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농도
밀집 상태
비중
에너지밀도
에너지
에네르기
빽빽함
d라이브러리
"
밀도
"(으)로 총 1,868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공태양 빛낼 플라스마의 꿈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수 천만~수 억℃에 이르는 플라스마를 효과적으로 가둬 운전하는 기술이나 플라스마의
밀도
를 측정하는 장치를 연구하고 있다. 내년 초 건설을 목표로 소형 토카막 실험 장비도 직접 설계해 제작하고 있다.하지만 핵융합 기술만 연구하는 것은 아닙니다. 핵융합 기술의 기본 전제인 플라스마는 그 ... ...
향기가 퍼져나가는 이유는?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방향으로 직선 운동하면서 충돌한다. A라는 기체 분자가 지속적인 충돌을 통해 일정한
밀도
와 압력으로 존재하는 밀폐된 공간에 B라는 기체 분자들을 주입했다고 가정하자. B분자들 사이의 거리는 상대적으로 가깝고, B와 A분자 사이의 거리는 상대적으로 멀다. 그 결과 B분자들 사이의 충돌 횟수가 더 ... ...
전기 만드는 벌집 구조 창문 생길까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증발한 폴리머만 남아 벌집 모양의 반복적인 패턴이 형성됐다. 리머가 비교적 높은
밀도
로 응집해 있는 가장자리는 광자를 흡수하고 전하가 흐르는 성질이 어났다. 반면 중앙부는 이런 성질이 떨어지는 대신 폴리머의 응집 비율이 낮아 투명했다.이 투명한 필름을 유리창에 붙이면 전기를 만드는 ... ...
3차 나로호에 실릴 인공위성 공개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검증위성은 1년 이상 상공에 머물며 임무를 맡을 예정이다. 검증위성에는 우주의 전자
밀도
를 측정하는 ‘랭뮤어탐침’, 우주 궤도상의 누적 방사선량을 측정하는 ‘우주방사선량 측정센서’가 실린다. 그리고 ‘반도체 오류 측정센서’와 ‘펨토초레이저발진기’를 탑재해 반도체와 ... ...
인류의 에너지원 ‘별’ 탐구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줄어든 천체로, 우유병 하나에 1t의 물질을 압축해 넣은 정도로
밀도
가 크다. 이런 고
밀도
의 별에서는 원자 안에서 움직이는 전자가 아주 빽빽해져 전자가 아주 좁고 제한된 범위 내에서만 움직일 수 있게 된다. 이런 상태를 축퇴(degenerate)라고 한다. 별이 백색 왜성 크기로 작아지면 축퇴 상태의 ... ...
제2의 지구 찾아 삼만 광년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판단한다. 가스 행성과 암석 행성을 구분할 수 있는 가장 정확한 방법은행성의
밀도
인데,
밀도
를 알아내기 위해서는 질량과 크기가 필요하다. 행성횡단에 의한 별빛가림 현상을 관측하면 행성의 크기를 비교적 정확히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별빛가림 현상이 나타난 행성만 가스 행성인지 암석 ... ...
[물리] 전기와 자기의 상호작용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자속)라 하고 Φ로 나타낸다. Φ=BA(단위 : Wb)코일면을 지나는 자속이란, 면에 수직한 자속
밀도
와 면적의 곱을 말한다. 코일면의 법선과 자기장이 이루는 각이 θ라면 자속은 Φ =BAcosθ이다.이 모형을 이용해 유도기전력의 방향을 찾을때는 자속의 방향도 고려해야 한다. 유도기전력의 크기는 도선의 ... ...
“소행성, 바다에 떨어지면 거대한 오존 구멍 생긴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500m, 1km인 소행성이 지구에 충돌하는 상황을 가정해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했다. 연구진은
밀도
가 1m3당 2000~3000kg인 소행성이 초당 18km의 속력으로 지구의 북반구에 45°로 충돌하는 상황을 가정했다. 연구진은 충돌 후 2분 30초가 지나면 지상으로부터 400km 위로 바닷물이 솟구치고, 충돌지점으로부터 100 ... ...
우주 끝까지 외계행성 찾는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판단하는 기준인 질량을 구할 수 없다. 하지만 시선속도 관측을 추가하면 행성의 크기와
밀도
를 정확히 측정할 수 있다.측성학적 방법도 행성을 찾는 데 쓰인다. 측성학적 방법은 천구 위에서 별의 위치를 정밀하게 관측해 별의 공전을 파악하고 이로부터 행성의 움직임을 유추하는 원리다. ... ...
태양 쓰나미가 몰려온다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오존을 파괴하는 화학 물질을 생성한다. 실제로 1982년의 태양 양성자 사건 때에는 오존
밀도
가 일시적으로 70% 감소하기도 했다. 이로 인해 더 많은 양의 해로운 태양 자외선이 지표면에 도달한다.남는 전기 보내고 위험 시엔 아예 전력 차단태양폭풍의 피해를 막으려면 태양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 ...
이전
69
70
71
72
73
74
75
76
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