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공학"(으)로 총 8,754건 검색되었습니다.
- “내 자식은 무조건 이과”… 학부모 쏠림에 科高 ‘뜨고’ 外高 ‘지고’동아일보 l2016.01.14
- 인력이 초과 공급된다. 그러나 공학계열은 21만5000명이 부족하다. 배영찬 한양대 화학공학과 교수는 “문·이과 미스매치를 해결하고 창의융합형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정부가 2021학년도 수능부터 문·이과 통합형을 도입하기로 했다. 그러나 수학은 문과형과 이과형으로 나뉘는 방안이 논의 중이라 ... ...
- 통신요금 비싼 해외에서도 대용량 사진 공유 ‘척척’2016.01.13
- 손쉽게 자료를 주고받을 수 있어 유용할 것으로 보인다. 이의진 KAIST 지식서비스공학과 교수팀은 고용량 사진을 고속으로 다운로드할 수 있는 실시간 사진공유 프로그램(앱) ‘렛츠픽(LetsPic)’을 개발했다고 13일 밝혔다. 최근 스마트폰을 이용해 언제 어디서나 사진을 찍고 공유하는 문화가 ... ...
- 와인과 은하를 사랑하는 천문학자2016.01.13
- 생각에서 연세대 천문학과에 입학했다. 사실 우주선을 제작하려면 전자공학과나 기계공학과를 가야 했지만 그때는 잘 몰랐다고. 1980년대 말에는 보현산 천문대를 짓는다는 소식에 천문연에 가야겠다고 마음을 먹었다. 그는 1992년 천문연에 입사한 뒤 보현산 천문대와 소백산 천문대를 두루 ... ...
- 내 몸에 박힌 금속, 1년 뒤엔 저절로 분해돼 사라져2016.01.13
- 남아 있어 부작용을 일으키거나 불편한 점이 있었다. 김유찬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의공학연구소 생체재료연구단 책임연구원 팀은 체내에서 분해돼 사라지는 생분해형 금속 임플란트에 대해 임상시험과 과학적 분석을 진행한 결과 체내 부작용이 없으며 회복을 돕는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1 ... ...
- “쓸모 있는 기술이 진짜 과학” 2016.01.12
- 연구 인생 20여 년 중 3분의 1을 생기원에서 보낸 셈이다. 재료공학에서 반도체, 전자공학, 나노분야 까지 ‘트랜스포머’처럼 전공을 바꿔온 이 센터장은 자신의 경험을 살려 각종 전자, 기계기술을 산업과 연결하는 창의엔지니어링 센터장을 맡고 있다.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UST) ... ...
-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UST) 신임 총장에 문길주 씨 2016.01.12
- 문 신임 총장은 캐나다 오타와대 기계공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미네소타대에서 기계·환경공학으로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미국 기업과 연구소에서 근무하다가 1991년 KIST로 자리를 옮겨 환경연구센터장, 강릉분원장, 부원장 등을 지냈다. 2013년부터는 국제대기환경보전단체연합회(IUAPPA) ... ...
- 주사 한 방에 암 2종류 24시간 안에 진단2016.01.11
- 보탬이 될 전망이다. 송현석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선임연구원 팀은 권오석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전임연구원팀과 공동으로 빠른 시간 안에 두 종류의 암을 발견할 수 있는 기술을 새롭게 개발했다고 11일 밝혔다. 이 연구에는 매사추세츠공대(MIT), 예일대 등 미국 연구진도 참여했다. 연구팀이 ... ...
- [카이스트 편] 1986년 대전 카이스트, 그때 그 사람들과학동아 l2016.01.08
- ‘엣지’있게 들린 그의 오른쪽 발이 포인트다. - 이서연 제공 ● 이도헌 바이오및뇌공학과 교수 | 전산학과 86학번 “가만, 기억을 더듬어보자(그는 찬찬히 손가락을 하나씩 꼽았다). 정확히 1983년입니다. 과학고를 합격하고 집으로 돌아가는 버스 안에서 삼성전자가 우리나라 최초로 8비트 ... ...
- 北선 만들기 힘든 ‘삼중수소’ 어디서… 제재구멍 차단 첫숙제동아일보 l2016.01.08
- 되었느냐에 따라 대북 제재의 방향과 수위도 달라질 수 있다. 황주호 경희대 교수(원자력공학과)는 “중수로가 없는 북한도 영변 원자로(흑연 감속로)에서 삼중수소를 자체 생산할 수는 있지만 기술적으로 어렵고 시간이 많이 걸린다는 것이 전반적 평가”라고 말했다. 북한이 수소폭탄의 기초 ... ...
- 과학동아 창간 30년, 1986 그때 그 시절 과학과학동아 l2016.01.08
- ‘독한’ 면학 분위기는 당시 KAIST 캠퍼스 전체에 퍼져 있었다. 이도헌 KAIST 바이오 및 뇌공학과 교수는 “한 분야에서 ‘장인’이 돼야 한다고 생각하는 학생들이 많았다”고 말했다. 전산학 전공인 이 교수는 친구들과 매일 새로운 프로그램을 만들며 밤을 새우는 일이 다반사였다. 전산학과 ... ...
이전72872973073173273373473573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