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구도"(으)로 총 8,834건 검색되었습니다.
- 1 크게 보면 같은 꼴-시작도 끝도 없다과학동아 l1995년 01호
- 정상우주론의 변형인 준정상우주론에서는 우주는 늘 같은 꼴로 있지 않고 잠깐씩 진화할 수 있으나 거시적으로 보면 균질하고 등방이라고 주장한다. 이 모형의 최대장점은 대폭발이론에서 가정하는 암흑물질의 존재가 필요치 않다는 점이다.현대우주론에서 가장 많이 연구되는 우주진화모형은 대 ... ...
- 광공해 없는 겨울 은하수를 찾아서과학동아 l1995년 01호
- 올해부터 천문페이지는 '아스트로 월드'로 새단장을 합니다. '이달의 천문현상'은 천문대 천문정보실 문홍규연구원이 맡아 꾸미며 '사진으로 떠나는 별자리여행'은 한국아마추어 천문학회 이태형 사무처장이 구성합니다. 이 밖에도 천문학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시의적절하게 제공할 예정입니다 ... ...
- 발효식품 탁월과학동아 l1995년 01호
- 예부터 우리 조상은 뛰어난 과학성을 발휘해 왔다. 세계 최초의 금속활자를 만들었는가하면 한글을 창제했고, 청자 백자기술을 개발했는가 하면 측우기를 발명했다. 21C 첨단기술시대를 앞두고 우리 조상의 슬기를 알아보는 '한국인의 과학성 탐구'를 새로 연재한다. 이 달에는 첫번째로 발효식품 ... ...
- 21C 100대 한국 과학기술과학동아 l1995년 01호
- 전국의 각 분야 전문과학 기술자들이 제안한 3만여 개의 예측대상 과제 중 약 1천2백 개의 과제를 선정, 4천5백명의 과학기술자를 상대로 설문조사한 제1회 과학기술예측조사가 나왔다. 이 예측조사 결과에는 2000년대 한국의 과학기술력과 세계 빅7의 비전이 담겨 있다.과학기술정책관리연구소(STEPI) ... ...
- 2 태초 초고밀도의 한점-대폭발 급팽창과학동아 l1995년 01호
- 태초의 우주는 엄청나게 밀도가 크고 무지막지하게 뜨거웠다. 그 상태에서 대폭발을 일으켜 팽창우주가 되었다는 것이 현대우주론의 정설로 자리잡았다.미국의 천문학자 허블(Hubble)이 관측한 바에 따르면 우리로부터 더 먼 은하일수록 더 빠른 속도로 멀어지고 있었다. 예를 들어 A라는 은하가 B라 ... ...
- 물리- 자석힘으로 소금물이 뱅글뱅글과학동아 l1995년 01호
- 자석과 전지에 의해 소금물이 뱅글뱅글 돈다면 믿을 수 있을까요? 소립자 물리학에서 사용하는 커다란 입자가속기의 원리도 바로 여기서 비롯되는데, 자연의 신비는 참으로 오묘하고도 절묘하기만 합니다. 준비물원형자석, 건전지, 도선, 금속봉, 샬레, 알루미늄 호일, 소금실험방법① 샬레에 물을 ... ...
- 2. "이동통신 시장 잡아라" 불꽃다툼과학동아 l1994년 12호
- 요즘 세계의 내노라하는 통신회사들은 지금까지와는 차원이 다른 방식의 통신을 구현하기 위해 골몰하고 있다. 저궤도 통신을 이용해 아무 제약없이 지구 어디에서나 누구와도 통신을 한다는 이 계획은 일면 황당하기까지 하다. 하지만 앞으로 10년 이내에 이들 계획은 모두 현실로 나타난다.지금 ... ...
- 전설의 섬 이어도 해양과학기지로 되살린다과학동아 l1994년 12호
- 전설의 섬 '이어도'라는 이름으로 더 잘 알려진 파랑도에 다목적 종합해양과학기지가 세워진다. 이 기지에는 헬기착륙장 선박계류장 등대 관측실험실 통신실 등이 갖춰진다.이어도는 (그림 1)과 같이 동경 1백25˚ 10´ 46˝, 북위 32˚ 07´ 48˝에 위치한 수중 암초다. 제주도에서 서남단 85해리, 일본의 도 ... ...
- 3. 미리 본 차세대 운영체계 '윈도스 95'과학동아 l1994년 12호
- 윈도우 3. 1의 후속편 '시카고'의 최종 베타판이 나오면서 소문만 무성하던 이 운영체계의 모습이 조금씩 드러나고 있다. 완벽을 요구하는 운영체계의 성격 때문에 정식 발표가 늦어지고 있는 '윈도스 95'는 빌 게이츠가 또 한번의 시장 제패를 노리고 있는 야심작이다.요즘의 컴퓨터 환경을 보노라면 ... ...
- 사람의 마음 컴퓨터에 이식한다.과학동아 l1994년 12호
- 뇌를 제외한 생리기능이 기계로 대치된 인간, 사이보그는 물론, 인간의 마음을 기계에 이식하는 아이디어까지 등장했다. 과연 미래의 인류는 어디까지 기계이고 어디까지 인간일까.인류의 장래를 예측함에 있어 생물적 요인보다 기술적 측면을 훨씬 더 중요하게 고려하는 작금의 추세는 결코 놀라 ... ...
이전73573673773873974074174274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