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몸
신체
육체
인체염색체
염색체
몸채
사람몸
d라이브러리
"
인체
"(으)로 총 2,116건 검색되었습니다.
생명의 책, DNA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설명한다. 이제 DNA의 구조를 좀 더 자세히 살펴보자.DNA는 어떻게 생겼을까?우리의
인체
는 약 60조 개의 세포로 구성된다. 각각의 세포들은 하나의 핵을 갖는데 그 핵 속에는 46개의 염색체가 들어 있다. 염색체는 머리카락 굵기의 100분의 1정도 굵기로, 가늘고 긴 실이 매우 촘촘하게 얽혀 있어 마치 ... ...
대마초 피우면 암 가능성 ↑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연구팀은 담배에 들어 있는 아세트알데히드처럼 대마초에 들어 있는 아세트알데히드도
인체
에 유해하다는 점을 밝혀냈다고 덧붙였다.대마초 흡연자가 일반적으로 담배 흡연자보다 연기를 더 깊이 빨아들이는 습관을 가진 것도 문제로 지적됐다. 이 때문에 대마초를 하루 3~4개비 피우는 사람의 ... ...
세포 시계 되돌려 줄기세포 만든다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데 필요한 유전자를 체세포에 삽입하기 위해 바이러스를 사용했다. 바로 이 바이러스가
인체
에 유해할지도 모른다. 또 삽입된 유전자가 역분화와 무관한 다른 유전자에 좋지 않은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됐다.지난 3월 역분화 연구에 진전이 있었다. 영국과 캐나다, 미국 연구팀이 바이러스 ... ...
유해 야생동물로 지정된 비둘기의 굴욕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젖으로 고단백 영양을 공급해준다는 뜻이다. 이렇게 자란 새끼는 20일이면 성체가 된다.
인체
유해 여부는 미확인‘유해’ 야생동물이라고 하니까 마치 비둘기 가까이만 가도 큰일 날 것 같은 오해가 생기기도 한다. 그러나 아직까지 비둘기로 인한 피해는 농작물 감소나 건물 부식, 털 날림 등이 ... ...
전자 기술로 널리 이롭게 하리라!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있다. 신경 보완 기술이란 생체 내의 신경 세포에 외부의 전기적 시스템을 연결해
인체
의 감각 및 운동 신경의 기능을 보조 해주는 일련의 기술을 일컫는다. 인공와우를 비롯해 시각장애인들을 위한 인공망막 기술, 광학적인 뇌의 신경 신호 검출 기술, 끊어진 신경을 이어 줄 수 있는 신경 접합 기술 ... ...
[뉴스포커스]WHO 신종 인플루엔자 ‘대유행’ 선언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조치며, 독성이나 심각성 때문은 아니라는 입장을 밝혔다. 바이러스의 확산 속도와
인체
에 미치는 위험도는 별개의 문제라는 얘기다.사실 아무리 많은 사람이 걸려도 감기나 몸살 정도로 앓고 낫는다면 크게 걱정할 일은 아니다. 실제로 감염된 사람의 대부분이 특별한 치료가 필요 없을 정도로 ... ...
몸짱만든다는 단백질 보충제의 진실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황제 다이어트와도 성격이 비슷하다. 김철환 교수는 “한 영양소에만 집중된 식단이
인체
에 이로울 리는 만무하다”고 딱 잘라 말했다.단백질 보충제에 들어 있다는 각종 영양성분도 의심스럽다. 단백질 보충제 광고에?는 ‘13종류 이상의 고급성분 함유’ ‘수십여 종의 비타민 포함’ 같은 문구를 ... ...
생체전자공학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전기신호를 주는 전자기술, 신체 내부에 이식된 회로가 오랜 시간 동안 손상되지 않고
인체
에 무해하도록 하는 패키징기술 등이 생체전자공학의 범주에 포함된다.2. 어디에 사용되나요?생체전자공학이 응용되는 대표적인 분야로 파킨슨병을 치료하는 심부뇌자극(DBS) 시술법이 있다. 파킨슨병은 뇌의 ... ...
신종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진실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접종시킨 뒤 배양했다. 서 교수팀은 CDC에 백신주개발 사실을 통보했으며 이 백신이
인체
에 대해 안전하다는 사실이 확인되면 대량생산을 할 예정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신종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진실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병원성의 비밀팬데믹 막는 역학조사의 ... ...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병원성의 비밀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미국 워싱턴대 비교의학과 캐롤 바스킨 박사는 논문 서두에서 “우리는 이들 바이러스가
인체
에서 높은 치사율을 일으키는 메커니즘을 아직 잘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고 전제했다.지금까지 연구결과 평범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전염성과 병원성이 높은 바이러스로 바뀌는 데는 그렇게 많은 ... ...
이전
69
70
71
72
73
74
75
76
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