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정보"(으)로 총 8,054건 검색되었습니다.
- 주변기기 선택요령③ 카드의 활용을 다양하게과학동아 l1989년 11호
- 싶다. 퍼스컴을 한국데이타통신이나 한국경제신문의 서비스망에 연결하면 각종 유익한 정보를 앉아서 받아 볼 수있고 멀리 떨어져있는 다른 컴퓨터사용자와 컴퓨터를 이용한 대화도 나눌 수 있다. 최근에는 퍼스컴사용자들끼리 사설전자게시판(BBS)을 조직하는 붐이 전국적으로 불고 있다 ... ...
- 반도체도 고속화시대로과학동아 l1989년 11호
- 표준제품에서 고속제품으로 빠르게 전환되고 있다. 메모리 반도체에서 표준제품의 정보처리속도는 보통 1백나노초(1나노초는 10억분의 1초)정도. 고속제품은 이보다 빠른 80~60나노초의 처리속도를 가진다.삼성전자는 월 5백만개씩 생산하는 1MD램의 생산비중을 고속제품(70나노초급) 50%, 표준제품 50 ... ...
- 원자시계란 무엇인가?과학동아 l1989년 11호
- TDM) 통신이 필수적인데, 여기서도 원자시계가 사용된다.실제로 한국 전기통신공사는 종합정보통신망 구축을 위한 기반사업의 하나로 표준연구소에 3대의 원자시계를 설치하였다. 그리고 광섬유케이블을 활용, 전국의 시분할교환기의 동기장치에 기준 주파수(KRF)를 공급하고 있다.뿐만 아니라 현대 ... ...
- 뉴미디어 CATV 내년에 등장할듯 내용과 준비상황을 알아본다과학동아 l1989년 11호
- 전송로에 큰 관심을 보이고 있는 반면 유럽에서는 대부분 광섬유 전송로를 이용, ISDN(종합정보통신망)과 연계하는 전략을 구사한다.국내에서 CATV의 본격 도입은 대부분의 전문가들이 가까운 미래에 실시될 것이라는 데는 일치하지만 구체적인 시기와 방법에 있어서는 제각각이다. 정부와 방송사 ... ...
- 안경과 콘텍트렌즈의 선택ㆍ취급요령과학동아 l1989년 11호
- 시각으로 바라보면 '눈이 흑사당하고있는' 것이다.우리 인간들은 눈으로 약 90%의 생활정보를 얻고 있다. 특히 학생들은 하루에 적어도 8시간 이상 눈을 혹사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최근 우리 나라의 통계에 의하면 도시와 농어촌에 따라 다소 다르기는 하지만 국민학교 어린이의 약 20%, 중학생의 약 3 ... ...
- 보다 정확히과학동아 l1989년 11호
- 정확한 것은 아니다. (완벽한 정밀측정은 결코 있을 수 없다) 그러나 이것은 과거 어떤 측정보다도 정확에 가까운 것이다.1조분의 몇이라면 얼마나 정확한 것인가? 두개의 큰 돌, 하나는 정확히 20톤이고 하나는 20톤에 1온스의 1백만분의 1이 더 무겁다면 이것은 1조분의 몇에 해당되는 것이다.이밖에 ... ...
- 주변기기 선택요령② 보조기억장치를 추가하려면과학동아 l1989년 11호
- PC 중에는 하드디스크를 부착할 수 없도록 설계된 시스템이 종종 있다.하드디스크는 정보를 저장하는 용량에 따라 20MB 30MB 40MB 50MB 60MB 80MB 1백MB 이상으로 구분되는데 국내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은 5.25인치용으로 20MB용량과 40MB짜리이다. 간간이 3.5인치용 하드디스크도 선보이고 있으나 일부 ... ...
- 스무번째 맞는 한국전자전람회 하이테크의 진면목을 과시과학동아 l1989년 11호
- 터치스크린 기능을 추가하고 모뎀을 내장 시켰다. 앞으로 항공 철도 공연예약 증권정보 등 불특정다수가 빈번히 사용하는 공중용 단말기에 많이 쓰일 것으로 기대된다.이외에 우수상에는 1백㎒급 오실로스코프를 개발한 이세일씨(흥창물산), 전자악기인 디지털피아노를 개발한 이석재씨(삼익악기), ... ...
- 발열없는 계산은 가능한가과학동아 l1989년 11호
- 양자역학의 기초에 관한 국제회의(ISQM)에서 격론을 벌였다.'랜더워'박사의 주장은 입력된 정보를 일체 버리지 않고 계산을 하면 출력에서 입력으로까지 이를수가 있으며 따라서 열역학적으로도 가역(可逆)이 되어 열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런 주장에 대해 반도체 연구학자들을 중심으로 ... ...
- PART2. 의료에서 정보처리까지과학동아 l1989년 11호
- 한다.레이저를 이용한 좁은 부분 가공기술을 응용하여 컴팩트디스크(CD)라 불리는 고밀도 정보저장이 가능하다.재료가공에 주로 이용되는 고출력 레이저는 CO₂레이저와 Nd-YAG레이저이며 국내에서도 고출력 CO₂레이저는 표준연구소, 서울공대, 금성전선 등에서 개발된 바 있고 Nd-YAG레이저는 ... ...
이전72772872973073173273373473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