동아
l
200103
링보다 작기 때문에 슛을 성공시키기 위해 꼭 완벽한 궤도가 필요한 것은 아니다. 어느
정도
여지가 있다. 주어진 투사각에서 바스켓의 중앙으로 지나가는 궤도를 만드는 특정한 투사속력이 있다. 이보다 약간 느린 속력의 슛은 바스켓의 중앙보다 앞에 떨어지지만 링에 닿지 않거나 링을 건드리면서 ... ...
PART 4. 프로펠러 달고 몸 속 누비는 생체기계
과학동아
l
200103
형광분자를 각각 생체분자에 붙여놓으면, 생체분자의 운동은 두개의 형광분자의 형광
정도
를 변화시킨다. 가위의 양날 모양이 변화에 따라 전구의 불빛이 달라지는 것처럼 말이다.현재 단일분자 FRET를 통해 생체분자가 실시간으로 기능하는 동안 일어나는 구조적인 변화를 측정하는 것은 매우 ... ...
Ⅱ. 본격적인 유전자 시대 개막 알린 영광의 주역들 : 4 다국적팀과 셀레라의 팽팽한 '신경전'
과학동아
l
200103
초안을 발표하는 장면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당시 세상에 공개된 정보는 전체 게놈의 90%
정도
에 불과한 27억개의 염기서열이었다.학문적인 앙숙이었던 다국적팀과 셀레라가 어떻게 화해할 수 있었을까. 당시 클린턴 대통령은 자신의 임기 내에 인간게놈프로젝트를 끝냈다는 평가를 받고 싶어 ... ...
킥보드의 물리학
과학동아
l
200103
마찰계수가 적으면 뒷바퀴가 제대로 멈추지 못하고 미끄러져서 결국 바퀴가 땅에서 어느
정도
굴러가게 돼, 제동거리가 길어지는 한 요인이 될 수 있다.그렇다면 앞바퀴에 제동장치를 달면 어떨까. 실제로 앞바퀴에 브레이크 장치가 있는 킥보드도 있다. 이 경우에는 발로 제동장치를 누르는 것이 ... ...
비타민 C는 만병통치약인가
과학동아
l
200103
피우면 대략 비타민의 25mg
정도
를 파괴시키며, 이것은 흡연자가 비흡연자보다 대략 30-50%
정도
의 비타민 C가 부족하다는 것을 잘 설명해준다. 또한 신체에 외상을 입었거나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동안에도 비타민 C가 많이 소실된다. 하지만 왜 그런 것인지, 즉 비타민 C가 신체의 스트레스 반응시 어떤 ... ...
'사이빌'에 등장한 16개 인격체 가진 여성
과학동아
l
200103
점도 공통된 특징이다. 영화 속 다중인격자의 인격 수가 대체로 다루기 쉬운 ‘2-4개’
정도
라는 것도 비슷하다. 실제 환자에게서 발견되는 인격 수는 평균 6명 내외이며, 많은 경우 26명의 인격이 한 육체 안에 존재했다는 보고도 있다.다중인격자들은 주로 살인을 저지르는 흉악범으로 등장한다. ... ...
여행달력겸용 해시계 만들기
과학동아
l
200103
저녁에 서쪽에서 지는 사실을 말이다.만약 아침 9시라면 해는 어느 쪽에 있을까? 보통 6시
정도
에 해가 동쪽에서떠서 12시면 남중하므로 9 동쪽과 남쪽의 중간에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시계를 들어 9시를 가리키는 짧은 바늘을 해가 있는 쪽으로 놓으면 12시의 긴 바늘과 9시의 짧은 바늘은 90˚를 ... ...
PART 1. 백과사전 24권을 핀 머리에 써넣는다
과학동아
l
200103
많은 과학자들은 “아직은 모른다”고 말한다. 나노과학은 아직 걸음마도 떼지 못할
정도
로 초보 단계다. 그래서 과학자들은 나노과학의 미래상에 대해 상당히 말을 조심하는 듯하다.20여년 동안 나노과학을 연구해온 서울대 국양 교수는 “현재의 나노과학에 대한 열광은 지나치다. 에릭 ... ...
쌍안경으로 즐기는 달나라 여행
과학동아
l
200103
절반만 볼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칭동이란 현상으로 인해 지구에서는 달 전체 표면의 59%
정도
를 볼 수 있다. 칭동은 달의 공전궤도가 타원이고 자전축이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달이 상하 좌우로 서서히 진동하는 것처럼 보이는 현상이다. 같은 모양의 달사진이라도 가장자리 경계가 달라지는 것은 ... ...
이전
726
727
728
729
730
731
732
733
7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