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극치
비정상
전형
꿈
포부
미래상
희망
d라이브러리
"
이상
"(으)로 총 13,389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 뱅크를 아시나요?
과학동아
l
2007년 04호
발견한 애벌레를 그대로 죽일 수도 없었다.두 달 반 뒤 엄 교수는 자신의 대변에서 3m
이상
자란 기생충을 눈으로 확인했다. 그리고 이 기생충에 ‘아시아조충’(Taenia asiatica)이란 학명을 제안하는 논문을 발표했다. 그게 벌써 14년 전인 1993년의 일이다. 그리고 2000년 세계 기생충학계는 엄 교수의 ... ...
불안과 우울 날려버리는 거침없이 하이킥!
과학동아
l
2007년 04호
도울 정도로 착하다. 영어학원에서 원어민 선생님 얼굴만 봐도 기가 죽을 정도로
이상
적 자기와 실제적 자기의 차이가 큰 것이 문제이지만 말이다.여하튼 윤호는 할아버지를 닮아서인지 자주 화를 내고 불평을 한다. 그런데 순재와 윤호는 단순히 다른 사람을 공격하려고 화를 내지는 않는다. 그가 ... ...
ABC를 알면 꽃이 보인다
과학동아
l
2007년 04호
바로 그것이다.동물에 기형이 있듯이 식물도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일어나면 때로
이상
한 형태의 식물체가 자라기도 한다. 그 가운데는 잎과 줄기는 멀쩡하지만 기형 꽃이 피어나는 것들도 있다. 암술이 맨 바깥 동심원을 차지하는가 하면 꽃잎이 없는 꽃이 나오기도 한다.1990년대 이런 비정상적인 ... ...
내 몸속 미생물 동물원
과학동아
l
2007년 04호
산다. 마릿수로만 따지면 인간의 몸에 살고 있는 미생물이 인간의 세포수보다 10배
이상
많다. 인간 몸의 상당부분이 미생물의 자리라는 뜻이다.서울대 생명과학부 천종식 교수는 “인간은 수많은 미생물과 자신의 몸을 함께 사용한다”고 말했다. 즉 인간과 미생물은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산다는 ... ...
한반도에도 큰 지진이 날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3호
005년 일본 후쿠오카에서 대지진이 일어났기 때문에 한반도에서 몇 년 안에 5.0
이상
의 강진이 일어날 수 있다”고 주장했다.실제로 1976년 7월 중국 탕산에서 대지진이 일어난 뒤 2년 뒤인 1978년 우리나라 홍성에서 강진이 일어났다. 1995년 일본 고베에서 대지진이 일어난 뒤 1996년말 영월 지진이 ... ...
신궁 주몽에서 찾은 힘의 원리!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3호
힘의 합력은, 각각의 두 힘을 더했을 때보다는 항상 작게 된다.만약 작용하는 힘이 두 개
이상
이라면 차근차근 두 힘씩 평행사변형을 그려 계속 대각선을 구해 나가면 된다. 마지막 평행사변형을 그렸을 때 나오는 대각선의 길이와 방향이 모든 힘을 더한 힘의 크기와 방향이 된다. 평행사변형 ... ...
찜질방에서 과학과 숨바꼭질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3호
해야 할까?너무 뜨겁다고 느껴지거나 힘들다는 느낌이 들면 바로 나오는 것이 좋아. 30분
이상
을 넘기지 않는 게 좋지. 나온 후에는 충분히 휴식을 취해야 해. 찜질방 안에서 잠을 자거나 책을 읽는 것도 좋지 않아. 신체에서 나타나는 힘들다는 신호를 놓칠 수 있기 때문이야. 또 찜질방 안에서 뛰거나 ... ...
적을 무력화시키는 뜨거운 광선총
과학동아
l
2007년 03호
· 푸르푸랄 등 이다아데노바이러스과(科)에 속하는 바이러스의 총칭 인체에서는 33가지
이상
의 유형이 분리된다1953년 W P 로 등이 사람의 구개편도(口蓋扁桃)나 아데노이드의 조직배양에 의해 처음으로 분리했다 핵 속에서 증식하고 DNA를 함유하고 있는 것이 특징적이다 호흡기 · 눈 · 소화기 ... ...
PART1 과학으로 디자인한 콘셉트카
과학동아
l
2007년 03호
불편해 사고를 일으킬 수 있기 때문이다.실제로 대부분의 고급 승용차는 이용자가 중년
이상
인 경우가 많으므로 난시나 노안을 감안해 속도계를 비롯한 각종 패널에 인쇄되는 문자 크기를 소형 승용차보다 크게 설정한다. 이밖에 실내 부품에 무반사 처리를 하거나 시야각을 고려해 운전석을 ... ...
아우별이 형별보다 밝은 이유는?
과학동아
l
2007년 03호
굴절망원경으로 보면 단지 밋밋한 하얀색 별일 뿐이다. 그러나 망원경의 배율을 100배
이상
올리면 다른 광경이 나타난다. 밝게 빛나는 점으로 보이던 별이 눈사람처럼 옆으로 퍼지면서 마침내 아령처럼 둘로 분리된다.카스토르는 맨 눈으로 보면 하나의 별이지만 망원경으로 보면 두 개의 별로 ... ...
이전
730
731
732
733
734
735
736
737
7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