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지
보고서
통고
알림
통보
보도
레포트
뉴스
"
보고
"(으)로 총 10,787건 검색되었습니다.
R&D 잘하는 기업 살펴보니…“아이템보다 사람 발굴이 먼저”
동아사이언스
l
2018.11.12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제공 연구개발(R&D) 성과가 우수한 기업일수록 인재 발굴에 적극적이고 연구 인력에 자기계발 기회를 많이주는 것으로 나 ... R&D 혁신활동 활성화에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KOITA R&D 인덱스 조사결과
보고
서는 산기협 홈페이지(koita.or.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 ...
전기車 전원 ‘슈퍼 커패시터’ 1000분의 1로 줄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11
만들어 실험한 결과, ‘120㎐(헤르츠)’ 주파수의 전기를 저장할 때 현재
보고
된 수치 중 최고 면적·부피당 용량을 달성했다. 다양한 크기나 모양으로 제작이 가능하고 구부러진 상태에서도 3만 번 이상 충·방전할 수 있다. 상용화 과정에선 기존 구형 콘덴서 방식의 전원공급장치에 비해 부피를 100 ... ...
"빠르게 성장하는 中 로봇산업, 국내기업 경쟁력 강화 시급"
연합뉴스
l
2018.11.11
쿠카를 45억유로에 인수하는 등 적극적인 인수합병을 통해 존재감을 키워가고 있다.
보고
서는 로봇산업이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중요한 신성장 분야로 우리나라의 혁신성장을 위해 로봇산업의 경쟁력 제고와 글로벌 시장 확보가 매우 시급하고 중요한 과제라고 강조했다. 조은교 부연구위원은 ... ...
줄기세포로 파킨슨병 치료 도전
동아사이언스
l
2018.11.11
‘미토콘드리아’ 에서 발생하는 일부 거부반응은 완전히 피하기 어려워 경과를
보고
있다. 연구진은 부작용 여부를 면밀히 살펴 6개월 후 오른쪽 뇌에 다시 한 번 신경세포를 주입할 계획이다. 교토대는 2020년까지 50~69세 환자 7명에게 이식 수술을 할 예정이다. 임상시험 결과를 토대로 일본 제약사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진심이라는 거짓말
2018.11.11
진심과 공감의 역설 강아지의 재롱을 보면 아주 기분이 좋아집니다. 주인을
보고
꼬리를 살랑살랑 흔드는 강아지의 본심을 오해할 수는 없습니다. 세상 어딘가에는 주인이 싫으면서도 가식적으로 꼬리를 흔드는 개가 있을 수 있겠지만, 대부분은 아주 솔직합니다. 좋으면 좋아라 하고 싫으면 ... ...
깃털처럼 가볍고 튼튼한 소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11.10
같은 부피의 공기와 비슷하다. 공기 1㎥의 무게는 1.2kg로 알려져 있다. 지금까지
보고
된 탄소 소재 중 무게가 가장 가볍다. 그래핀 버블은 원래 크기의 10분의 1로 압축해도 본래 크기로 돌아오는 탄성을 가졌다. 차세대 운송수단 및 드론의 내부 구조재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바닷새 먹이사슬이 바뀌고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10
생물다양성이 줄어들고 저위도 지역에선 아름다운 산호초 모습이 사라지고 있다고
보고
있다. 바닷가에 사는 새들도 예외는 아니다. 국제학술지 ‘사이언스’는 9일 둥지에 있는 알을 돌보느라 여념이 없는 붉은배지느러미발도요(Phalaropus fulicarius)의 모습을 표지에 실었다. 보젝 쿠벨카 체코 ... ...
"어디라야 안전할까" 美-EU 화성 탐사 로버 착륙지 놓고 '고민'
동아사이언스
l
2018.11.08
선택하면, 표면에 접근하는 로버를 제어할 시간을 더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또 위도가 높은 지역으로 탐사선을 보낼수록 착륙지점에 정확히 착지할 가능성은 낮아진다. 마시아 발리스가 옥시아 플라눔보다 더 북쪽에 있어 이런 불확실성이 크다는 전망도 제기됐다. ESA는 엑소마스 제작 ... ...
유전자 변이 막고 암 치료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08
연구를 진행하면 2형 효소만 골라 기능을 차단하는 약품 등을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김 교수는 “앞으로 이어질 후속 연구에서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암세포 사멸, 종양혈관 형성 억제 효과를 높여줄 신약개발이 기대된다”고 밝혔다. 이 연구 성과는 생화학 및 분자생물학분야 ... ...
배고플 때 예민한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18.11.08
단계에서 발견되는 감각기관 이상 증상의 원인을 규명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보고
있다. 김 교수는 “동물의 섭식과 감각신경 사이 상호작용이 어떤 방식으로 이뤄지는지를 밝혀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생명과 분야 국제학술지 ‘엠보 저널’ 지난 8월 1일자에도 소개됐다 ... ...
이전
730
731
732
733
734
735
736
737
7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