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절
당
파
편의
편익
떡
떡밥
d라이브러리
"
편
"(으)로 총 4,072건 검색되었습니다.
[통합과학 교과서] 작은 공들의 세상 속으로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7호
형태’라고 주장했답니다. 14년 뒤인 1911년, 영국의 과학자 러더퍼드는 아주 얇게
편
금을 향해 발사한 알파선의 일부가 강하게 휘는 현상을 목격했어요. 이를 통해 원자의 중심에 단단한 원자핵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밝혀냈지요. 1913년에는 덴마크의 물리학자 보어가 ‘전자는 원자핵으로부터 ... ...
[현장취재] 인기 크리에이터가 되고 싶은 친구들 모여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7호
Window movie maker)’를 클릭했어요. 그리곤 프로그램을 가지고 놀았죠. 그렇게 시작한 영상
편
집으로 이렇게 유튜버까지 되었네요.Q영상의 주제가 다양해요. 영상 주제는 어떻게 고르시나요?언제나 최우선은 시청자분들의 요청이에요. 시청자분들께서 메일이나 댓글로 소재를 요청하시면 그걸 ... ...
[활주로] 활주로가 도넛 모양? 미래형 공항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5호
모양? 공항의 변신[보안] 심사와 검색을 한 번에![안전] IoT와 드론이 만나면 안전해진다![
편
리함] 로봇으로 공항 길찾기 완료![활주로] 활주로가 도넛 모양? 미래형 공항세계 곳곳의 이색 공항! BEST ... ...
[엉뚱발랄 생각실험실] “제 코가 곧 길어질 거예요.” 피노키오, 모순에 빠지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4호
반복할 거예요.고장난 컴퓨터가 꺼졌다 켜졌다를 반복하는 것처럼 오류에 빠지는 거죠.한
편
에서는 이런 이유로 로봇 피노키오가 “제 코가 곧 길어질 거예요”라는 말 자체를 못 할 거라고 설명하기도 해요. 논리 계산이 빠른 인공지능 로봇은 모순에 빠져 오류가 생기는 일을 막기위해 “제 코가 ... ...
[가상인터뷰] 하마의 똥, 아프리카의 강을 오염시킨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3호
육상 동물 중에서는 코끼리와 코뿔소 다음으로 크기가 클 뿐만 아니라, 성격도 공격적인
편
이라서 다 자란 하마한테 덤비는 포식자가 없기 때문이지. 일리: 너희가 물을 더럽힌다니 어떻게 된 거야?하마: 미국 예일대학교의 수생 생태학자 크리스토퍼 듀톤박사는 아프리카 동부의 마라강에서 죽은 ... ...
Part 4. 생체모방의 대명사, 깃털
과학동아
l
2018년 12호
케라틴 구조는 실처럼 길게 이어져 있다. 때문에 쇠유리새 깃털의 파란색은 조금 탁한
편
이다. 이 선임연구원은 “구조색의 미세구조를 상세히 파악하면 디스플레이뿐만 아니라 페인트나 화장품 등 광범위한 분야에 응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소음 죽이는 올빼미 깃털 올빼미 깃털에는 ... ...
[반려동물 고민상담소] 개도 치매에 걸리나요?
과학동아
l
2018년 12호
있습니다. 그래서 개가 갇히거나 부딪히지 않도록 주변 환경을 만들어 줘야 합니다. 한
편
으로는 집의 전체적인 가구 배치를 바꾸지 않는 등 환경 변화를 최소한으로 줄여 개가 환경을 예측할 수 있게 해줘야 합니다. 지속적으로 운동도 시켜야 합니다. 너무 춥거나 덥지 않을 때 하루에 여러 번 ... ...
서울시립대 수리논술 대비 전략
과학동아
l
2018년 12호
폐지됐기 때문에 많은 학생들에게 지원의 기회가 주어졌다. 하지만 문제의 난도가 높은
편
이고, 논리적 사고 능력과 창의적 사고 능력을 요구하는 논제가 주로 출제되는 만큼 철저히 준비할 필요가 있다. 서울시립대 수시논술은 매년 실시하는 모의논술 문항과 유사한 주제와 단원의 문제가 ... ...
최초의 ‘행성 사냥꾼’ 케플러
과학동아
l
2018년 12호
나 수집하는 성과를 올렸다. 이 데이터를 활용해 과학자들이 출간한 논문만 2946
편
에 이른다. 보루키 박사는 “케플러 우주망원경을 통해 이전까지 알 수 없었던 새로운 사실을 찾아냈고, 예상보다 더 놀라운 결과를 얻었다”며 “우리은하에는 별보다 행성이 훨씬 더 많고, 행성의 종류도 ... ...
Part 1. 성분부터 구조까지 전격 비교 깃털 vs. 털
과학동아
l
2018년 12호
색소가 많아서만은 아니라는 뜻이다. 이 선임연구원은 “멜라닌은 굴절률이 굉장히 큰
편
”이라며 “멜라닌의 크기나 모양이 조금만 달라져도 빛의 굴절각이 달라져 다양한 색으로 나타난다”고 설명했다. 이처럼 색체가 아닌 물질의 구조에 의해 빛이 꺾이면서 나타나는 색을 ... ...
이전
69
70
71
72
73
74
75
76
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