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각
착상
의견
발안
착안
창조력
창의력
d라이브러리
"
아이디어
"(으)로 총 2,546건 검색되었습니다.
[인터뷰] DGIST 총장장학생 진종민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경쟁자로 여기지 않는 태도도 중요한 것 같아요. 어떤 의견이 나오면 거기에 더 좋은
아이디어
를 보태 얘기한다고나 할까요. 서로 경쟁하지 않고 서로 보완하는 분위기가 형성돼 좋은 평가를 받을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학부전담교수제에 끌려 DGIST 선택“DGIST 재학생들이 고등학교로 직접 ... ...
Part 1. 찰떡궁합 음식 찾는 푸드페어링
수학동아
l
2018년 04호
영국의 요리사 헤스톤 블루멘탈이 향미가 비슷한 재료끼리 궁합이 잘 맞는다는
아이디어
를 처음 떠올렸습니다. 이후 벨기에 과학자 베르나르 라후스는 각종 식재료의 화학 성분을 분석해 비슷한 향미를 갖는 음식끼리 분류해 알고리듬을 만들었습니다. 원하는 재료를 하나 선택하면 알고리듬이 ... ...
[서울대 공대] 전기·정보공학부 최대&최강 교수진의 힘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아두이노 보드를 이용해 다양한 장치를 만드는 기회를 갖는다. 원하는 학생들은 ‘해동
아이디어
팩토리’에서 3D프린터로 원하는 디자인의 모형을 직접 만들 수도 있다. 학부 고학년에게는 국내외 산업 현장을 체험할 수 있는 인턴십 기회도 충분히 제공한다. 3학점 강의인 ‘공학지식의 ... ...
동해광희중학교 ‘수학자의 꿈’
수학동아
l
2018년 04호
삼기도 한다. 함재수 동해광희중 수학교사는 “가끔 교사가 생각지도 못했던 주제나
아이디어
를 들고 오는 학생이 있다”고 말했다. 주제를 정하고 나면 그 내용을 담고 있는 수학책을 공부한다. 그래서 수학자의 꿈을 수학 독서 동아리라고 소개한다. 부족한 내용은 인터넷에서 조사하거나 다른 ... ...
[영재교육원 탐방 2] 극단으로 간 영재들
수학동아
l
2018년 03호
교육이 필요하다고 여겼다. 서 원장은 미국에 있을 때 참관했던 초등 영재교육 수업에서
아이디어
를 떠올렸다. 존경하는 인물을 조사하고 그 결과를 자유로운 방법으로 발표하는 수업이었다. 여기에 서 원장은 연극을 가미했다. 연극은 역할을 수행하면서 표현력과 상상력을 발휘할 수 있고, 준비 ... ...
Part 4. [?] 모든 것의 이론이 있을까?
수학동아
l
2018년 03호
등장한 ‘초끈이론’은 수학적으로 엄밀하게 전개한 이론으로 미완성이지만 새로운
아이디어
를 제공한다. 초끈이론은 우주를 이루는 모든 물질을 구성하는 기본 재료가 ‘끈’이라고 생각하는 이론이다. 우주에 있는 모든 것이 무수한 끈으로 이뤄져 있다는 것이다. 초끈이론은 ‘모든 것의 이론’ ... ...
[Issue] 韓 ‘세계 혁신 국가 1위’ 의미는?
과학동아
l
2018년 03호
아니었다. 포드는 시카고의 도축 공장을 방문한 뒤 컨베이어벨트 시스템에 대한
아이디어
를 얻었다. 당시 도축 공장에서는 가축을 갈고리에 걸어 늘어뜨린 다음 이동시켜, 수 십 명의 근로자가 자기가 맡은 부위만 전문적으로 고기를 발라내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었다. 물론 자동차는 무겁기 때문에 ... ...
[신학기 특별기획] 영재학교·특목고·자사고 합격 전략
과학동아
l
2018년 03호
수학 문항은 풀이 과정에서 정확한 개념의 사용 여부와 응용력, 문제 해결 과정,
아이디어
를 평가한다. 지난해 수학 기출 문제를 종합적으로 살펴보면 유형별로 ‘세트 서술형’과 ‘세트 단답형’으로 나눌 수 있다. 두 가지 형태는 동일한 주제를 쉬운 수준부터 어려운 수준까지 다룬다는 점에서 ... ...
[필즈상 미리보기] 알레시오 피갈리, 허준이
수학동아
l
2018년 03호
만 남도록 어떨 때 두 번 편미분한 녀석을 만족하는지 구해야 하지요. 피갈리 교수가 이
아이디어
를 이용해 약해가 언제 부드러운 해가 되는지를 부분적으로 해결한 겁니다. 하승열 서울대 수리과학부 교수는 “피갈리 교수는 최근 수리물리의 문제를 최적 운송 이론으로 풀어 주목을 받았다”면서, ... ...
[서울공대카페] 페로브스카이트 디스플레이 세계 첫 도전
과학동아
l
2018년 03호
거리가 멀어 정전기적 인력이 유지되지 않는다면, 거리를 줄이면 된다는 것이 이 교수의
아이디어
였다. 이 교수는 마이크로미터(μm·1μm는 100만 분의 1m) 수준의 페로브스카이트 입자를 90나노미터(nm·1nm는 10억 분의 1m)까지 줄였다. 그러자 상온에서 3%에 머물던 박막의 발광 효율이 36%까지 향상됐다. ... ...
이전
69
70
71
72
73
74
75
76
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