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다"(으)로 총 9,379건 검색되었습니다.
- 천문학자 밴 앨런과의 대화과학동아 l1999년 04호
- 밴 앨런대는 내대와 외대로 나뉜다. 내대에는 주로 양성자가, 외대에는 전자가 모여 있다. 특히 내대는 위험한 영역이어서 유인우주선들은 가능한 한 이곳을 피해서 지나간다고 한다 ... ...
- ③ 아인슈타인은 실수하지 않았다과학동아 l1999년 04호
- 크기를 연구하던 두 그룹의 천문학자들은 생각보다 우주가10-15% 더 크다는 사실을 알아냈다고 주장해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즉 우주 팽창은 약간 가속되고 있고 우주상수의 역할은 생각보다 중요하다는 뜻이기 때문이다 ... ...
- 도로의 심장 교차로과학동아 l1999년 04호
- 입력돼 있다. 따라서 제어기에서 조정하는 시간에 맞춰 가로등이 자동적으로 점멸된다는 얘기다.마지막으로 100MHz 대역의 전파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서울시는 전지역의 가로등을 이 방법으로 점멸한다. 즉 사람이 정해진 시간에 전파를 보내 가로등을 끄거나 켠다. 실제로 한 관제소(중 ...
- ② 관측우주론의 딜레마, 자식보다 어린 부모?과학동아 l1999년 04호
- 천문학의 중심은 관측에 있다. 우주론 역시 관측된 사실을 바탕으로 한다. 그런데 관측우주론에는 여러 가지 딜레마가 있다. 우주는 지금 팽창하고 있는데 언제까지 팽창할지 알 수 ... 태어난 관측우주론은 20세기 말에 이르러 꽃이 피기 시작했는데, 21세기에는 만발할 것으로 예상된다 ... ...
- 고대) 로제타스톤의 비밀과학동아 l1999년 04호
- 세계 각지에서 독자적인 문명이 출현하면서 ‘사실적인 그림을 통한 커뮤니케이션’은 사라지기 시작했다. 이집트, 메소포타미아, 중국, 마야, 아즈텍과 같은 문명권은 각자 나름대로 ... 즉 바벨탑이 만들어질 때 이미 다른 문명권에서 독자적인 언어 체계가 갖춰졌을 가능성이 크다 ... ...
- 현대) 만국 공통언어로 부활과학동아 l1999년 04호
- 3사는 각각 영어로 R, Rm 또는 로밍이라 표시했다. 그런데 56명중 1명만이 뜻을 이해했다. 영어 알파벳 R이 '다시'를 뜻하는 'Re'를 연상하게 했기 때문인지 재다이얼, 재발신, 되돌리기 등으로 답한 사람이 많았다.또다른 예로 알람 기능을 살펴보자. 아이콘은 주로 시계로 표 ...
- 순간의 역사를 담은 창 필름과학동아 l1999년 04호
- 역시 생생함을 더욱 살리기 위해 포지티브 필름으로 촬영한 이미지를 스캔받아 사용한다.그렇다면 누구라도 이왕이면 포지티브 필름을 사용하는 편이 좋지 않을까. 하지만 포지티브 필름은 아마추어가 사용하기 어려운 면이 있다.가장 큰 문제는 포지티브 필름의 경우 빛의 관용도가 작다는 점이다 ... ...
- 무지개는 왜 원형일까과학동아 l1999년 04호
- 무지개가 빨주노초파남보의 순서로 만들어지는 이유는 무엇일까. 쌍무지개를 보기 위해서는 어떤 조건들이 필요할까. 도넛 모양의 무지개는 없는 것일까. 도시의 하늘에서 자취를 감춘 무지 ... 점점 높아진다. 이런 경우 해가 점점 지는 것과 반대로 점점 떠오르는 무지개를 볼 수 있다 ... ...
- 중세) 절대불가침의 영역 적십자과학동아 l1999년 04호
- 중세 유럽에서 발달한 또하나의 아이콘이 있다. 집단의 권위를 상징하는 문장(紋章)이다(과학동아 97년 8월호 참조). 하지만 중세의 문장은 아무나 사용할 수 있는게 아니었다. 단지 귀족 ... 신문이 등장한 18세기에 이르기까지 긴 세월을 지나고 나서야 일반인의 문맹은 깨지기 시작했다 ... ...
- 한국과학문화재단 조규하 이사장과학동아 l1999년 04호
- 국민들에게서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조 이사장은 요즘 별보기에 흠뻑 빠져있다. 별이 뜨면 부인과 함께 밤하늘여행을 떠난다고 한다. 과학문화운동을 몸소 체험해보려고 한 것이 아마추어가 돼버린 것이다. 언론계, 재계, 정치판을 누볐던 호랑이가 해가 지면 떠오르는 금성, 목성, ... ...
이전73073173273373473573673773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