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일의"(으)로 총 20,677건 검색되었습니다.
- 인류의 시작부터 함께 한 학문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세련된 학과 이름 때문일까. 최근에 주목 받는 학문 같다는 말에 정은혜 서울대 에너지자원공학과 교수는 “에너지자원공학은 인류가 태어날 때부터 사라지는 순간까지 함께 할 학문”이라고 말했다. 자원에 대한 인류의 욕구는 처음 도구를 만들었던 순간부터 시작됐다. 지금의 도구들(컴퓨터, 스 ... ...
- 알고 나면 깜짝 놀랄걸? 아주 사소한 과학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난 두루마리 휴지가 정말 좋아. 휴지를 잡아당기면 팽그르르~ 풀리는 것도, 손에 둘둘~ 감는 것도 다 재밌거든! 자~, 이제 볼일도 끝났으니 휴지를 풀어 볼까? 둘둘둘…, 어? 근데 무슨 소리지? 신나게 휴지를 풀고 있는데 갑자기 정체 모를 소리가 들려왔어.“엥~! 휴지를 그렇게 많이 쓰면 어떡해? ... ...
- [생활] 요트 과학적 스포츠의 추억수학동아 l2015년 11호
- 경로를 따라 부표를 통과하고 결승선으로 들어와야 한다. 이 경로는 주최 측이 대회 당일의 바람과 조류를 고려해 결정한다. 이번 대회의 인쇼어 경기(육지가 보이는 가까운 바다에서 하는 경기)는 부표 세 개를 띄워 만든 이등변 삼각형 모양의 경로를 세 번 돌아 결승선에 들어오는 방식이다. ... ...
- [참여] 우리 학교 수학축제로 놀러 오세요! 호곡중 수학원정대수학동아 l2015년 11호
- 높은 하늘과 쾌청한 바람. 가을은 축제를 즐기기에 좋은 계절이다. 이런 저런 축제 소식이 들리던 가을의 어느 날, 수학축제가 열리고 있다는 소식을 접했다. 일산 호곡중학교 수학동아리 ‘수학원정대’가 연 수학축제 한마당으로 지금 가 보자!‘학교에서 열리는 수학축제라고?’웬만한 곳은 다 ... ...
- 구강청정제로 신생아 구한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영국 제약업체가 구강청정제에 들어가는 항균물질로 신생아의 세균 감염을 줄일 수 있는 신약을 만들었다.제약회사 글락소스미스클라인(GSK)은 구강청정제 ‘코르소딜’의 재료인 클로로헥시딘을 신생아의 탯줄에 바르는 젤 형태의 신약으로 개발해 유럽의약국(EMA)에 허가를 신청했다고 10월 11일 ... ...
- 유전자가위로 만든 돼지, 반려동물로 판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유전자를 편집한 돼지가 반려동물 시장에 나와 논란이 되고 있다. 중국 베이징 유전학 연구소(BGI)는 유전자 가위 ‘탈렌’을 이용해 무게를 일반 돼지의 6분의 1로(15kg) 줄인 연구용 미니 돼지를 우리 돈 180만 원 정도에 판매한다고 밝혔다. 돼지는 사람과 식습관이 비슷하고, 장기의 구조나 생리 특 ... ...
- 생태관광…야생동물, 감 떨어진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사람이 준 먹이를 먹는 생활에 익숙한 비둘기들은 다가가도 피하지 않는다. 과연 이것이 야생동물에게 잘 된 일일까.미국 캘리포니아대 다니엘 블룸스타인 교수는 “자연을 보존하기 위해 인간이 개입하는 것이 오히려 생태를 교란시킬 수 있다”고 ‘생태와 진화 경향’ 10월 9일자에 발표했다.해 ... ...
- 진짜 우주 vs 내 안의 우주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다음 중 진짜 우주 사진은 무엇일까.미국항공우주국(NASA)은 9월 22일 홈페이지를 통해 다음과 같은 6장의 사진을 공개했다. 3장은 진짜 우주를 촬영한 사진이고 3장은 우주비행사의 피부에서 살아가는 미생물이다.NASA는 2015년 연중 과제 중 하나로 우주에서 생활하는 우주비행사의 미생물이 1년 동안 ... ...
- 암흑물질 발견, 이번에는 진짜?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은하의 중심에서 암흑물질의 신호가 확인됐다.암흑물질은 우주의 25%를 구성하는 물질로 그 존재가 지금까지 확인되지 않았다. 네덜란드 레이든대 알렉시 보야르스키 교수팀은 10월 2일 ‘피지컬 리뷰 레터’에 은하수 중심에서 암흑물질 후보 중 하나인 ‘비활성중성미자’가 붕괴될 때 발생하는 ... ...
- 천문학자 김담, 조선의 우주를 열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인류가 400년 만에 초신성 폭발을 관측했을 당시 김제완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명예교수는 미국 존스홉킨스대에서 객원교수로 활동하고 있었다. 올해 노벨물리학상의 주인공들과 같은 중성미자(뉴트리노)를 연구하는 입자물리학자인 그는 SN1987A 초신성에서 방출된 중성미자 연구를 준비하기 위해 ... ...
이전72772872973073173273373473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