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나"(으)로 총 8,153건 검색되었습니다.
- 시차는 일광욕으로 극복하라과학동아 l1992년 09호
- 출발했을 때는 금방 저녁이 돼버려 생체시계를 빨리 앞으로 돌려야 하며, 바르셀로나로 출발했을 때는 밤이 될 때까지는 많은 시간을 기다려야 한다. 생체시계는 오히려 늦추어야 한다. 이는 저녁에 출발했어도 마찬가지. 즉 동쪽으로 갈 때는 생체시계를 당겨야하고 서쪽으로 갈 때는 늦추어야 한다 ... ...
- 한국의 밤하늘, 어디가 가장 어두운가과학동아 l1992년 09호
- 밤하늘 사진을 얻기 위해서는 되도록이면 노출을 많이 주어 빛을 많이 모으는 것이 좋으나 광공해가 심한 도시에서는 노출시간이 많다고 반드시 좋은 것은 아니다(사진4). 마지막으로 육안 관측과 가장 유사한 모습의 사진(도심은 고정촬영 f/1.4 노출시간 10초, 근교는 고정촬영 f/1.4 노출시간20초)을 ... ...
- PC용 소프트웨어 삼총사과학동아 l1992년 09호
- 있다.이밖에도 컴퓨터는 통신 그래픽 음악 게임 등의 분야에서 다양하게 활용된다. 더구나 컴퓨터의 활용은 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어서 앞으로 우리가 상상하지 못하던 분야까지 깊숙히 파고들어갈 것이다 ... ...
- 새로운 완전수를 찾아서과학동아 l1992년 09호
- 앞으로 현재의 슈퍼 컴퓨터 보다 훨씬 강력한 슈퍼컴이 등장하지 않는 한 더 큰 솟수나 완전수를 발견해내기는 어려울 것이라 전망하고 있으니 말이다. 완전수를 몇개 들어 보면 6, 28, 496, 8128, 33550376, …등이다 ... ...
- 「대기오염 측정 전국 별자리관측」을 마치며 "잃어버린 밤하늘을 되찾자"과학동아 l1992년 09호
- 만들었다고 합니다. 그 거리에서는 천체사진을 찍어도 항상 원래의 밤하늘 모습이 나온다고 합니다.조상 한집에 한등 끄기만 해도 에너지도 절약되고 밤하늘의 별도 제모습을 찾을텐데….사회 여러 말씀 고마웠습니다. 끝으로 이번 행사를 처음부터 끝까지 추진해준 동아일보와 과학동아에 감사 ... ...
- 고롱고로 분화구 안의 별난 생태계과학동아 l1992년 09호
- 말할 수 있다. 아프리카의 자연공원 주위에서 인간들은 자신들의 주거지를 넓혀 나가고 있다. 이는 자연의 동물들이 감히 범할 수 없는 경계를 형성하는 것이다. 또 최근에 많은 종(種)은 작은 집단으로 고립되어 있으며, 그래서 그들로 하여금 환경의 피해에 대해 좀더 약하게 만들고 있다. 실제로 ... ...
- 지리산 희귀식물 50종중 40종 찾아내과학동아 l1992년 09호
- 예전에 그냥 지나쳤던 식물도 그 이름이 송이풀 동자꽃 홍싸리 노각나무 등인걸 알고 나니 또다른 의미로 다가와 더 가까워지고픈 생각이 들었어요.최강문…저는 과학에 대한 문외한이지만 느낀 바가 많았습니다. 옆에서 보기에도 탐사단원들의 열의와 성의가 느껴져 참 좋은 교육현장이라는 ... ...
- (1) 인공지능 상품개발 50년과학동아 l1992년 09호
- 이것은 "내가 당신보다 더 뛰어난 지능의 소유자요" 하는 말의 진실성을 밝히는 것 만큼이나 어렵다.인공지능의 상품화는 현대 사회에서 자본주의적 물신을 섬기기 위한 돈벌이 보다는 시급히 그것을 필요로 하는 여러 장애자를 위한 도구로서 사용할 때 비로소 진정한 과학적 의미를 가질 것이다 ... ...
- 과학고·과기원 입시총정보과학동아 l1992년 08호
- 내에 해결하고 3, 4단계 문제를 여유를 가지고 풀어나가는 것이 바람직하다.끝으로 과학고나 과기원을 지원하는 학생들에게 입시관계자들이 이구동성으로 강조하는 세가지 원칙을 옮겨본다.첫째 기본원리에 충실하라.둘째 문제를 중도에 포기하지 말고 끝까지 풀어라. 특히 주관식 문제일 경우에는 ... ...
- 은하수를 건너는 배과학동아 l1992년 08호
- 미립자들이 지구 대기 속으로 들어오고 마찰에 의해 증발한다. 유성우는 그들이 나타나는 하늘 부분에서 이름을 따온다. 이 경우 페르세우스자리가 해당된다. 우리는 아침 시간에 '별똥 별'을 더 쉽게 볼 수 있는데 이것은 지구가 회전하면서 유성물질의 흐름과 정면으로 마주하는 시간이 그때이기 ... ...
이전72772872973073173273373473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