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즉석
곧
즉시
당장에
직접
꼭
varo
d라이브러리
"
바로
"(으)로 총 11,958건 검색되었습니다.
개미는 무엇으로 사는가 - 앤트워크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땅 속에 묻혀 보이지 않던 개미의 생태를 쉽게 관찰할 수 있는 과학완구가 나왔다.
바로
2005년 타임(Time)지가 선정한 10대 장난감 중 하나인 앤트워크(AntWorks)다.앤트워크는 우주정거장 같이 중력이 약한 공간에서 개미가 어떻게 집을 짓고 사는지 알아보기 위한 NASA의 실험 과정에서 탄생했다. 보통 ... ...
뒤죽박죽 백설공주 구출 작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8호
백설공주는 침대에 누워 왕자를 기다린다. 이 때 백설공주의 안전을 책임질 보디가드가
바로
일곱난쟁이다. 하지만 문제가 생겼다. 일곱 명이어야 하는 난쟁이가 모두 여덟 명인 것이다. 앞에 있는 물건들이 일곱 난쟁이의 물건이라면 이런 물건이 없는 한 사람의 가짜 난쟁이를 찾아라! mission 4 누가 ... ...
자연에 숨어있는 수학의 코드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8호
벗어난 곳, 머나먼 우주에서도 수학의 코드를 찾아 낼 수 있다. 대표적인 것이
바로
원 모양이다. 지구는 둥글고 태양, 목성, 토성 심지어는 그 고리까지 둥글다. 별은 하루를 주기로 하늘을 한 바퀴 도는 것처럼 보인다. 또 지구는 1년에 한 바퀴씩 태양 주위를 공전한다.케플러는 한걸음 더 나아가 ... ...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과 함께한 놀자, 과학아! 샌프란시스코 과학놀이 체험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8호
정말 신기한 벽이에요.홍옥수 연구원그림자를 잡아두는 이 신기한 벽의 비밀은
바로
‘인광 물질’ 이에요. 인광물질은 빛을 받으면 그 빛을 잠시 보관한 후 다시 내어 보냅니다. 플래시가 번쩍하는 순간, 빛을 받은 부분은 인광 물질에 의해 잠시 빛나지만, 우리의 몸에 의해 빛을 받을 수 없던 ... ...
과학기술인 명예의 전당에 오른 19인의 과학도사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8호
1731〜1783)세종대왕 때 이룩한 독자적인 과학 발전은 조선 후기에 들어 그 빛을 잃고 만다.
바로
중국과 유교에 대한 지나친 숭배가 그 원인이었는데 홍대용은 당시 청나라를 통해 들어온 서양과학을 우리나라에 도입하려고 한 대표적인 실학자다. 그가 집필한‘의산문답’에는 우리나라 최초로 땅은 ... ...
꼬마잠자리의 슬픈 비행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낳은 알은 부화해 애벌레 상태로 겨울을 지낸다. 우화(羽化)는 습지에서 자란 풀줄기
바로
위에서 하기 때문에 눈에 잘 띄지 않는다. 꼬마잠자리가 세운 나름대로의 삶의 전략이다.49년 전 발견 그리고 부활우리나라 꼬마잠자리는 49년전에 처음 발견됐다. 고려대 생물학과 김창복 교수가 1957년에 ... ...
해저 2만리 과학 3만리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할 수 없다.바다의 깊이는 쥘 베른이 생각했던 것보다 깊지 않다. 현재까지 알려진
바로
는 바다에서 가장 깊은 곳은 필리핀 인근 챌린저해연 근처에 있는 마리아나해구로 수심이 1만1022m다. 1960년 심해유인잠수정 트리에스테호가 마리아나해구의 수심 1만910m까지 들어간 예가 있다. 소설이 완성되고 ... ...
챌린저호 폭발 원인은 통계의 오판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즉 온도가 낮아지면 접합이상이 증가한다는 상관관계가 나타나는 것이다. 비극의 원인은
바로
여기 숨어있었다. 신용평가나 희귀병 진단에서도 나타나우주왕복선 챌린저호 참사가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는 무엇일까. 성급함 때문에 충분히 보고 알 수 있는 사실마저 간과해버리고 말았다는 점이다. ... ...
목숨 살리는 '생명 빨대'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스트리밍 기술은 인터넷의 성장과 함께 더욱더 중요해지고 있는데, 그 이유는 사용자가
바로
다운로드할 수 없을 정도로 멀티미디어 파일이 대용량이기 때문이다 스트리밍 기술을 이용하면 파일이 모두 전송되기 전에라도 사용자의 브라우저 또는 플러그인이 데이터를 구현해준다일반적으로 ... ...
제2의 대포동 쇼크의 진실은?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하나는 장거리 탄도미사일인 대포동 2호(백두산 미사일)로 발사 직후 이상 작동을 보이며
바로
통제 불능 상황에 빠져 폭발했다.북한은 주변국을 위협할 만큼 충분한 미사일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장거리 탄도미사일이나 대륙간탄도탄(ICBM)을 쏠 수 있는 기술능력은 아직 ... ...
이전
732
733
734
735
736
737
738
739
7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