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편"(으)로 총 4,072건 검색되었습니다.
- [통합과학 교과서] 작은 공들의 세상 속으로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7호
- 형태’라고 주장했답니다. 14년 뒤인 1911년, 영국의 과학자 러더퍼드는 아주 얇게 편 금을 향해 발사한 알파선의 일부가 강하게 휘는 현상을 목격했어요. 이를 통해 원자의 중심에 단단한 원자핵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밝혀냈지요. 1913년에는 덴마크의 물리학자 보어가 ‘전자는 원자핵으로부터 ... ...
- [지구사랑탐사대] 바닷물고기 특별탐사! 첨벙첨벙 발 구르면~ 물고기가 파닥파닥!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7호
- 이전부터 살던 종이 빙하기를 겪으며 일부만 심해에 살아남아 유전자의 다양성이 낮은 편이랍니다. 또 연구실에서는 우리나라 바다에 사는 물고기의 유전자도 연구해요. 예를 들어, 동해와 서해의 전어는 서로 같은 종이지만 유전적으로 꽤 차이가 있다는 걸 발견했답니다.물고기, 너의 이름은?! ... ...
- [활주로] 활주로가 도넛 모양? 미래형 공항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5호
- 모양? 공항의 변신[보안] 심사와 검색을 한 번에![안전] IoT와 드론이 만나면 안전해진다![편리함] 로봇으로 공항 길찾기 완료![활주로] 활주로가 도넛 모양? 미래형 공항세계 곳곳의 이색 공항! BEST ... ...
- [엉뚱발랄 생각실험실] “제 코가 곧 길어질 거예요.” 피노키오, 모순에 빠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4호
- 반복할 거예요.고장난 컴퓨터가 꺼졌다 켜졌다를 반복하는 것처럼 오류에 빠지는 거죠.한편에서는 이런 이유로 로봇 피노키오가 “제 코가 곧 길어질 거예요”라는 말 자체를 못 할 거라고 설명하기도 해요. 논리 계산이 빠른 인공지능 로봇은 모순에 빠져 오류가 생기는 일을 막기위해 “제 코가 ... ...
- [가상인터뷰] 하마의 똥, 아프리카의 강을 오염시킨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3호
- 육상 동물 중에서는 코끼리와 코뿔소 다음으로 크기가 클 뿐만 아니라, 성격도 공격적인 편이라서 다 자란 하마한테 덤비는 포식자가 없기 때문이지. 일리: 너희가 물을 더럽힌다니 어떻게 된 거야?하마: 미국 예일대학교의 수생 생태학자 크리스토퍼 듀톤박사는 아프리카 동부의 마라강에서 죽은 ... ...
- 젖소, 돼지, 양, 연어…AI는 동물 얼굴도 인식할까?과학동아 l2018년 12호
- 개체 인식 그래도 육상동물의 얼굴은 사람처럼 구별할 수 있는 특징을 많이 갖고 있는 편입니다. 하지만 물고기라면 어떨까요? 대부분의 개체가 거의 똑같이 생긴 물고기에도 얼굴 인식 기술이 통할까요? 노르웨이 양식 기업인 세르막은 3D(3차원) 스캐너 개발 기업인 바이오소트와 함께 양식장에 ... ...
- [통합과학 완벽 정리 12] 지구 에너지의 근원, 태양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않으며, 발전기를 거치지 않아 다른 발전 방식과 비교해 에너지 효율이 매우 높은 편이다. 하지만 가연성이 높아 저장하기가 어렵다는 점과, 수소를 생성하는 비용과 연료전지 발전소 건설비용이 많이 든다는 점은 해결해야 할 과제다. 2. 조력발전과 파력발전(재생에너지) 조력발전은 방조제를 ... ...
- Part 2.깃털의 원조는 공룡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이용해 하늘을 날 수 있었을까. 오르니토미무스는 시노사우롭테릭스에 비해 앞다리가 긴 편이지만, 몸무게가 약 180kg이나 되기 때문에 나는 건 불가능하다. 더군다나 함께 보고된 어린 오르니토미무스의 경우 이런 앞다리 깃털이 전혀 없다. 결국 어른에게만 필요했던 구조인 셈이다. 연구팀은 이 ... ...
- [서울대 공대|화학생물공학부] 기초 화학산업부터 첨단 나노연구까지과학동아 l2018년 12호
- 한국연구재단이 최근 10년간 노벨 과학상 수상자 77명의 총 논문수와 총 피인용수, 논문 1편당 인용수 등을 한국 과학자들과 비교해 9월 발표한 보고서에서 현 교수는 노벨 과학상 수상자급에 가장 근접한 연구 성과를 창출한 것으로 분석됐다.휘어지거나 늘릴 수 있는 전자 소자 및 시스템을 ... ...
- 우리는 돌고래 추적자들입니다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소속돼있다. MARC는 다른 연구소에 비해 실험실이 아닌 현장에서 움직이는 비율이 높은 편이다. 1년 중 9개월, 비가 오거나 풍랑주의보가 뜨는 날이 아니면 하루 10시간 이상 바다에서 돌고래를 찾고 관찰한다. 장비는 주로 카메라, 드론, 수중음향장치를 이용한다. 가장 중요한 점은 돌고래에 ... ...
이전69707172737475767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