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고려대학교
고대
고려대
d라이브러리
"
고려대학
"(으)로 총 1,030건 검색되었습니다.
세균 크기 로봇이 몸속에 들어가 치료하는 마이크로 머신 전성시대 온다
과학동아
l
199305
마이크로 머신은 기존 기계의 축소품이 아니다. 멋 모르고 그 세계에 들어갔다가는 낭패를 당하기 십상개미나 모기 크기 정도의 로봇이 있다고 생각해 보자. 더 나아가 세균만한 크기의 현미경적 로봇이나 분자(分子) 크기의 로봇을 상상해 보자.과연 로봇이란 느낌이 들겠는가. 로봇이 인간과 닮을 ... ...
과학기술연구원 유전공학연구소 이대실 박사
과학동아
l
199305
오늘의 한국인 과학자, 그들은 누구인가. '생명공학'을 통해 내일의 한국을 여는 일에 몰두하는 KIST 유전공학연구소 이대실 박사의 어제와 오늘, 그리고 내일을 들어본다.대전에서 약 15분, 오는 8월의 개막을 앞둔 EXPO 전시관들을 오른편으로 두고 띄엄띄엄 각종 건물들이 들어선 대덕연구단지가 나 ... ...
2030 뉴로컴퓨터
과학동아
l
199304
인간의 감각과 사고과정을 그대로 모방한 컴퓨터를 뉴로컴퓨터 또는 바이오컴퓨터로 부르지만 학자들마다 머리속에 그리고 있는 그림은 다르다.미래의 컴퓨터라고 인정되는 것에는 초병렬컴퓨터 광컴퓨터 바이오컴퓨터 뉴로컴퓨터 등이 있다. 이들은 광컴퓨터나 초병렬 컴퓨터와 같이 기존의 ... ...
바이오스피어Ⅱ 위기
과학동아
l
199304
산소결핍증이 나타나 바이오스피어 Ⅱ의 거주자들은 당초 계획과는 달리 외부에서 산소를 공급받고 있다.1991년 9월 26일 미국 애리조나주의 남부지방 도시 오라클에서는 역사적인 행사가 진행되고 있었다. 1987년 초에 시공하여 무려 4년 이상의 공사를 해 건립된 대규모 실험장치의 운행을 가동하 ... ...
한글 워드프로세서 어떤 것이 좋을까
과학동아
l
199304
어떤 워드프로세서를 사용하는 것이 좋을까. 시중에는 20여종의 한글 워드프로세서가 나와 있다. 전문가들은 자신의 용도와 시스템의 성능에 알맞는 워드프로세서를 사용하도록 권하고 있다. 한글 사임당 워드 보석글 팔란티어 등 각 워드프로세서들을 기능별로 비교 분석해보았다.인간은 글을 쓰 ... ...
특허받은 동물들이 몰려온다
과학동아
l
199304
발암생쥐 등 몇몇 형질변환동물에 특허권이 주어지고 있다. 한동안 인정되지 않았던 생명체에 대한 특허가 다시 부활된 배경은?최근 선진국에서는 유전공학적인 방법에 의하여 인위적으로 유전형질이 변환된 동물(transgenic animal, 形質變換動物)을 새로운 발명품으로 간주, 법적으로 특허권을 부여 ... ...
⑤ 한국천문학의 미래를 건다
과학동아
l
199303
1995년부터 보현산 천문대의 1.8m 망원경이 가동되기 시작하면 우리나라 천문학은 새로운 도약이 이루어질 것이다.소백산천문대의 직경 60cm 망원경은 선진국의 경우 20세기 초에 이미 보유하고 있던 크기다. 현재 외국의 수준 높은 아마추어 천문가들도 이 정도 규모의 망원경을 이용하여 관측하고 있 ... ...
② 거인의 눈으로 천체를 살핀다
과학동아
l
199303
소백산천문대 60cm망원경을 통해 식쌍성연구에 많은 연구성과를 올렸다.우리 천문대는 현재 소백산천문대에 60cm 광학 망원경과 이에 따른 여러 관측 보조 장비들을 갖추고 있다. 특히 건물 하나를 첨성대의 모습을 본따 지어 고려시대의 서운관, 조선시대의 관상감으로 맥을 이어 내려온 우리 민족 ... ...
러시아 「인공 달」의 정체
과학동아
l
199303
「인공달」, 즉 우주거울은 보름달 3~5개에 해당하는 밝기의 빛을 지상의 특정지점에 비추었는데···지난 2월 러시아의 과학자들은 광채나는 플라스틱 조각을 우주에 떠올리는데 성공했다. 이것은 밤을 낮으로 바꾼다는-적어도 일몰시간을 연장한다는-매혹적인 생각을 현실화한 첫번째 시도였다. ... ...
독특한 삶 속에서도 빛나는 업적 남긴 20세기초 수학의 천재들
과학동아
l
199303
수학사에 등장하는 수많은 수학자들 중에서 특이한 점을 지니고 있는 세 수학자를 소개한다. 이들은 모두 20세기 초반에 활동한 공통점을 지니고 있다.함수론에 큰 업적 남긴 라마누잔(Srinivasa Ramanujan. 1887~1920)여러분은 수학사나 레크리에이션수학에서 1729라는 숫자를 접해 본 적이 있을 것이다. 1729 ... ...
이전
69
70
71
72
73
74
75
76
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