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영화
무비
시네마
영화관
d라이브러리
"
활동사진
"(으)로 총 1,276건 검색되었습니다.
춤추는 분자의 동영상 찍는다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19세기 후반 영국의 사진가 이드위어드 머이브리지의 작품은 세상을 놀라게 했다. 말을 타는 기수의 모습을 담은 연속사진이었는데, 안장 위에서 들썩이는 기수의 엉덩이며 박진감 넘치는 말의 다리 근육까지 마치 살아있는 듯한 느낌을 자아냈다.한 사진가의 기발한 실험에서 과학자들은 초고속카 ... ...
세계 최초 OLED TV 등장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소니가 세계 최초로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 TV를 판매했다. 다른 평면 디스플레이와 달리 OLED는 별도의 빛 발생 장치인‘백라이트’가 필요 없어 두께가 3mm밖에 안 될 정도로 얇다. 전력소모량도 다른 평면 디스플레이보다 몇 배나 적다.면역(免疫)담당세포의 하나 탐식(貪食)세포라고도 불리우며 ... ...
PART1 투표는 이성보다 감정이 우세?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내 마음 나도 몰라.” 올해 처음으로 선거권을 갖게 된 만 19세 대학생 나곰곰 씨.처음에는 대선 후보의 공약을 꼼꼼히 따져본 뒤 누굴 찍을지 결정하려 했지만 점점 귀찮아졌다.2007년 대선을 한달여 앞둔 지금 그는 매순간 후보에 대한 선호도가 고무줄처럼 변하는 것을 느낀다.이대로 가다간 12월 ... ...
여인의 초상 제8화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27.....낮에 공무를 보다가 픽병의 징후를 보인 날이면 래빗은 더 일찍 서재로 건너와 그림에 몰두했다. 마음을 편히 하고 일찍 쉬기를 권해도 막무가내였다. 무엇인가 흐려지면 다른 무언가는 더 또렷해지는 법일까. 내가 할 수 있는 일이라곤 그 앞에 종이를 펼치거나 각종 붓과 물감을 가지런히 놓 ... ...
PART3 '뚝딱뚝딱' 인공위성 DIY시대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32번 부품을 위치제어시스템 4번 자리에 꼽고, 먼지방지덮개를 씌우면! 아~ 드디어 나만의 인공위성 완성! 앗, 태양전지판을 붙이는 걸 깜빡했네. 그런데…, 어디다 뒀더라?”인공위성 모형을 조립하는 얘기가 아니다. 그동안 수억원의 제작비에 수년씩 걸려 국가적 차원에서만 개발했던 인공위성 ... ...
백내장이 그린 명작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0호
화가가 되려면 눈이 좋아야겠죠? 그런데 유명한 화가들이 오히려 눈병 때문에 색다른 작품을 그렸다고 해요. 19세기의 유명한 인상파 화가인 에드가 드가와 클로드 모네가 말년에 백내장을 앓으면서 현재 남아 있는 유명한 그림을 그렸다는 거지요. 미국 스탠퍼드대학교 의과대학 마이클 마모르 교 ... ...
그녀에게 자꾸만 끌리는 이유?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별도 달도 따준다고는 못 해. 찬물에 손도 담그게 될 거야. 노력할게. 사랑만으로 살 수 없을 때 더 노력할게. 고마워. 내 곁에 있어줘서. 사랑해.”얼마 전 막을 내린 한 드라마에서 무릎을 꿇은 채 반지를 손에 들고 프러포즈를 하던 여주인공의 모습은 매우 인상적이었다. 부모의 반대를 무릅쓰 ... ...
젊은 운동선수 노리는 '암살자'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갑작스러운 심장마비는 젊은 운동선수의 주된 사망 원인 중 하나다. 의학계가 '심장의 동요'라고 이름 붙인 이 증세는 가슴에 가해지는 쇼크다. 연습을 지나치게 해서가 아니라 선천적으로 심장에 이상이있기 때문에 발생한다.생물체에 섭취된 물질의 대사속도(代謝速度)를 나타내는 지표(指標) ... ...
PART1 똑똑한 소형위성이 몰려온다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지금으로부터50년 전인 1957년 10월 4일 미국 백악관은 침묵에 휩싸였다. 러시아(옛소련)가 세계 최초의 인공위성 스푸트니크 1호를 지구 궤도에 올려놓는데 성공했기 때문이다. 러시아 타스통신(이타르타스통신의 전신)은 의기양양해하며‘인류의 크나큰 꿈을 실현하는 새로운 사회주의 인민들의 선 ... ...
PART2 있다! 없다! BEST 5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KAIST1. 세계가 주목하는 스타과학자가 있다! 세계의 수학계에 필즈메달이 있다면 우리나라의 과학계에는 ‘젊은 과학자상’이 있다. 이 상은 필즈메달과 마찬가지로 수상자의 자격을 ‘40세 이하’로 제한하므로 과학계의 신인상이라고도 할 수 있다. KAIST 생명화학공학과 이상엽 교수는 바로 ‘젊 ... ...
이전
69
70
71
72
73
74
75
76
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