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속"(으)로 총 2,636건 검색되었습니다.
- [Future] 너덜너덜 번아웃 된 기자, ‘마음챙김’에 도전하다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병원에서는 세타파를 낮추고 베타파와 SMR파(진동수가 알파파와 베타파 사이인 뇌파로, 지속적인 각성상태에서 나온다)를 늘리도록 훈련한다.치료 효과도 속속 입증되고 있다. 정철호 계명대 의대 정신과 교수와 이은정 선임연구원이 ADHD 진단을 받은 6~12세 어린이 36명을 대상으로 약물치료만 할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지원군 선배의 고백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3호
- 군복을 만들고 있어요. 메타물질을 이용해 주변 환경에 따라 스스로 색깔과 패턴을 지속적으로 바꾸는 투명망토를 개발한다는 계획을 밝혔지요.메타물질은 자연계에는 존재하지 않는 인공적인 물질로, 주로 나노 구조를 제어해 전자기파나 빛에 대한 성질을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어요. ... ...
-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2016 UN청소년환경총회를 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1호
- 지난 10월 1일부터 3일 동안 서울대학교에서 열렸어요. 300여 명의 청소년 대표단과 함께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한 자원순환’에 대해 공식 결의안을 만들어 채택했답니다. 이 공식 결의안은 유엔환경계획(UNEP)에 전달할 예정이에요. UN청소년환경총회에 참여한 송지호 기자입니다. 총회가 열리기 전 ... ...
- Part 4. 도시를 바꾸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0호
- 해요. 미래의 발전소, 솔라로드 스텐 데 비트(솔라로드 개발자 겸 대변인)솔라로드는 지속가능한 에너지의 새로운 돌파구가 될 수 있어요. 도로를 발전소로 만드는 것은 다양한 장점이 있답니다. 앞으로 늘어날 전기자전거나 전기자동차를 도로에서 바로 충전하게 만들 수 있거든요. 지구상의 모든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노란 바나나의 색을 지켜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8호
- 덕분에 세포가 덜 손상돼서 신선한 상태로 더 오래 보관할 수 있어요. 노란색도 더 오래 지속된답니다.독자 친구들도 실험하는 모습을 홈페이지에 올려 주세요. 추첨을 통해 잡지에 사진이실리는 기회와 함께 선물도 드린답니다! 많이 참여해 주세요~ ... ...
- [News & Issue] “제3세계 여성, 에이즈를 넘어라”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이라고 부른다. HIV에 감염되지 않은 사람에게 에이즈 치료제인 항레트로바이러스 약물을 지속적으로 먹게 해 HIV 감염을 미리 막는 방법이다.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2012년 7월 16일 ‘트루바다’라는 약을 프렙 제제로 승인했다. 트루바다는 HIV 감염자가 복용하는 대표적인 치료제로, 면역세포수치가 ... ...
- [Knowledge] 천연 스펀지로 물 찍어 먹는 침팬지!과학동아 l2016년 12호
- 독특한 문화라는 점이다. 영장류의 석기시대가 아직은 초기라는 의미다. 인간의 지속적인 환경오염과 서식지 파괴 때문에 가능성은 높지 않지만, 영장류들이 도구를 쓰는 문화를 더 전파하면 지금과는 다른 방향으로 진화할 수도 있다. 인간의 관점에서는, 영장류의 도구를 연구하는 과정에서 ... ...
- [Tech & Fun] 공감만으론 세상을 바꿀 수 없다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스트레스를 받다보면 오히려 이런 일을 아예 외면하게 되는 경우도 생긴다. 결국 남을 지속적으로 배려하고 돕는 일은 감정과 관계없이 흔들리지 않는 원칙과 신념으로부터 생긴다.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공감을 할 때 생기는 한계를 인식하고, 나의 감정 상태와 관계없이 어떤 상황에서든 지켜야 ... ...
- [과학뉴스] 우유주사 프로포폴과학동아 l2016년 12호
- 보고되고 있습니다. 대부분은 무호흡증에 의한 사고인데요. 무호흡은 3분까지도 지속될 수 있습니다. 미국의 팝스타 마이클 잭슨 역시 포로포폴 남용으로 2009년에 사망했습니다. 이 충격적인 사건으로 프로포폴 오남용의 문제가 활발하게 논의되기 시작했죠.일반인의 프로포폴 오남용이 문제가 ... ...
- [과학뉴스] 국제 안보(International Security)과학동아 l2016년 12호
- 3.5%가 적극적이고 지속적으로 참여한 저항 운동은 실패한 적이 없다’는 주장이 화제다. 이 주장은 ‘시민운동이 통하는 이유(Why Civil Resistance Works)’라는 제목으로 2008년 ‘국제 안보’에 처음 소개됐다(이후 유명해져 4년 뒤 책으로도 출판됐다).1976년 창간된 국제 안보는 현재 국제 관계 분야 ... ...
이전69707172737475767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