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결과
실적
결말
성적
결실
결정
소산
d라이브러리
"
성과
"(으)로 총 2,117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한국 최초 우주인 탄생 D-99 체크리스트
과학동아
l
200801
결과가 좋을 경우 ‘네이처’나 ‘사이언스’ 같은 저명한 과학 저널에도 실을 만한 연구
성과
를 얻을 수 있다”고 귀띔했다.과학자들만 우주실험을 기대하는 건 아니다. 우리 우주인이 ISS에서 머무는 동안 10분간의 생방송 인터뷰가 4번에 걸쳐 이뤄진다. 중력이 거의 없는 ISS에서의 생활과 창을 ... ...
특집02 세포창조 무한도전
성과
있을까?
과학동아
l
200801
“나는 인공생명을 창조하고 있다.”2007년 10월 6일 영국의 일간지 ‘가디언’은 인간 유전체 해독에 앞장섰던 미국 크레이그 벤터 연구소(CVI)의 ... 쓰는 '종의 기원' 특집01 전자회로 설계하듯 생명체 디자인한다 특집02 세포창조 무한도전
성과
있을까? 특집03 뚝딱뚝딱 '프랑켄슈타인 세포' ... ...
'휴보' 기술로 개기일식 촬영하는 로봇공학자
과학동아
l
200801
과학을 전해야 한다는 의무감을 느낀다. 내가 즐거워 하는 연구지만 나의 연구
성과
를 과장되지 않게 알려 다른 사람도 즐겁게 해줄 수 있다면 좋지 않은가.생생현장 따라잡기황홀한 터키 개기일식 관측기별똥별이 비처럼 쏟아지는 유성우, 긴 꼬리를 자랑하는 혜성의 출현, 여러 행성의 정렬 등 ... ...
'팔방미인' 독도의 속살을 벗기다
과학동아
l
200801
독도엔스와 독도심층류, 독도효과처럼 국제학술지에 독도라는 이름이 들어간 과학적
성과
가 많이 발표될수록 한국과 독도의 연결고리가 든든해진다는 것이 독도사업단의 생각이다. 이렇게 모은 해양조사자료는 2010년까지 지리정보시스템(GIS)에 기반한 데이터베이스로 만들어질 예정이다.독도 ... ...
순록들의 크리스마스 선물 대작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0723
만들 수 있으니까요. 모든 건물과 등장인물을 조립하면 높이 31㎝, 너비 38㎝인 멋진
성과
키가 33㎝나 되는 거대한 용을 만들 수 있습니다.몬스터 공룡덴마크 레고레고‘몬스터 공룡’시리즈는 792개 조각 부품을 이용해 거대한 생물체를 만들 수 있습니다. 모터 두 개와 소리를 내는 사운드 모터가 ... ...
과학자들의 수다 최초과학자 3인은 누구?
어린이과학동아
l
200719
결정하는 게 유전자라는 것까지는 알아 내지 못했지만, 이것만으로도 당시에는 최고의
성과
였다구. 사실 다윈의 진화론에서 부족한 부분을 내가 채워 준 셈이지.신토불이 과학자를 잊지 말라이제 과학자들을 골고루 다 만난 건가? 아무리 꿈이라지만 여기 저기 하도 돌아다녔더니 다리도 아프고, ... ...
황우석 줄기세포, 처녀생식으로 만들어져
어린이과학동아
l
200716
없이 키워 배아로 만드는 거예요. 사실 처녀생식 줄기세포만 해도 학문적으로는 아주 큰
성과
예요. 여성은 처녀생식 줄기세포만으로 도 난치병을 치료할 수 있거든요. 황 박사가 연구 결과를 속이지 않고 처녀생식줄기세포를 만들었다고 솔직하게 말했으면 좋았을 거예요 ... ...
소음 잡은 블루투스 헤드셋
과학동아
l
200712
말하며 외행성에 한하여 쓰는 용어다외행성-지구-태양 순으로 일직선이 될 때이며 외행
성과
의 거리가 가장 가까운 때다 또 태양 정 반대쪽에 위치하므로 밤새 관측할 수 있다지구에서 보았을 때 태양과 행성이 이루는 각을 말하며 지구에서 보아 행성이 태양의 동 서 어느 쪽에 있는지에 따라 ... ...
암정복 꿈꾸는 '생명설계도' 지킴이
과학동아
l
200712
성과
와 앞으로의 가능성을 인정받아 2단계 창의연구단에 선정됐다.고비를 넘기자 연구
성과
가 봇물 터지듯 쏟아졌다. 손상된 DNA를 회복시키는 새로운 단백질 구조와 기능을 속속 밝혀 2단계 3년 동안에는 저명한 학술지에 논문을 22편이나 발표했다. 학술지의 표지를 장식한 일도 3번이나 됐다.“사실 ... ...
과학의 힘으로 장애를 뛰어넘다
과학동아
l
200712
좁혀가며 분석해 원인유전자를 찾아냈다. CMTX5병을 처음 발견하고 거의 2년 만에 얻은
성과
였다.김 교수는 “원인유전자인 PRPS1은 DNA나 RNA의 핵산을 만드는 유전자”라며 “말초신경계 유전질환과의 관련성은 처음 드러났기 때문에 앞으로 이 유전자의 대사과정을 연구하면 치료제도 개발할 수 ... ...
이전
69
70
71
72
73
74
75
76
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