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가
서기
저널리스트
사무원
연예기자
연예
필자
뉴스
"
기자
"(으)로 총 46,178건 검색되었습니다.
"석유화학에 머물렀던 화학공학, 반도체·소재 분야서 존재감 커져"
동아사이언스
l
2024.04.26
에서 열린 한국화학공학회 봄 학술대회에서 인터뷰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제주-박정연
기자
hesse@donga.com "과거 화학제품 안에 머물렀던 화학공학은 이제 그 영역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반도체와 배터리 원료, 바이오 의약품 그리고 친환경 소재까지 산업계에서 폭발적인 수요 증가가 이미 체감되고 ... ...
차기 의협 회장 압수수색…의료계 "정부, 정치 보복에 탈법·편법까지"
동아사이언스
l
2024.04.26
차기 대한의사협회 회장이 지난달 11일 서울 용산구 의협회관에서
기자
회견을 갖고 있다. 대한의사협회 제공. 대한의사협회 회장 당선인에 대한 압수수색이 긴급 진행되자 의료계는 정부가 ‘정치적 보복 행위’를 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번 달 말까지 대입 모집 정원을 공표하고 이후 관련 절차를 ... ...
액체 기반 뉴로모픽 컴퓨팅 소자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4.26
박정열 교수 연구팀이 개발한 유체 기반 컴퓨팅 소자의 모습을 나타낸 그림이다. 서강대 제공 국내 연구팀이 액체를 기반으로 한 '뉴로모픽' 컴퓨팅 소자를 개발했다. 뉴로모픽 컴퓨팅은 뇌의 구조를 모사하고 작동 원리를 컴퓨팅 시스템에 사용하는 분야다. 기존 컴퓨팅 소자의 고질적인 문제였던 ... ...
[인사] 한국전기연구원
동아사이언스
l
2024.04.26
◇한국전기연구원 △전기재료연구본부장 정희진 △나노융합연구센터장 정승열 △전기특성시험실장 김동수 △재무실장 지현미 ...
中, 유인우주선 선저우 18호 발사…우주정거장 '톈궁'과 도킹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4.04.26
26일 중국 우주정거장 '톈궁'에서 선저우 17호 우주비행사들이 선저우 18호 승무원들과 만나 인사하고 있다. 신화통신/연합뉴스 제공 중국이 우주정거장 ‘톈궁’을 활용해 과학 연구를 진행할 유인우주선 ‘선저우 18호’를 성공적으로 발사해 톈궁과 도킹하는 데 성공했다. 중국 '우주굴기'가 속도 ... ...
"미국과의 공동연구, 선진국에 돈 퍼주기 아냐"
동아사이언스
l
2024.04.26
JEJU)에서 열린 대한화학공학회 봄 학술대회에서 인터뷰 질문에 응답하고 있다. 한국과학
기자
협회 제공 "현재 국제공동연구에서 가장 바람직한 파트너는 미국입니다. 오랫동안 쌓아온 우호적인 관계는 다른 나라와 비교하기 어려운 수준입니다. 장비나 시설에 대한 접근성이 뛰어나며 연구 과정에서 ... ...
콜록콜록 백일해, 전년 대비 33배 증가…최근 10년 중 최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4.26
콧물, 기침 등이 나는 백일해 환자가 올해 크게 증가해 유행 추세를 보이고 있다. jat306/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올해 백일해 환자가 지난해 동기간 대비 33배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 이전보다도 증가했다. 질병관리청은 24일 기준 올해 발생한 백일 ... ...
암 생존자의 고독감, 사망 위험 높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4.26
암 생존자의 정신건강을 살피고 지원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JV_YOONJAE/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암 진단 후 치료를 통해 생존이 가능해진 사람을 ‘암 생존자’라고 한다. 암 생존자가 외로움을 느끼면 생존율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나 정신건강을 지원하는 조치가 필요한 것으로 확인됐다. ... ...
세계 두번째 유전자 조작 돼지 신장 사람에 이식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4.04.26
미국 뉴욕대 랭곤 병원 의료진이 유전자 조작 돼지의 신장을 사람에게 이식하고 있다. 랭곤 병원 제공 지난달 미국에서 세계 최초로 유전자 조작 돼지의 신장을 이식받은 환자는 건강하게 퇴원한 것으로 알려진 데 이어 한달여만에 유전자를 조작한 돼지의 신장을 살아있는 사람에게 이식하는 사례 ... ...
이산화탄소 먹는 콘크리트…연간 50만톤 탄소 감축
동아사이언스
l
2024.04.26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이 개발한 이산화탄소 나노버블 배합수 제조 장치. 건기연 제공. 나노미터 크기의 기포를 활용해 이산화탄소를 콘크리트 안에 저장할 수 있는 기술이 국내 최초로 개발됐다. 탄소중립에 도움이 될 뿐 아니라 콘크리트 강도를 높이고 시멘트 사용량을 줄이는 부수적인 효과도 볼 ... ...
이전
733
734
735
736
737
738
739
740
7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