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사
공부
탐구
학습
학업
탐사
면학
d라이브러리
"
연구
"(으)로 총 16,159건 검색되었습니다.
‘순간’을 필름에 담는 엔지니어
과학동아
l
200812
학생들이 매우 즐거워합니다.” 대구경북여성과학자협회 지원으로 진행되는 이공계
연구
실 탐방에 참여하고 있는 송 교수는 학생들에게 광섬유 통신을 설명하면서 그들이 어떤 내용을 좋아하는지 노하우를 꽤 쌓았다. 지난해부터 그의 실험실을 다녀간 초·중·고등학생 팀만 5개다. 기대해보자. ... ...
[수학]새로운 연산 정의하는 법
과학동아
l
200812
학생들을 지도하고 있으며 메가스터디 통합논술
연구
소
연구
위원으로 활발한
연구
와 집필 활동을 하고 있다. 학생들에게 자연계 통합논술에 대한 부담을 덜어주고자 분주한 나날을 보내고 있다. Q 1 다음 제시문을 읽고 물음에 답하라. 집합 G가 이항연산 *에 대해 다음 세 가지 공준을 만족시킬 때 G를 ... ...
지적 재산의 보호와 공유
과학동아
l
200812
발견한 라듐과 폴로늄을 이용해 새로운 화학물질을 만들고 색다른 실험을 통해 좋은
연구
성과를 얻을 수 있다. 이를 통해 볼 때 특허로 과학기술을 원천적으로 봉쇄시키는 방식은 옳지 못한 선택이다. 인류를 위해 여러 과학기술은 널리 퍼져야 한다. 특허는 각 회사의 기술 개발을 막고 특허를 받은 ... ...
“펄쩍!”메뚜기 로봇 등장!
어린이과학동아
l
200812
IEEA 로보틱스-오토메이션 컨퍼런스에서 메뚜기 로봇이 공개되었어요. 스위스 로잔대학교
연구
팀이 만든 이 로봇은, 5㎝ 키에 무게가 7g에 불과하지만 무려 1.4m나 뛰어오를 수 있다고 해요. 실제로 메뚜기나 방아깨비, 개구리 등이 움츠렸다 뛰어오르는 것처럼, 이 로봇도 스프링에 에너지를 ... ...
지구 3배만 한 행성 발견!
어린이과학동아
l
200812
6~8%밖에 되지 않아요. 그래서 중심에서 충분한 핵반응이 일어나기 어렵죠. 이 때문에
연구
팀은 중심별을 돌고 있는 나의 온도가 명왕성보다 더 낮을 거라고 보고 있어요.그렇다면 제2의 지구가 될 가능성이 낮은 거 아닌가요? 우린 명왕성처럼 추운 곳에서는 못 산다구요!크기가 작은 중심별은 행성의 ... ...
우리 은하의 팔은 두 개?
어린이과학동아
l
200812
센타우루스와 페르세우스 두 자리에서만 큰 나선형 팔이 관찰되었다는 거예요.계속되는
연구
로 우리은하의 팔 개수가 달라지다니, 우주는 아직도 풀어야 할 비밀로 가득한 것 같습니다 ... ...
삑~! 자연재해 경보 발령!
어린이과학동아
l
200812
지각의 이동을 세밀히 관찰하기도 한다. 과연 지진을 미리 알 수 있을까? 다양한
연구
와 이론을 짚어 보자.맨틀까지 뚫는다!우리나라를 비롯한 세계 여러 나라의 과학자들은 일본의 해양시추선‘지큐호’를 이용해 해저에 구멍을 뚫어 지진파를 측정하는 장비를 설치하고 있다. 지큐호는 최대 7㎞ ... ...
번쩍! 메가번개를 맨눈으로 보다
과학동아
l
200812
내가 우주에 와있다는 사실을 알까. 그곳에도 우주에 날아오르기 위해 밤을 새우며
연구
하는 과학자가 있을까. 그들도 우주를 꿈꾸고 있을까.북한에도 나처럼 어릴 적 보던 만화와 영화를 잊지 못하며 우주를 동경하는 사람들이 분명 있을 것이다. 머지않아 그들에게도 우주에 대한 경험을 얘기할 ... ...
[나노과학]탄소나노튜브가 그린 오바마 초상
과학동아
l
200812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 당선자의 깨알만 한 초상화가 화제다. 미국 미시간대 존 하트 교수팀은 탄소나노튜브 1억 5000만 개로 만든 오바마 초상인 ... 고성능 태양전지나 배터리, 기억소자 등에 쓰일 중요한 재료이기 때문에 이
연구
에 대한 대중의 지지를 얻기 위한 작품”이라고 설명했다 ... ...
[생명과학]흰개미 생존의 비밀은 이중 공생
과학동아
l
200812
게놈은 크기가 111만 염기쌍으로 질소를 고정하는데 필요한 유전자들이 분포해 있었다.
연구
자들은 “질소 고정과 셀룰로오스 분해는 원생생물 안에서 이뤄진다”며 “흰개미의 생존 배경에는 이렇게 고도로 발달한 공생시스템이 있다”고 설명했다 ... ...
이전
729
730
731
732
733
734
735
736
7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