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초
개시
처음
기원
발단
출발
근원
d라이브러리
"
시작
"(으)로 총 14,059건 검색되었습니다.
학습과 놀이의 절묘한 만남 기능성 게임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예상된다.SNS의 대표격인 페이스북과 트위터가 이미 가입자를 대상으로 게임 서비스를
시작
했다. 페이스북의 인기 게임인‘피시빌’은 연결된 친구가 많을수록 유리한 구조다. 물고기를 키우는 게임으로 키운 물고기를 친구에게 선물하거나 다른 친구의 어장을 청소해 줄 수 있다. SNS의 ... ...
과학으로 벗겨본 남녀 탐구생활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끝났어요. 선생님이 오셔서 싸우는 아이들을 떼어 놨어요. 갑자기 남자 아이들이 울기
시작
해요. 여자 친구가 옆에 있다는 것도 잊은 채 맞은 곳이 아프다며 엉엉 울어요. 여자 친구들은 싸울 땐 괜찮다가 왜 싸움 후에서야 아프다고 우는지 이해할 수 없어요.아마 미국 프린스턴대 생태 및 진화 ... ...
원리와 구조 알면 발명 아이디어 떠올라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역사 |더글러스 파머 지음 | 강주헌 옮김 | 예담 | 374쪽 | 8만 원바다에서 미생물 상태로
시작
해 지금은 바다와 육지, 하늘을 채우는 다양한 생물들은 어떻게 진화했을까.이 책은 최초의 단세포 생물에서부터 삼엽충과 암모나이트, 중생기의 공룡, 수백만 년 전에 아프리카에서 살았지만 멸종된 인류의 ... ...
현미경으로 살아 있는 나노세계를 보다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정교한 부품들을 보니 왜 정보통신공학과에서 현미경을 만드는지 충분히 이해가 되기
시작
했다.살아 있는 세포 관찰하는 유일한 광학현미경연구단에서 만들고 있는 현미경들은 모두 최첨단 레이저를 사용하는 광학현미경이다. 초중고등학교 생물실험실에서 볼 수 있는 현미경도 바로 광학현미경의 ... ...
‘꿈’이 필요한 이유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힘은 나보다 앞서 그 길을 걸어간 선구자를 통해 간접경험하고 의지를 배우는 것에서
시작
된다. 내가 진정으로 좋아하는 것을 추구하고, 그것을 실현하기 위해 평생 행복하게 살 수 있는 직업을 갖고, 그 일을 통해 꿈을 이뤄가는 것이 성공적인 삶이다. 꿈을 이뤄가는 과정에서 적성을 고려해 직업을 ... ...
천 년 전 경주의 밤하늘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기준시간을 정하기 위해 가장 널리 행해진 관측이었다. 해질 무렵(혼시), 별이 보이기
시작
할 때 머리 꼭대기에 있는 별이 혼중성이다. 절기가 바뀌면 태양의 위치가 달라져 또 다른 별이 혼중성이 된다. 또 새벽 동틀 무렵(효시), 머리 위에 남중하는 별은 효중성이다.하지만 세차운동으로 인해 ... ...
구글어스로 재난 복구 돕고 신종 생물 찾는다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위해서 또는 과학의 발전과 재미를 위해서 구글이 막대한 비용을 들여 지도제작 사업을
시작
했을까. 비즈니스 세계에서 목적 없는 투자는 없다. 이윤을 추구하는 기업인 구글 또한 현대사회에서 지도가 차지하는 경제적인 가치를 찾았을 뿐이다. 중요한 점은 지도가 우리의 삶에 필수적인 ... ...
창의성 높이는 공간 만드는 신경건축의 세계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방을 배치하는 일이 더 중요하다는 연구사례 보고도 있다.아직까지 신경건축 분야는
시작
된 지 얼마 되지 않아 연구 결과가 많지 않다. 그래서 할일이 많은 도전적인 분야다. ‘세상의 모든 경계에선 꽃이 핀다’고 하지 않았던가. 신경과학과 건축학이 만난 신경건축 분야에서 우수한 인재들이 ... ...
첫째 날 M-214호에 떨어지다
수학동아
l
2010년 02호
생각에 조금은 안심이 됐지. 한참을 가다 보니 익숙한 장소가 보이고 익숙한 길이 다시
시작
되는 거야. 마치 같은 공간을 빙빙 돌고 있는 것처럼!도대체 여긴 어딜까?“여기는 M-214호란다. 뫼비우스 띠 모양처럼 생긴 행성이지.”어디서 굵직한 목소리가 들려 왔어. 도대체 어디서 나는 소리일까? ... ...
뫼비우스 띠, 위상수학 돋보기로 다시 보자!
수학동아
l
2010년 02호
스위스 수학자 오일러는 7개의 다리를 건너는 흥미로운 문제로 위상수학 분야의 연구를
시작
했어. 18세기 초 독일에는 쾨니히스베르크라는 도시가 있었는데 그 중심에 프레겔 강이 흘렀지. 오일러는 ‘강에 놓인 7개의 다리를 모두 한 번씩만 건너 처음 위치로 돌아올 수 있는 방법’을 연구했지. ... ...
이전
727
728
729
730
731
732
733
734
7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