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순서
경로
경과
코스
절차
단계
진행
d라이브러리
"
과정
"(으)로 총 11,556건 검색되었습니다.
무한 에너지 꿈꾸는 빛의 마술사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발전은 중수소에 리튬을 충돌시켜 삼중수소를 만들고, 이를 다시 중수소와 융합시키는
과정
에서 발생하는 에너지를 이용하는 방법이다. 원자 하나당 핵분열의 3~5배에 해당하는 17.6MeV라는 막대한 에너지를 얻을 수 있어 ‘꿈의 에너지’라고 불린다. 우라늄을 사용하는 핵분열 발전에 비해 방사능 ... ...
떴다! 차세대 우주탐사선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2년 6개월 동안 10억달러를 들여 최첨단 안전 기술로 디스커버리를 무장했지만 결국 발사
과정
에서 타일이 떨어져 나가는 예기치 못한 상황이 벌어졌기 때문이다. NASA는 디스커버리 이륙 직후 단열 타일의 기술적 문제가 완전히 해결될 때까지 추후 우주왕복선의 운항을 전면 보류하겠다고 발표했다 ... ...
자석으로 신약을 개발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들었죠. 하지만 일단 시작했더니 가능성이 보였습니다.”연구실에는 10명의 석·박사
과정
학생들이 김 교수와 함께 후속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아직 3년밖에 되지 않은 젊은 연구실이지만 연구 의욕만큼은 어디에도 뒤지지 않는다.이들은 앞으로 MAGIC을 이용해 분자 단위가 아닌 생체 회로 전체를 ... ...
1. 황우석, 세상을 감동시키다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수의대 앞에서 1인 시위를 열며 동물 복제 연구를 중단하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실험
과정
에서 동물들이 받는 고통을 무시해서는 안된다는 것이다.선진국에서는 같은 이유로 동물 실험에 상당한 규제를 하고 있다. 동물 실험을 많이 하는 회사나 연구소에 대해 ‘제품불매운동’을 벌이기도 한다. ... ...
달하 노피곰 도댜샤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있다. 그래서 주기적으로 달의 뒷면 일부가 우리에게 보였다가 보이지 않았다가 하는
과정
을 반복한다. 이를 우리는 칭동이라고 부른다.칭동은 동쪽과 서쪽이 더 보이게 되는 경도칭동과 남쪽과 북쪽이 더 보이게 되는 위도칭동으로 구분할 수 있다. 두 칭동의 크기는 모두 약 6도 가량 된다. 칭동 ... ...
나노 바코드 레이블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호르몬을 분비한다 가령 사람이 성장하는
과정
이나 남자 여자로서의 모습을 갖추어 가는
과정
등은 모두 이 뇌하수체의 작용이다 따라서 만일 여기에 어떤 이상이 생기면 정상적인 기능을 할 수 없게 된다 뇌하수체의 형태는 타원체로 단단하며 길이 09∼11cm, 너비 07∼09cm, 무게 07∼08g 정도이다 ... ...
문학의 강에서 과학을 생각하다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존경을 한 몸에 받아왔다. 그의 소설은 모두 치밀한 논리와 냉철한 논거로 기술 발전
과정
을 숙고한 결과물로 평가받고 있다. 탐사 대상이었던 행성 솔라리스가 오히려 인간을 잡아먹는 거대한 존재였다는 철학적인 내용 외에 렘은 컴퓨터 시대에 심화되고 있는 기술의 문제점을 작품 속에 녹여내고 ... ...
구상 풍화의 절정 설악산 흔들바위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올라오게 된다. 이때 화강암을 짓누르던 압력이 사라지면서 화강암이 점차 팽창한다. 이
과정
에서 암석에 수직과 수평으로 균열, 즉 절리(節理)가 생겨 화강암은 일련의 블록으로 갈라진다.갈라진 틈으로 물이 침투해 얼고 녹기를 반복하는 한편 물이 암석의 구성 광물과 화학 반응을 일으키면서 ... ...
2. 무한 복제의 꿈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이식했다. 임신에는 성공했지만 한 달이 지나지 않아 모두 유산됐다. 복제 배아를 만드는
과정
에서 전기충격 등으로 배아가 불안정해지는 것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박 소장은 “세계적으로 실험횟수가 증가하고 있어 원숭이 복제는 조만간 실현될 것”이라고 강조했다.침팬지 등 사람과 가장 비슷한 ... ...
나는 무엇에 이끌려 행동할까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동기와 레버를 건드리는 행동을 이어주는 것이 바로 학습이라는 연결고리다.이런 일련의
과정
과 관계있는 뇌의 부위가 어디인가를 알아내기 위한 연구도 다양한 방법으로 진행돼 왔다. 가장 널리 알려진 부위는 바로 시상하부(hypothalamus)다. 시상하부에는 생체의 항상성 유지에 반드시 필요한 ... ...
이전
728
729
730
731
732
733
734
735
7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