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밸브
판막
틀
팬더
팬더곰
판다곰
테
d라이브러리
"
판
"(으)로 총 1,614건 검색되었습니다.
네안데르탈인, 미적 감수성 있었다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이 지역에 도달하기 전 유물이라고 ‘미 국립과학원회보(PNAS)’ 1월 11일자 온라인
판
에 발표했다. 이 유물들은 당시 그곳에 살던 네안데르탈인이 남긴 것들로 아마도 목걸이용 장식이나 안료단지로 쓰였을 것으로 보인다.질아요 교수는 “조개의 구멍은 누군가 일부로 뚫은 건 아니지만 지름이 4.5~6. ... ...
2. 순간의 대변신
수학동아
l
2010년 02호
만다. 꽈배기를 만드는 동작을 대여섯 번 반복하다가 마지막엔 반죽을 최대한 늘여서
판
위에 놓는다. 이제 하이라이트인 가락내기를 할 준비가 모두 마쳤다.달인은 호흡을 고른 뒤 반죽의 양 끝에 작은 손잡이를 만들어 붙잡고는 공중에서 흔들면서 가락내기를 한다. 순식간에 두 가락이 네 가락이 ... ...
금메달을 만드는 명품 얼음과 눈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내려가는 데 어려움이 있다. 또 눈이 완전히 녹았다가 기온이 떨어지면서 급격히 빙
판
이 될 경우 그대로 미끄러질 염려가 있다. 체육과학연구원 김광준 연구원은 “날씨가 너무 따뜻하면 설질이 안 좋아진다”며 “기온은 5℃에서 -5℃ 사이가 알맞다”고 말한다.선수들이 중간 중간 자신의 스키와 ... ...
팝아트의 아이콘, 앤디 워홀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작품처럼 화려한
판
화가 탄생한다. 실크스크린은 제작하는 과정이 비교적 간편하고 일단
판
을 완성하면 단시간 내에 수십 장을 찍어낼 수 있어 상업적인 포스터나 인쇄물에 많이 쓰인다.소변이 물감과 만날 때“코카콜라는 언제나 코카콜라다. 대통령이 마시는 코카콜라는 내가 마시는 코카콜라와 ... ...
Part 3. 멋쟁이 스키 친척
수학동아
l
2010년 01호
점 빼곤 기문을 효과적으로 통과하는 방식이 스키와 똑같아. 하지만 스노보드는 하나의
판
으로 타기 때문에 회전이 쉬워. 회전하는 반지름이 짧아서 기문에 더욱 바짝 붙어서 돌 수 있다는 뜻이지. 스키는 왼쪽으로 돌 때는 왼발에, 오른쪽으로 돌 때는 오른발에 힘이 실리기 때문에 두 발이 교차하는 ... ...
사이언스誌 선정 10대 과학뉴스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그래핀 대량 합성 기술이 차지했다. 그래핀은 탄소원자가 벌집 모양으로 연결된 얇은
판
으로 차세대 디스플레이나 전자 소자로 최근 가장 주목받고 있다. 4위는 서울대 의대 서정선 교수와 가천의대 김성진 교수가 각각 발표한 한국인 게놈지도가, 5위는 과학비즈니스벨트의 세종시 유치 논란이 ... ...
두 남자의 호주 사막 조난기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오스트레일리아는 인간사회의 대륙 간 불균형에 대한 이론들을 검증하는 결정적인
판
단 기준이 된다. 이곳의 환경은 가장 특이했고 인간 사회도 가장 특이했다 ... ...
도전! 지구 해설가, 어린이 도슨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전시물 이해하기우리가 찾아간 곳은 우석헌자연사박물관. 이 곳은 설명이 빼곡하게 적힌
판
이 많지 않은 것이 특징이야. 힘들게 읽는 것보다 도슨트의 재미있는 설명을 듣는 것이 전시를 이해하는 데에 더 효과적이라는 생각 때문이래. 도슨트의 역할이 정말 중요하겠지? 건물 안으로 들어가자 ... ...
조립식 천체망원경 HT-40400 DIY 망원경으로 겨울밤을 만끽하자!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사계절 별자리 투영기손과머리 | 7700원직접 만드는 간이 플라네타리움. LED 전구와 필름
판
으로 방의 벽에 별자리를 수놓는다. 각 계절마다 별자리선이 있는 것과 없는 것 2종류의 필름이 있어 별자리를 공부할 수 있다.입체 달지도손과머리 | 6600원직접 만드는 입체 달지도. 정확한 위도와 경도로 ... ...
광결정으로 전자종이와 잠자리 눈 센서 만든다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채워 넣었다. 물방울이 나노입자들을 감싸고 있는 형태가 된 셈. 물방울은 기름이 뿌려진
판
위에서 만들어지기 때문에 달라붙지 않고 형태를 유지했다. 물방울이 증발하면 작은 나노입자들이 모인 큰 구형 입자가 만들어졌다. 이 구형 입자는 나노입자들이 규칙적인 크기와 배열로 모여 있기 때문에 ... ...
이전
69
70
71
72
73
74
75
76
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