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옳음
정당함
d라이브러리
"
공정함
"(으)로 총 1,162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백과사전 24권을 핀 머리에 써넣는다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20세기에 인간은 1백만분의 1의 마이크로세계를 정복했다. 그리고 이제는 10억분의 1의 나노세계를 개척하고 있다. 마이크로세계와 나노세계는 단지 크기의 차이일까. 나노과학이 제시하는 미래는 어떤 모습일까.얼마전 모방송의 퀴즈프로그램에 다음과 같은 문제가 나왔다.문제 : 산자부가 정보기 ... ...
PART 4. 프로펠러 달고 몸 속 누비는 생체기계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수십억년 동안 이뤄온 진화의 결과는 실로 대단하다. 열역학 제2법칙을 무시하는 듯,나노미터 크기의 생체분자는 정교한 방식으로 기능한다. 어떻게 생체분자는 자연으로부터 얻은 에너지를 이용해 인간이 만든 어떤 기계보다 높은 효율로 운영할 수 있을까.인간이 이를 모방할 수 있다면 얼마나 ... ...
유산균 시장의 아우토반 쎌바이오텍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셀바이오텍은 우리나라 바이오벤처 1호라는 명성에 걸맞게 커다란 성과를 이뤄내고 있다. 특허 하나 가지고 있지 않으면서도 세계 수준의 바이오 기업으로 인정받는 쎌바이오텍의 비결은 무엇일까.1995년 2월 사장과 4명의 연구원으로 설립. 그 해 7월 제1공장 완공. 8월 연구소 설립. 12월 대량생산 ... ...
세계에서 가장 작은 와인잔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일본전자회사 NEC, 하메지 기술연구소의 신지 마쯔수이 교수 연구팀, 그리고 세이코 기계회사는 공동으로 세계에서 가장 작은 와인잔을 만들어냈다고 지난해 12월 7일 NEC가 발표했다. 잔의 크기는 외부지름이 2천7백50nm(나노미터, 1nm=${10}^{-9}$m)로 나노단위다.이 와인잔을 만드는데 쓰인 기술은 최정밀 ... ...
고기를 연하게 만들려다 발견된 살균 방법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고기를 연하게 만들려던 시도가 육류의 안전성을 높이는 방법으로 발전한 연구결과가 미국 농무부 농업연구소(ARS)의 과학자들에 의해 발표됐다. 대장균과 다양한 병원균이 고기에 번식하며 살기 때문에 식중독에 걸리거나 다른 병에 감염될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이제 이런 걱정을 덜 수 있게 됐 ... ...
1. 독가스를 난방연료로 둔갑시키는 재주꾼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소화효소는 음식물이 몸 안에서 잘 소화되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수행한다.이처럼 다른 물질들끼리 반응하도록 도와주는 물질을 촉매라고 한다.인간의 삶에서도 칭찬을 통해 사기를 복돋아 주는 것처럼 비슷한 행위가 많다.“갑돌이와 갑순이는 사랑을 했더래요 …”라는 노래가 있다. 그런데 노래 ... ...
정상인 능가하는 감동의 스포츠드라마 파랄림픽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몇달전 서울 한 초등학교의 청각장애소녀가 서울시장기 탁구대회에서 단·복식,단체전을 휩쓸며 화제가 된 적이 있다.10월 중순에는 장애를 이겨내는 스포츠드라마 시드니 파랄림픽이 있었다.과연 장애있는 선수들이 가진 능력의 한계는 어디까지일까.올림픽이 열릴 때면 경기기록의 결과뿐만 아 ... ...
1. 공중에 솟은 정원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공중정원은 실제로 공중에 떠있는 것이 아니라 높이 솟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연속된 계단식 테라스로 된 노대에 풀과 꽃, 수목을 심었기 때문에 멀리서 보면 마치 삼림으로 뒤덮인 작은 산과 같다. 현대적 관점에서 보면 계단식 아파트의 발코니에 꽃과 커다란 나무들을 심은 것과 유사하다. 공 ... ...
첨단 토목공학이 건설한 한국 최장의 다리 서해대교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지난 11월 10일 우리나라에가 가장 큰 규모를 자랑하는 다리,서해대교가 개통됐다.토목공학의 꽃이라 불리는 사장교 방식으로 건설돼 국내 건설수준을 한차원 높였다고 평가받는 서해대교.그 거대한 구조물 속에 숨쉬는 첨단 토목기술을 만나보자.11월 10일 경기도 평택시와 충남 당진군 사이의 20리 ... ...
전쟁 승세 뒤바꾼 촉매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1차 세계대전이 발발하기 6년 전인 1909년에 독일의 화학자 하버는 수소와 질소의 혼합가스를 높은 온도와 압력에서 철촉매를 사용하면 암모니아가 생성되는 것을 발견했고, 1913년에 보쉬와 함께 암모니아의 대량생산에 성공했다.수소는 물을 전기분해하거나 석탄을 고온으로 가열해 분해하면 됐 ... ...
이전
69
70
71
72
73
74
75
76
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