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형
방대한
뉴스
"
큰
"(으)로 총 14,460건 검색되었습니다.
모기 소리 줄어들까
동아사이언스
l
2019.07.22
말라리아, 뎅기열, 지카바이러스 등 위험한 병을 옮기는 매개체가 된다는 점이 더
큰
문제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2017년 말라리아로 세계에서 약 43만5000명이 사망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에서도 15일 뎅기열을 일으키는 바이러스를 가진 모기가 인천에서 처음 발견되기도 했다. 위험한 ... ...
두산연강학술상에 고현용 KAIST 연구원
동아사이언스
l
2019.07.21
핵심 원인을 국내 연구진이 최초로 알아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며 "이번 수상을
큰
격려 삼아 의학 발전을 위한 연구에 정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두산연강학술상은 2006년 두산그룹의 초대회장인 연강 박두병 회장의 유지를 잇고 젊은 의학 연구자들의 의욕을 고취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올해 1 ... ...
경북 상주서 규모 3.9 지진…이틀 연속 발생
동아사이언스
l
2019.07.21
아직 파악되지 않고 있다. 하지만 이틀 연속 경북 상주에서 지진이 나면서 더
큰
지진이 오는 게 아니냐는 우려를 낳고 있다. 기상청 지진 목록 통계에 따르면 경북 상주에선 2001년 이후 사람이 느낄 수 있는 규모 2 이상의 지진이 15차례 일어났다. 이날 지진 피해 상황은 아직 추가로 알려지지 ... ...
해외 유명 연구자와 함께 태양전지 제작하고 세포 DNA 분석해요
동아사이언스
l
2019.07.21
연구자들과 소통해야 하는 이공계 학생들에게 이런 경험은 장차 연구를 수행하는 데
큰
자산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하버드대 공대 실험실에서 토론 중인 학생들의 모습. UNIST ... ...
[코리아스페이스포럼]“누구나 인공위성을 발사할 수 있는 시대 온다”
2019.07.20
“네팔 카트만두에서 발생한 지진 당시 인공위성이 촬영한 고해상도 영상이 구조 활동에
큰
도움이 됐다”며 “통신망이 단절된 상황에서 인공위성 사진을 활용해 이재민 밀집 지역과 붕괴지역, 도로망 현황 등을 빠르게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우주개발의 궁극적 목표는 우리 삶의 질을 ... ...
[코리아 스페이스포럼] 한국 민간우주 산업 가능성 첫 타진…20일 폐막
동아사이언스
l
2019.07.20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18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콘래드호텔에서 '2019 코리아 스페이스 포럼 개회식' 을 개최했다. 과학기술과기정통부 제공 ... 뛰어들어도 될 정도"라며 "기존 기업도 한국의 다양한 기업과 협업하고 있다. 잠재력이
큰
매력적인 나라"라고 말했다.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진정한 친구만이 함께 기뻐한다
2019.07.20
기분 좋은 시간을 더 많이 보내는 편이기도 했다. 반대로 연인이 자신의 기쁜 일에 시
큰
둥한 편인 사람들은 관계만족도가 낮고 연인과 함께 있어도 별로 즐겁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작은 차이가 장기적인 만족도에도 영향을 줘서 서로의 성공과 행복을 함께 기뻐하는 연인들은 그렇지 않은 ... ...
[주말 고고학산책]'조개무덤' 패총에서 고대인의 삶을 읽는다
2019.07.20
실제로 패총은 다양하게 생겼습니다. 패총은 전 세계에서 발견되는데, 그 두께가 1~2m부터
큰
것은 4~5m가 넘어요. 한국에서도 신석기시대부터 조선 시대 사이에 만들어진 300여 개 이상의 패총이 발견됐는데 대부분 서해안과 남해안에서 발견되는데, 굴 껍데기가 많고 여러 조개류가 섞여 있습니다. ... ...
[코리아 스페이스포럼] “한국, 위성 분야에서 즉각적으로 우주산업 뛰어들 수 있어”
동아사이언스
l
2019.07.19
채드 앤더슨 스페이스엔젤스 대표가 19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호텔에서 열린 코리아스페이스포럼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코리아스페이스포럼 ... 한국 스타트업들이 기존 회사들과 협력해 고객에게 우주에서 나온 데이터를 전달한다면
큰
기회를 누릴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코리아 스페이스포럼] “소행성탐사, 과학기술에 관심 불러일으킨 게 가장
큰
수확”
동아사이언스
l
2019.07.19
관심이 적은데 소행성 탐사를 통해 과학기술에 대한 관심이 늘어난 게 저희가 얻은 가장
큰
수확”이라고 말했다. 일본은 소행성 추가 탐사에도 나설 계획이다. 여기에 필수적인 것이 국제협력이다. 가와구치 책임자는 “한 국가가 우주에서의 데이터 수신을 책임질 수 없다. (지구가 돌기 때문에) ... ...
이전
726
727
728
729
730
731
732
733
7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