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속
지속
퍼짐
속편
결과
뒤
후편
d라이브러리
"
계속
"(으)로 총 10,457건 검색되었습니다.
2. 밝혀지는 암 유전자, 그리고 DNA 칩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즉 유방암 환자들을 치료한 후 재발방지를 위해
계속
적인 투약이 필요한 그룹과 치료를
계속
하지 않아도 되는 그룹을 DNA 칩으로 구분할 수 있다는 얘기다.이처럼 DNA 칩과 같은 암게놈에 근거한 분자진단법은 유전자 수준에서 정확하고 세분화된 진단을 가능하게 해, 항암제의 종류와 투여량, ... ...
태양계 너머 또다른 목성이 있다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행성의 수가 1백여개에 불과하지만 앞으로 관측기술이 발전하면 훨씬 더 많은 행성들이
계속
발견될 것이라고 예상하는 일은 어렵지 않다. 아직까지 기체행성만 발견돼현재까지 발견된 행성들의 질량은 목성 질량의 10배에서부터 토성 정도의 질량(지구 질량의 80-90배)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하다. ... ...
7백만년 전 원인 화석 발견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현생 인류의 최고 조상으로 추정되는 7백만년 전 원인(猿人) 화석이 발견됐다. 프랑스 푸아티에대 미셸 브뤼네 박사가 이끄는 다국적 발굴팀은 지난해와 올 초에 걸쳐 ... 호모 에렉투스에서 다시 나타난다.하지만 과학계 일부에서는 이 화석의 진위 여부를 둘러싼 논쟁이
계속
되고 있다 ... ...
기후 변화 간직한 자연계의 하드디스크, 나이테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표준 나이테 그래프를 만들 수 있다. 이같은 방법으로 연대를 거슬러 올라가면서 작업을
계속
하면 ‘표준 나이테 그래프’를 완성할 수 있다. 연대를 모르는 유물은 나이테를 조사해 표준 나이테 그래프와 일치하는 부분을 찾아내 정확한 연대를 밝힐 수 있다.미국의 예를 보면 브리슬 콘 소나무를 ... ...
화성의 호수와 얼음, 그리고 생명체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행성 화성은 태양계에서 생명체에 대한 논란이
계속
되고 있는 행성이다. 하지만 화성에서는 생명체뿐만 아니라 생명체에게 필수적인 물이 확인되지 않았기 때문에 논의가 진척되지 못했다. 어떤 과학자들은 과거에는 화성에 물이 풍부했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그렇다면 그 많았던 물은 지금 어디로 ... ...
PART4 전자 하나로 작동되는 트랜지스터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2010년이면 한계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나노기술은 2010년 이후에도 무어의 법칙을
계속
실현시키기 위해 원자나 분자를 하나하나 조작해 소자를 만드는 전자혁명을 꿈꾼다. 이를 위해서는 반도체 기판에 회로를 새겨넣는 기존의 제조방식인 ‘탑-다운’(top-down)이 아니라 원자나 분자를 ... ...
Ⅱ 붉은악마 열광시킨 대형 전광판 LED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미니 브라운관과 미니 형광램프는 수명이 약 5천시간 정도로, 장시간 사용할 경우
계속
교체해줘야 한다. 또한 이들은 전력 소모가 많고 단위 소자의 값이 비싸다. 이에 반해 LED 기술은 발광소자의 수명이 수만 시간이 돼 거의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에너지 효율도 좋아 운영비용을 상당히 ... ...
파키스탄 유령 호수의 비밀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장기간 가뭄이 지속됐기 때문이라는 일설도 있다. 수천년 세월이 지난 지금에도 인간은
계속
되는 가뭄을 대처할 뾰족한 수단을 갖고 있지 못하다. 그래서인지가뭄 때문에 유령 호수가 돼버린 한나 호수의 이야기가 더욱 안타깝게 느껴진다 ... ...
2. 많을수록 똑똑해지는 분산 로봇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문제다. 디지털 통신은 정해진 대역 내에서 신호를 주고 받지만 정보를 보내는 환경이
계속
해서 변하기 때문에 일부 신호는 제대로 수신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때 진화 하드웨어 칩을 이용하면 환경에 따라 변하는 디지털 정보도 깨끗이 복구할 수 있다. 전체가 부분의 합보다 크다인간을 닮으려는 ... ...
왜 과학자들은 남극을 찾아갈까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점을 들 수 있다. 낮과 밤이 각각 여섯달씩
계속
되는 남극점에서는 태양이나 별을
계속
해서 관찰할 수 있어 천문학과 우주 연구에 아주 유리하다. 또 남쪽에 있고 문명세계의 교란이 적어 극궤도를 지나가는 인공위성의 제어와 궤도추적을 포함해 통신 연구와 위성연구에 유리하다.그렇다면 ... ...
이전
729
730
731
732
733
734
735
736
7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