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밥통
위장
Hugo
상부
윗쪽
꼭대기
자리
뉴스
"
위
"(으)로 총 9,298건 검색되었습니다.
손가락만 구부려도 200V 전기가 반짝
2016.05.17
압전 필름을 ‘무기물 레이저 박리 공정(ILLO)’이란 독자기술을 이용해 유연성 고분자
위
로 옮겨 붙여 상용화 수준의 압전소자를 만들었다. 이렇게 만든 압전소자는 손가락에 붙이고 구부리는 동작만으로도 200V의 높은 전압을 생성했다. 전기량은 35마이크로암페어(μA) 정도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272] 보톡스 맞으면 뇌도 마비된다
2016.05.16
집착하는 세상’에서 “사람이 이미지를 우선시할 경우, 오직 자신의 주
위
만 맴돌
위
험이 크다”며 오늘날 “이미지를 최상의 가치로 만든 사회가 나르시시스트를 길러낸다”고 진단하고 있다. 보톡스 역시 나르시시스트 양산에 한 몫을 할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문득 든다. ※ 필자소개 ... ...
북극 철새 ‘붉은가슴도요새’의 비극
2016.05.15
사이언스 제공 이번주 ‘사이언스’ 표지에는 장거리 철새 중 하나인 붉은가슴도요새가 먹이를 찾지 못한 채 모래사장
위
에 서 있는 모습이 담 ... 더 많은 북극 철새들이 지구온난화의 영향을 받게 될 것”이라며 “붉은가슴도요새의
위
기는 생태계의 새로운 경고인 셈”이라고 말했다. ... ...
[뉴스 분석] 진공 속 달리는 초음속 열차 ‘하이퍼루프’의 모든 것
2016.05.15
역시 일종의 ‘자기부상열차’다. 시속 400㎞를 넘는 열차는 쇠로 만든 열차 바퀴가 레일
위
에서 헛돌면서 바퀴가 깎여 나가는 ‘플랫’ 현상이 발생해 사고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하이퍼루프 원이 열차의 급가속 기술을 가장 먼저 실험한 것도 같은 이유다. 하이퍼루프 원 측도 영구자석을 이용한 ... ...
저와 차 한잔 하실래요~
2016.05.15
빈틈을 꼬집으며 육류를 발암물질로 규정한 건 무리수였다고 밝히면서도, 지구를
위
해 육류 소비를 줄이자는 주장이 덧붙는 글에선 필자의 생각이 가득 묻어나기 때문이다. ... ...
[마음을 치는 시(詩) 15] “밤중에 누가 내 꼬리를 훔쳐갔다”
2016.05.14
마감하지 못하고 “더 곱게 새김질하고 또 새김질하여 귀를 기울이고 기다”립니다. “
위
장에서 맑은 소리가 흐를 때까지” 일의 성과를 높여야 했나봅니다. 그랬으니 무척 피곤했겠습니다. 그럴 때마다 많은 직장인이 그렇듯, 시인도 “아아, 이 고요한 표정으로, 꿈벅꿈벅, 새벽의 산사에 가 ... ...
효모 세포의 버티는 삶
과학동아
l
2016.05.13
중단했을 때 어떤 변화가 나타나는지 관찰했다. 막대 모양인 정상 효모세포(왼쪽
위
)의 세포벽을 제거하면 동그란 모양(왼쪽 아래)으로 바뀐다. 휴지기 상태인 - MPI f. Molecular Cell Biology and Genetics 제공 관찰 결과 가장 먼저 나타난 변화는 산성화였다. 세포 내부의 pH가 낮아지자 소기관이 멈추고 ... ...
해저 지도를 만드는 드론이 나타났다!
수학동아
l
2016.05.13
앞뒤좌우상하 방향으로 직진 이동이 가능합니다. 싸이클롭은 수중에서 가상의 격자
위
에 놓인 수백 개의 지표를 따라 이동하며 자동으로 사진을 촬영합니다. 그래서 육지에서 찍은 이미지만큼 높은 화질의 수중 지형 데이터를 얻어낼 수 있습니다. 연구팀은 3차원 수중 지형도를 만든 뒤 3D프린터로 ... ...
즐거움을 만드는 과학! 한국과학기술원 원더랩
어린이과학동아
l
2016.05.13
일환으로 만들어졌다. - 정한길 기자 jhg1road@donga.com 제공 ● 더욱 즐거운 삶을
위
하여~ 연구실에는 이 밖에도 빛으로 자세를 교정해 주는 스노우보드와 애니메이션이 나오는 테이블 등 여러 가지 즐거운 과학 발명품들이 가득했어요. 기자단 친구들은 원더랩의 지도교수님이신 이우훈 교수님께 왜 ... ...
미쓰비시車, 결국 닛산 품으로… 車업계 요동
동아일보
l
2016.05.13
하지만 후속 조사에서 밝혀진 내용은 상상을 초월했다. 연비 부정 측정은 1991년부터 광범
위
하게 이뤄졌으며 일부 차종은 15% 이상 연비가 뻥튀기된 것으로 드러났다. 아사히신문은 “1991년 이후 발매된 차종 50여 개 중 3개를 제외하고 모든 차종에서 불법적인 연비 측정이 이뤄졌다”고 전했다. 연비 ... ...
이전
727
728
729
730
731
732
733
734
7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