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밑바탕
밑동
내부
근본
바닥
저변
아래쪽
d라이브러리
"
밑
"(으)로 총 1,885건 검색되었습니다.
쓰나미 뚫고 통가 해저자원 탐사한다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것”이라고 말했다.9월 30일 사모아발 쓰나미 비껴가“저기 멀리 파도 치는 게 보이죠? 저
밑
에 산호초가 있기 때문에 파도가 해변까지 들어오지 못합니다. 초대형 쓰나미가 아니라면 저 벽을 넘지 못할 겁니다.”항만 출입문에서 차량출입금지 표시를 보고 다소 의아했던 기자는 온누리호에 와서야 ... ...
3Q로봇블록과 함께 생체모방 배워요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영화나 애니메이션에 나오는 로봇이 적들을 무찌르기 위해 갖가지 모습으로 변신하고 발
밑
에서 불꽃을 뿜어 하늘을 나는 데 그쳤다면 요즘은 로봇이 사람과 사랑에 빠져 눈물을 흘리기까지 한다. 바로 몇 년 전에 만들어진 로봇 영화를 봐도 유치하게 느껴질 만큼 로봇은 상상 속에서 무궁무진하게 ... ...
언어 유전자는 존재하나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실제로 단백질의 기능을 변화시켰음을 암시하는 결과다.기저핵은 대뇌반구의 안쪽과
밑
면에 해당하는 부위로 이곳의 회로는 언어처리와 관련돼 있다고 알려져 있다. 연구 책임자인 독일 막스플랑크 진화인 류학연구소 볼프강 에나드 박사는 “이 연구는 인류의 진화에 관련된다고 보이는 단백질을 ... ...
언어가 사고를 지배하는가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눈앞의 대상을 천으로 가려 안 보이게 했을 때 이 대상이 사라진 게 아니라 천
밑
에 있다는 걸 알아차리는 능력이다. 연구자들은 아이들이 눈앞에 보이는 대상의 위치 변화를 나타내는 단어인 ‘up(위)’이나 ‘down(아래)’을 대상의 존재변화를 나타내는 단어인 ‘gone(사라졌다)’보다 먼저 ... ...
사과를 가장 효율적으로 쌓는 법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보기 좋게 쌓여 있는 사과나 배를 볼 수 있다. 열과 행을 맞춰 서 있는 군인들처럼 맨
밑
에 사과를 일렬로 깔아놓은 뒤 그 위로 사과 사이의 움푹 들어간 곳에 두 번째 층을 쌓고 또 그 위로 움푹 들어간 곳에 세 번째 층을 쌓는 방식이다.사실 상인들은 수천 년 전부터 둥근 과일을 이런 식으로 ... ...
키를 쑥쑥! 성장호르몬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0호
키가 무슨 상관이에요! 아빠는 억지쟁이!”“게임보다는 시간과 관계가 있지. 뇌 바로
밑
에는 여러 호르몬이 분비되는‘뇌하수체’가 있는데, 이 곳에서 키를 자라게 하는 ‘ 성장호르몬’이 나와. 이 호르몬이 가장 많이 분비되는 시간은 자정부터 새벽 2시 사이야. 이 때 잠을 자지 않고 깨어 ... ...
엽기동물 대백과사전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누가 가장 괴상하게 생겼을까.100℃온천에 사는 벌레, 평생 거꾸로 사는 달팽이깊은 바다
밑
한가운데 구멍이 뻥 뚫려 있고 검은 연기와 함께 300~400℃ 정도의 뜨거운 물이 뿜어져 나온다. 이 부근에서 살고 있는 ‘온천 마니아’가 있다. 폼페이벌레(Alvinella pompejana)는 지구상에서 가장 뜨거움을 잘 ... ...
21세기 녹색성장 이끄는 생태공학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놀고 있는 모습을 담은 사진도 인상적이었다.불과 5년 전만 해도 청계천 일대는 고가도로
밑
에 상가가 밀집해 있어 서울에서도 가장 복잡한 곳이었다. 당시 청계천 복원 계획이 발표될 때만 해도 ‘또 뭘 하려고 저러나?’하고 의구심을 갖는 사람이 적지 않았다. ‘토목공사’ 하면‘기존의 환경, 즉 ... ...
멀티모델앙상블로 날씨 변덕 잡는다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게릴라성 호우에 우산 대신 신문지나 가방으로 비를 막은 채 갈 길을 재촉하거나 처마
밑
에서 비를 긋는 사람이 많았다.한반도 날씨 변동 폭이 커져 기상예보 기술이 어느 때보다 중요해지고 있다. 현재 기상청에서는 기상예보모델로 날씨를 예측한다. 기상예보모델은 대기운동과 기상현상에 영향을 ... ...
“아라온 호, 극지 심해서 자원 확보한다”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녹록지 않았다. “설계팀이 배의 형태를 구상하면서 적지 않은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배
밑
바닥을 V자 형태로 만들어 속도를 내려다 보니 쇄빙 능력에 문제가 있었고, U자 형태로 만드니 깨진 얼음이 배 바깥으로 신속히 떨어져 나가지를 않았습니다. 결국 수차례 설계를 변경하며 고심한 끝에 ... ...
이전
69
70
71
72
73
74
75
76
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