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사
공부
탐구
학습
학업
탐사
면학
d라이브러리
"
연구
"(으)로 총 22,887건 검색되었습니다.
[QUIZ KING & KAIST] 젓가락을 부탁해!
수학동아
l
2017년 03호
2017년 새 학기가 시작하고 첫 수업을 함께 들은 수지와 정수. 긴 겨울방학이 지나고난 뒤 들은 수업 탓에 금세 배고파진 둘은 점심을 먹으러 식당으로 향했다. 수문연과 함께하는 수학 논술KAIST에서 새내기를 위한 공간인 ‘새방’을 만들려고 한다. 새내기가 자주 가는 인문사회과학부동과 창의 ... ...
[에디터 노트] 에디터 토크 2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인재)’니까. 근대를 만드는 데 공을 세운 여성들을 부각하고자.최 : 오래 잊혀졌던
연구
자의 생애를 후학의 증언을 토대로 담담히 그려보고자.편 : 누구네 팀원인지 훌륭.우, 최 : (좀 스스로 숨을 줄도 알았으면. ... ...
[과학뉴스] 한반도까지 날아온 아프리카 화산재 첫 관측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분석한 결과를 국제학술지 ‘대기환경’ 1월 17일자에 발표했다. 노영민 GIST 국제환경
연구
소 교수팀은 레이저 레이다(라이다)를 이용해 2011년 한반도 상공의 성층권을 관측하던 중 6월 19일 이상 신호를 포착했다. 기상 자료를 바탕으로 대기의 흐름을 역추적하고 위성 자료와 비교 분석한 결과 6월 1 ... ...
[과학뉴스] 네이처 기후변화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팩터)는 2015년 기준 2년 평균 17.184로 매우 높다. 그만큼 기후변화와 관련된 가장 중요한
연구
결과들이 이 학술지에 게재된다. 전 세계 기후변화 관련 정책에도 영향을 미친다 ... ...
[과학뉴스] 3차원 홀로그래피 디스플레이 성능 수천 배 높였다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재생화면의 크기가 1cm, 시야각 3° 정도가 최대였다. TV 화면은 구현하기 어려웠다.
연구
팀은 공간광변조기에 거울과 광학확산기 두 개로 빛을 넓게 산란시키는 방법을 적용했다. 그 결과 가로와 세로, 높이가 각각 2cm, 그리고 시청 각도가 35°까지 확대된 3차원 홀로그래피 디스플레이를 구현하는 데 ... ...
[과학뉴스] ‘마이크로 물방울’로 엽록소 반응 관찰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광합성 효율을 조절하는 산화방지반응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했다.
연구
결과는 ‘쿼틀리 리뷰스 오브 바이오피직스’ 2월 1일자에 실렸다 ... ...
[포토뉴스] 쓰레기통으로 목성의 대기 흐름 재현하다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미국과 프랑스 공동
연구
팀이 대형 산업용 쓰레기통을 이용해 목성의 대기 흐름을 실험적으로 구현하는 데 성공했다고 ‘네이처 피직스’ 1월 23일자에 밝혔다. 목성 대 ... 중인 탐사선 ‘주노’가 보내오는 대기 정보와 시뮬레이션 데이터를 비교하며 목성 대기
연구
를 지속할 계획이다 ... ...
[Issue] 과학·공학·의학 발달의 일등공신 ‘히든 피겨스’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정부출연
연구
소들이 늘어나면서 대학 이외에도 경력을 쌓을 수 있는 경로가 생겨났지만,
연구
소의 문호는 여성에게 쉽게 개방되지 않았습니다.오늘날에도 여전히 사회 곳곳에서 히든 피겨스가 노력하고 있습니다. 우리의 삶은 자명하게 그들에게 빚이 있지만, 관심 갖는이는 드뭅니다. 눈을 크게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받은 정상 UBE3A를 발현시켜 치료하는 방법도
연구
가 되고 있습니다. 실제로 2015년에 미국
연구
팀이 이런 기술을 사용해 엔젤만 증후군 증상을 나타내는 쥐의 지적 능력을 향상시키기도 했고요(doi:10.1038/nature13975). 인간에게 사용되기까지는 시간이 좀 걸리겠지만, 우리 희망을 걸어볼까요 ... ...
[Origin] 잠자는 사자는 과연 너그러운 걸까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낳으면 된다. 만약 이러한 개체 선택론에 기반한 설명이 괭이갈매기 개체군을 실제로
연구
한 결과 뒷받침됐다면, 집단 선택론 설명은 자연히 기각된다는 것이다.요약하자. 조지 윌리엄스는 개체군 내에 존재하는 대립유전자들 사이의 선택이 복잡하고 정교한 적응을 만든다는 사실을 확립했다. ... ...
이전
735
736
737
738
739
740
741
742
7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