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수님
교사
가르치기
수업
교육
정교수
선생
d라이브러리
"
교수
"(으)로 총 8,276건 검색되었습니다.
'암기'와 완전결별 선언한 수학능력시험
과학동아
l
199310
못할 것이다."탈(脫)교과서의 어려움과학교육 평가를 전공한 이화여대 과학교육과 허명
교수
(39)는 "지식과 지식을 얻는 과정은 상호보완적이어야 한다. 원래 수학능력시험은 예비고사적 성격이 켰으나 대다수의 대학에서 본고사를 포기하는 바람에 수능시험이 본고사의 역할까지 떠맡는 상황이 ... ...
프랑스 첨단과학기술 6
과학동아
l
199310
랑스강 하구에 설립된 조력발전소가 대표적이다.1906년 최초로 개스통 부셰(Gaston Boucher)
교수
가 제안해 계속 조사 연구되다가 1951년 지브라(Gibrat)박사의 주도 하에 건설계획을 수립, 1961년 착공해 1967년에 완공, 가동중이다. 이 지역(북위 46°31′, 서경 1°59′)의 평균조차는 8.5m(최소 3.5m 최대 13 ...
지맥 단절이 생태섬 만든다
과학동아
l
199310
빨라질 수 밖에 없다.유입 생물은 없고 사람은 파괴 앞장 최근 서울대학교 김태욱
교수
가 조사한 수도권지역의 아생조류 종수 및 개체수를 살펴보면 생태 섬의 면적이 좁을수록 생물종수가 적음을 알 수 있다(표1). 광릉숲은 우리나라에서 보존 역사가 가장 오래된 숲의 하나이지만, 광릉보다 ... ...
노벨상 못타도 부끄럽지 않은 과학자 길
과학동아
l
199310
회)다. 조 박사는 KAIST로 바뀐 한국 과학원(KAIS)의 3대 원장을 거쳐 지금은 한양대학교 명예
교수
다. 그리고 왼쪽에서 세번째가 필자.이 당시는 모두가 노벨상을 꿈꾸었을 것이고 물리학계에 큰 족적을 남기고자 했을 것이다. 물론 노벨상을 탄 사람은 없다. 하지만 미국에서 유학을 마치고 돌아온 ... ...
우리별 2호
과학동아
l
199309
발사비용을 포함하여 총 제작비 31억 원, 인공위성연구센터(이하 센터라 함)내의
교수
및 연구원 등 40여 명과 항공우주연구소 시스템공학연구소 그리고 전파연구소 등의 협력으로 9개월여 만에 국내에서 우리 기술진의 힘으로 제작, 드디어 발사를 눈앞에 두고 있는 것이다. 영국의 서리대학은 ... ...
혼돈이론 응용 전자공학의 새 세계 연다
과학동아
l
199309
혼돈현상이 CMOS회로로 구현됐다. 또한 동경 전기대학의 아이히라
교수
와 상지대학의 쇼노
교수
연구실에서도 CMOS로 혼돈칩을 설계해 그 제작을 회사에 의뢰해놓은 중이다.최근 뇌활동의 상태를 이해하기 위한 실험으로서 뇌파 뇌자계 막전위 등의 측정이 가능해짐에 따라 뇌에 대한 구조적 연구와 ... ...
「광역 초팽창이론」확립한 천문대 라대일 박사
과학동아
l
199309
90년 펜실베이니어 대학에서 광역(extended)인플레이션이론으로 학위를 취득했다. 그의 지도
교수
는 옛소련의 린데와 함께 뉴(new)인플레이션이론으로 유명한 스타인하트. 라박사는 스타인하트와 공동으로 뉴인플레이션이론이 가지고 있던 문제점을 극복하고 광역초팽창이론(extended inflation theory)을 ... ...
벽에 부딪친 초전도 연구에 돌파구 제시한 고려대 최동식
교수
과학동아
l
199309
하고 다닙니다. 그런 사람이 처음부터 외국의 권위지부터 찾을 수 있겠습니까."처음 최
교수
가 초전도 연구를 시작한 것은 학생들에게 물리화학특론을 강의 하면서부터. 동양과학의 특성을 강조 하면서 자연현상을 이해하기 위해 전자 속에 들어가보자는 말이 씨가 되어 오늘에 이르게 되었다고 한다 ... ...
해안선의 형태가 해일에 큰 영향
과학동아
l
199309
튀어나와 파도를 잡아당길 때 발생할 수 있다.도쿄대 지진연구소의 소세이 아베
교수
에 따르면 곶의 해변에 닥친 파도는 가장 가까운 곳에 있는 얕은 물과 만나 곶의 안쪽으로 돈다고 한다. 그 결과 오크지리와 같은 곶은 세 방향에서 해일의 공격을 받게 된다는 것.2백40명의 인명을 앗아간 이 해일은 ... ...
인공생명 탄생 멀지 않다
과학동아
l
199309
화면으로 보여줄 수 있으므로 컴퓨터 그래픽에 활용되고 있다. 캐나다의 프로신키위츠
교수
가 식물이 성장하는 모습을 모의하여 컴퓨터 그래픽으로 생생하게 보여준 소프트웨어가 단연 돋보인다.인공생명의 접근방법에 의하여 가장 괄목할 만한 결과를 내놓은 분야는 로봇공학이다. 매사추세츠 ... ...
이전
732
733
734
735
736
737
738
739
7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