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초"(으)로 총 3,427건 검색되었습니다.
- [Career] 슈퍼컴과 친해진 일주일과학동아 l2016년 09호
- 가르쳐 줬다. 학생들은 명령어 사용법에서 압축파일을 만들고 폴더를 이동하는 방법까지 기초를 배웠다.슈퍼컴퓨터가 실생활과 과학 연구에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도 배웠다. 고영일 서울대 의대 혈액종양내과 교수는 의학 분야에서 슈퍼컴퓨터가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 소개했다. 이미지를 ... ...
- PART 1. 바벨탑은 무너져야 했을까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바빌론에 있었던 것은 확실하다. 바빌론에는 ‘에테메난키(Etemenanki, 하늘과 땅의 기초가 되는 집이라는 뜻)’라는 지구라트가 있었다. 지구라트는 벽돌을 차곡차곡 쌓아 올린 높은 건축물을 말하는데, 에테메난키는 바빌론의 수호신인 마르두크를 위해 지어진 것이다. 에테메난키의 면적은 ... ...
- [News & Issue] 이산화탄소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이를 위해서는 추가적인 사용처를 확보해야 한다. 건물 지반 외에도 도로나 철도의 기초지반에 사용되는 성토재 등으로 활용범위를 넓히기 위해 계속 연구하고 있다. 우글우글 슈퍼균주가 이산화탄소 먹어치운다대기 중 이산화탄소를 없애는 가장 대표적인 방법은 광합성이다. 하지만 자연적인 ... ...
- [Career] 손으로 만지고 즐기는 이노베이션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저학년 반은 이노베이션뮤지엄의 전시시설을 이용해 직접 만지고 보며 디스플레이의 기초를 배웠다. 버튼을 조작해 화면의 화소를 조절하고, 색깔을 바꾸다 보니 울며불며 누나와 헤어졌던 동생도 어느새 친구들 사이에 끼어 재밌게 놀고 있었다. 고학년 반은 에너지의 개념과 디스플레이의 종류 ... ...
- [지식] 재미난 수학이 삶을 바꾸다수학동아 l2016년 09호
- 사람이 살아가는 데 필요한 단 하나의 능력일지 몰라요. 이런 능력을 기르기 위한 가장 기초가 수학이에요.”그녀는 수학을 포기하는 일명 ‘수포자’도 많고, 반대로 경시대회에만 목숨 거는 친구들도 많은 현실을 찔렀다.“KMO(한국수학올림피아드)나 경시대회를 위한 여름/겨울학교에 들어가는 데 ... ...
- [News & Issue] 꿀벌은 꿀맛을 알까?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비롯된다. 그런데 곤충 뇌의 ‘중심복합체(central complex)’라는 부위가 의식 중 가장 기초단계에 해당하는 ‘주관적 경험’을 처리한다. 즉, 곤충 뇌는 인간의 중뇌와 같은 기능을 한다.따라서 곤충도 의식을 가진 존재다.”주관적 경험이란 다양한 감각정보를 이용해 주변 환경을 경험하고 학습한 ... ...
- [News & Issue] 허수의 실체를 찾아서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양자와 전류의 움직임을 설명하는 파동함수는 복소수가 거의 필수적이다. 안흥주 DGIST 기초과정부 교수는 “복소수 없이도 파동을 표현할 수 있지만 매우 복잡한 형태가 될 것”이라며 “복소수는 위치와 방향을 한 번에 표현할 수 있는 최고의 도구”라고 말했다. 최근에는 다른 분야에서도 ... ...
- PART 3. 거대 도시가 사라지려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해체방법을 다르게 적용할 수밖에 없다. 해체 순서는 교량 상판, 교각과 교대, 그리고 기초부위로 탑다운 방식으로 이뤄진다.교각이나 교대는 대부분이 콘크리트다. 교각을 부수는 데 발파공법을 이용할 수도 있고 절단기를 이용할 수도 있지만, 발파로 파쇄하면 콘크리트 잔재가 수중에 가라앉아 ... ...
- [과학뉴스] 방귀를 연료로 쓴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8호
- 내뿜는 메탄가스는 이산화탄소와 더불어 대표적인 온실가스 중 하나예요. 그런데 최근 기초과학연구원 백무현 교수팀이 메탄가스를 화학 연료나 플라스틱 등의 유용한 물질로 만들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어요.연료, 플라스틱, 섬유, 의약품 등 우리가 생활에서 사용하는 수많은 물건들은 석유에 ... ...
- [과학뉴스] 공룡 멸종 이유가 어둠이 무서워서?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인간은 언제부터 어둠 속에서 물체를 구별할 수 있었을까. 한․미 공동 연구팀이 망막 내 명암을 인지하는 간상세포가 밝은 빛을 통해 색 ... 못해 멸종했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김정웅 교수는 “이번 연구결과는 안구질환 치료나 기초 생명과학 분야에 널리 활용될 수 있다”고 말했다 ... ...
이전69707172737475767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