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부
구분
일환
일부분
부문
조각
분류
d라이브러리
"
부분
"(으)로 총 8,360건 검색되었습니다.
남북과학기술교류 물꼬트는 한국의 과학자들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그 한 예. 한반도의 핵문제는 핵무기설치논란 등으로 남북 양쪽이 모두 민감한
부분
이라 현실적인 접촉가능성이 희박해보이지만 회원인 이명근씨(강화병원·예방의학)는 "위험이 있기에 더욱 만나서 공동협력해야 한다"고 주장한다."1980년 IPPNW(세계핵전쟁방지의사연합회)를 창설한 주역은 적국으로 ... ...
남쪽하늘의 거대한 방패연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별들은 V자형태를 하고 있는데 이 별무리를 히아데스(Hyades) 성단이라 부른다. 황소의 얼굴
부분
을 이룬다. 그리스신화에 따르면 이 황소는 제우스가 아름다운 여인 유로파에게 반해 그녀에게 접근하기 위해 변신한 모습이라고 전해진다. 또 이 황소좌에는 초신성의 폭발잔해인 게성운(M1)이 있다. 이는 ... ...
피라미·지렁이·이끼가 사라지고 있다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이렇게 되자 미꾸라지마저 농약의 영향으로 전멸해가고 있다. 그래서 지금의 추어탕은 대
부분
양식 미꾸라지에 의존한다. 그만큼 수질의 오염이 극심해진 결과라고 할 수 있다.지렁이와 두더지의 수난토양오염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농약을 안 주거나 또는 아주 적게 주는 논밭에서 주로 퇴비를 ... ...
활용분야 넓혀가는 클린룸기술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안되는 제품을 써야 하고, 특히 외부에서 클린룸안에 들어갈 때는 눈을 제외한 모든
부분
을 감싸는 무진복을 입는 것은 당연하고 무진복에 묻어있는 먼지를 공기샤워를 통해 제거한후 입실하여야 한다. 그리고 반도체 클린룸의 근무자는 여러가지 금지사항이 많다. 왜냐하면 클린룸내에서 오염의 ... ...
PARTⅣ 인류로의 진화 침팬지에서 호모 사피엔스까지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최초의 생물도 모습을 드러냈다.우주력 1초는 5백년우리가 알고 있는 생명체의 역사는 대
부분
12월 중순 이후에 이루어진다. 사실 12월이 돼서야 대기중의 산소가 풍부해지기 때문에 새로운 생물체는 12월 15일 이후에야 본격적인 시즌을 맞는다. 19일에 최초의 어류가 탄생하고 23일에는 파충류, 2 ... ...
밖에서 본 북한의 동식물 실태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경우 남한에 비해 집중적인 도시화나 공업화가 진행되지 않아 우리보다 보존이 잘 된
부분
도 적지 않으리라 추측하지만 북한 역시 에너지자원 부족으로 인해 삼림남벌이 행해졌으리라는 점을 생각하면 생태계가 적잖이 파괴됐을 것으로 짐작됩니다.따라서 한반도 생태계를 살리려면 하루바삐 ... ...
1. 소프트웨어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레이저빔 프린터가 인기 상품으로 부상하고 있고 레이저빔 프린터를 생산하는 대
부분
의 업체들이 인쇄물의 모양을 좋게 해주는데 필수적인 포스트스크립트(postscript) 언어를 지원하겠다고 한다. 물론 우리나라에는 포스트스크립트 처리용 소프트웨어를 만들어내는 회사가 없기 때문에 이 기능이 ... ...
일본의 기술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이용하여 무공해 전기를 생산하고 파나마운하의 바로 남쪽인 콜롬비아의 북서쪽 끝
부분
에 대서양과 태평양을 잇는 다리를 건설하고자 꿈꾸고 있다.나아가서 그들은 사막에 물을 조달하고, 인도평원의 홍수를 없애고, 보다 나은 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기후를 변화시키는 방법까지도 꿈꾸고 있다 ... ...
PARTⅢ 메탄과 암모니아의 변신 생명의 씨앗은 어디에서?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에너지원을 바꿔가면서 유사한 실험을 실시했다. 그 결과 생물체를 구성하고 있는 대
부분
의 성분이 무기물로부터 생성될 수 있음이 입증됐다. 이러한 실험은 태양계의 다른 곳에서도 비슷한 화학반응이 일어날 수 있음이 밝혀지면서 더욱 중요한 발견으로 인정되기에 이르렀다.1969년 9월 28일 호주의 ... ...
허블이 보내온 토성 사진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상공의 대기 모습이 비교적 상세하게 찍혔는데, 이는 보이저 탐사에도 잘 잡히지 않았던
부분
. 천문학자들은 이 사진을 통해 극지방의 대기활동에 대한 보다 자세한 자료를 얻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허블망원경에서 토성의 북극지방과 인접한 사진을 찍을 수 있었던 것은 토성이 지구를 향해 2 ... ...
이전
734
735
736
737
738
739
740
741
7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