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몸소
즉석
곧
즉시
당장에
바로
뉴스
"
직접
"(으)로 총 8,091건 검색되었습니다.
거짓말만 하면 딸꾹질 ‘피노키오 증후군’ 진짜 있나?
2014.11.23
점에서 한계가 분명하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과학자들은 거짓말을 할 때 뇌의 변화를
직접
측정하는 기능성자기공명영상(fMRI) 기술에 주목하고 있다. 특정 순간에 뇌 혈관 속의 산소량의 변화를 측정하는 것이 핵심이다. 다만 법정은 과거 거짓말 탐지기가 그랬듯이 fMRI를 이용한 거짓말 탐지기도 ... ...
‘로체스터 투명망토’
직접
체험해보니
2014.11.21
‘로체스터 망토’의 렌즈 사이로 기자의 얼굴을 집어넣었더니 왼쪽 눈 주변이 사라졌다. 눈이 보여야 할 자리에는 렌즈 뒤편에 붙어 있는 모눈종이가 나타났다. - 이우상 기자 idol@donga.com 제공 지름 5cm 렌즈 뒤로 얼굴을 들이밀자 왼쪽 눈 주변이 감쪽같이 사라졌다. 눈동자와 피부가 있어야 할 자 ... ...
[사이언스 브리핑] 2014 10대 과학기술뉴스 투표 外
2014.11.21
물론이고 일반 국민도 투표할 수 있으며 한 해 동안 있었던 사건과 연구 업적 중에서
직접
고르면 된다. 투표 기간은 다음 달 1일까지이며 온라인(10news.kofst.or.kr)에서도 투표할 수 있다. ■ 한국과학기술한림원은 21일 경기 성남시 분당구 한림원회관 대강당에서 ‘2014년도 청소년과학영재사사’ ... ...
최정문의 공대가 좋아! 시즌2 [제10편]
동아사이언스
l
2014.11.19
백문이 불여일견! 중고생들이
직접
찾아가는 본격 이공계 진로탐방 프로그램, 최정문의 공대가 좋아! 시즌2 제10편에서는 컴퓨터 하드웨어 설계부터 다양한 소프트웨어까지 포괄적으로 다루는 컴퓨터공학부를 탐방한다! 초대손님은 컴퓨터 애니메이션을 연구하는 이제희 교수! ... ...
[채널A] 뜨거운 기름에 물,
직접
실험해 보니…‘화염방사기’ 변신
채널A
l
2014.11.19
큰 일 납니다. 담양 펜션 참사가 딱 이런 경우였습니다. 얼마나 위험한 지 이영혜 기자가
직접
실험해봤습니다. [리포트] 고기를 굽던 곳에서 어떻게 이런 참사가 발생했을까? 뜨겁게 달궈진 기름에 물이 닿으면 어떻게 되는지 알아보기 위해 프라이팬과 식용유로 실험해봤습니다. 30초 정도 ... ...
수능 개편 TF 만들어 출제시스템 대폭 수술
동아일보
l
2014.11.19
수능 전에라도 개선할 수 있는 것은 개선해야 한다는 방침”이라며 “황우여 장관이
직접
이 문제에 관여할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한편 교육부와 평가원은 올해 수능에서 출제 오류 사태를 빚은 영어 25번 문항에 대해 내부적으로 복수 정답으로 처리하기로 결론을 내렸다. 복수의 교육부와 ... ...
[제주]“제주를 전기車 허브로”…
동아일보
l
2014.11.19
5만 명 이상이 관람하는 등 관심을 이끌어내는 데 성공했다. 전기자동차의 기술과 제품을
직접
경험하고 친환경적인 자동차산업 발전은 물론 전기자동차의 대중화를 앞당기는 촉매 역할을 한 것으로 평가받았다. 임재영 기자 jy788@donga.com [화제의 뉴스] - 100억대 자택 내놓은 강덕수 회장, 왜? - 폈다 ... ...
[과학 발언대] “시리어스 게임은 시리어스 비즈니스다”
2014.11.18
확인하고 민간 차원에서 자생적으로 이뤄진 한국과 네덜란드의 협력 연구의 결실을
직접
체험할 수 있게 돼 기쁘다”면서 “지금부터 중요한 것은 양국이 협력해 이런 창조 산업의 씨앗이 잘 성장하도록 돕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권은희 새누리당 국회의원도 행사를 위해 영상메시지를 ... ...
KAIST생이 개발한 3D 프린터, 大인기
2014.11.18
주기 위한 전략이다. 개발진은 단가를 낮추기 위해 운송 장치 등 대부분의 부품을
직접
개발했다. 이 과정에서 기존 베어링 대신에 자체 개발한 부품을 써 델타 방식으로 출력할 때 발생하는 소음을 크게 줄이는 데도 성공했다. 노즐과 받침대 사이가 항상 평행을 유지하도록 ‘오토레벨링’ 기능을 ... ...
태양보다 150배 더 무거운 별이 있을까?
2014.11.17
그렇다면 어떻게 그 먼 거리에 있는 별의 질량을 알 수 있을까. 물론 별의 질량을
직접
측정하는 건 불가능하고 관측된 별의 밝기와 거리를 바탕으로 이론(모형)에 맞춰 계산한 결과다. 즉 먼 거리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별이 꽤 밝다면 질량이 엄청나게 크다는 말이다. 태양 질량의 수십 배인 별의 ... ...
이전
730
731
732
733
734
735
736
737
7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