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초
개시
처음
기원
발단
출발
근원
d라이브러리
"
시작
"(으)로 총 14,059건 검색되었습니다.
‘똑똑한 하천’ 스마트 리버를 아시나요?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스마트 리버가 없는데, 우리나라 4대강이 최초의 실례가 될 전망입니다.”정 교수는 최근
시작
된 4대강 사업에 큰 기대를 걸고 있다. 4대강 사업은 그동안 사실상 방치해왔던 우리나라 주요하천에 대한 최초의 종합적인 정비사업이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하천 정비의 필요성은 늘 제기돼왔지만 예산 ... ...
자전거 40년 노하우를 한 권에!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이것에 무엇을 더하면 이것이 되는가?’라는 의문문으로 바꾼 사고의 전환에서
시작
됐다.” 기원전 2000년경 사람이 임의의 수를 나타낼 기호의 필요성을 느끼면서 미지수가 탄생했다는 얘기다. 이 책은 누가 어떻게 대수를 발전시켰는지 당시 역사적 사건과 문화에 대한 이야기를 통해 생생하게 ... ...
청정 원자력 발전의 꿈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그리고 안전한 납-비스무스 액체금속 냉각기술과 그에 적합한 구조재료에 대한 연구를
시작
했다. 1년여 연구를 진행하던 무렵, 미국의 로스알라모스 국립연구소를 방문 연구할 기회가 생겼다. 당시 미국 내 납-비스무스 액체금속 냉각기술 연구를 선도하던 닝 리(Ning Li) 박사팀과의 연구 경험은 세계 ... ...
한반도 호랑이 복원 프로젝트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백성의 생명을 보호하고 농경지를 개간한다며 호랑이를 잡는 포호정책을 시행하기
시작
했다. ‘백성을 위해 해를 없앤다’는 의미의 ‘위민제해’ 논리에 따라 민족의 영물로 여겨졌던 호랑이를 흉악한 짐승인 ‘악수(惡獸)’로 규정했다.이 같은 ‘호랑이 몰아내기 운동’으로 한반도 대부분의 ... ...
동식물의 즐거운 새해맞이 잔치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진딧물이 만든 단물“먹는 게 남는 것.” 동물의 세계에도 이 말이 있나 보다. 잔치가
시작
하기가 무섭게 동물들은 각자 자기가 가장 좋아하는 먹을거리 앞에 모였다. 동식물 잔치를 축하하는 사람들이 친히 남긴 특별한 음식도 있다.앙상한 나뭇가지에 달린 감이 다홍빛으로 예쁘게 물들었다. ... ...
유전자 쏙 빼니 암컷이 수컷으로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작동하지 않던 SOX9 유전자가 발현되면서 3주 후에 테스토스테론(남성호르몬)이 생성되기
시작
했다. 성별이 바뀐 쥐들은 일반 암컷 쥐보다 100배 많은 테스토스테론을 생산했는데, 이는 거의 남성 쥐와 같은 수준이다. 하지만 난소에서 변한 정소는 정자를 생산하지는 못했다.연구를 이끈 리처드 ... ...
새해 첫 천문이벤트 금환일식을 즐기자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전후로 해의 70%가 가려지는 식 최대가 된다. 하지만 달이 해를 빠져나가기 전 일몰이
시작
되기 때문에 일식을 볼 수 있는 시간은 채 1시간도 되지 않는다.제주서귀포에서는 해의 77%가 가려지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비교적 동쪽에 있는 대전은 해의 69%가, 부산은 61% 정도가 달에 가려진다. 국내에서 ... ...
정신줄 놓다 에 대한 3가지 고찰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뇌손상인지, 심장마비 또는 약물이나 과음의 영향인지를 신속히 가려내야만 치료를
시작
할 수 있다.하지만 수술실에서는 오히려 인공적으로 환자의 정신줄을 놓게 만든다. 수술 중에 정신줄을 잡고 있게 되면 ‘수술 중 각성’이라는 문제가 나타나기 때문이다. 이때의 의식은 나에게, 또는 내 ... ...
두 남자의 호주 사막 조난기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지형이 너무 험하고 외져 있어 호주 사회에도 1980년대 후반에서야 이름이 알려지기
시작
했다.퍼스를 비롯해 서호주 일대가 최근 빠르게 발전하고 있지만 이곳은 아직 미개척지로 남아 있었다. 지금도 진입로 일부를 제외한 대부분 구간은 비포장 상태다. 오후 6시 반. 하루치 분량의 식량과 기름을 ... ...
특종! 맹꽁이 생태보고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6호
꽁-꽁-꽁” 울지. 그러면 암컷은 더 크고 우렁찬 소리를 내는 수컷에게 폭~ 안겨 짝짓기를
시작
해.맹꽁이는 주로 비가 많이 오는 6~7월에 비로 생긴 물웅덩이나 도랑물에서 1년에 한 번 짝짓기를 해. 수컷이 암컷의 뒤로 가서 앞다리로 겨드랑이 아래를 껴안고 있으면 얼마 뒤 암컷의 몸에서 알이 ... ...
이전
735
736
737
738
739
740
741
742
7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