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고저
높낮이
해발
고도
마루높이
마루
처마높이
뉴스
"
높이
"(으)로 총 1,866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N사피엔스] 원자와 분자
2020.05.28
따라서 모래알의 개수는 만약 모래알이 훨씬 더 고운 입자여서 가로 세로
높이
가 0.1밀리미터라고 하면 모래알 하나의 부피가 천 배 줄어든 셈이니까 전체 모래알의 개수는 천 배 늘어난다. 이 경우 전체 모래알의 개수는 대략 10의 18승개 정도밖에 되지 않는다. 아보가드로수 ~10의 23승에 비해서 1 ... ...
[이덕환의 과학세상]과학기술을 소중하게 여기는 국회가 되고 싶다면
2020.05.27
할 일이 아니다. 과학자의 자율과 행정부·감사원에게 맡겨둘 일이다. 국회가 말안장에
높이
올라앉아서 과학자를 길들이는 ‘양치기’가 되어서는 안 된다. 국회와 관료들에게 길들여진 과학자에게서는 진정한 창의적 과학과 기술을 기대할 수 없다. 특히 국정감사를 앞두고 선정적인 폭로로 ... ...
1억분의 5m 크기 나노 구조 관찰 가능한 현미경 개발
연합뉴스
l
2020.05.25
시료 표면 20㎚ 앞까지 접근시킨 뒤 시료에서 나온 국소화된 빛(근접장)을 측정해 시료의
높이
정보를 파악하고 탐침의 작은 구멍을 통과한 광신호를 이미징한다. 하지만 탐침 구멍(150㎚)보다 작은 것은 구분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구멍이 너무 작으면 광신호 세기가 작아져 측정이 어렵기 ... ...
국내 렘데시비르 임상 책임자 "코로나19 표준치료제 기대"
연합뉴스
l
2020.05.25
(NEJM)에 게재됐다. 오 교수는 치사율보다는 환자 상태를 신속하게 개선한 점을
높이
평가했다. 그는 "치사율 차이는 통계학적으로 의미가 없었다"며 "치사율 감소를 제대로 확인하려면 최소 2천여명의 환자를 임상시험에 참여시켜야 하므로 현재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상황에서는 불가능한 일로 ... ...
美 유인 우주선 9년만에 쏜다...민간 유인우주선 첫 시험무대
동아사이언스
l
2020.05.25
1호가 발사된 역사적인 발사대다. 크루 드래건은 우주비행사 7명을 태울 수 있는 지름 4m,
높이
8.1m 크기의 캡슐형 우주선이다. 스페이스X가 2012년부터 ISS에 실험 장비와 보급품을 운송하기 위해 활용해 온 화물용 우주선 '드래건'을 인간 탑승용으로 개량했다. 크루 드래건은 지난해 3월 우주인을 ... ...
美공군 무인 우주왕복선 'X-37B', 6번째 비밀 임무 위해 우주로
동아사이언스
l
2020.05.18
X-37B는 16일 발사 예정이었으나 기상 악화로 발사가 취소됐었다. X-37B는 길이 8.8m에
높이
2.9m, 날개 길이는 4.5m로 동체가 버스보다도 작은 무인 우주비행선이다. 미국 공군 소유로 미국 항공업체 보잉에서 제작했다.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우주왕복선과 모양은 비슷하나 크기는 4분의 1이다. 우주 ... ...
[표지로 읽는 과학]동식물 적응에 영향 주는 '마이크로 기후'
동아사이언스
l
2020.05.17
위한 기상 관측소들은 대개 주변 환경의 영향을 최대한 피하려 넓은 공터에 2m 이상
높이
로 설치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이러한 공간에 주로 서식하는 생물들은 많지 않다. 지구상의 야생 동물과 식물 종은 산과 숲속 나무가 우거진 깊은 곳에 주로 서식한다. 기후변화가 동식물에 어떤 영향을 ... ...
목성 위성 유로파 '물 분출' 증거 더 나왔다..."지하 바다에서 나왔을 것"
동아사이언스
l
2020.05.13
존재하는 위성은 유로파가 처음이 아니다. 토성의 위성 엔셀라두스는 남극 지역에서
높이
수백km의 거대한 물 및 얼음 기둥을 내뿜는 모습이 직접 관측돼 있다. 최근에는 분출되는 물의 성분까지 분석돼 유기물이 함유돼 있다는 사실이 밝혀지기도 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광합성 규명 70년 만에 탄생한 인공 엽록체
2020.05.12
날갯짓을 모방하지 않고 전혀 다른 방식으로 작동하는 비행기를 디자인해 새보다 더
높이
더 빨리 더 오래 날게 된 것에 비유할 수 있다. 독일 막스플랑크육상미생물학연구소 생화학·합성대사과 토비아스 에브 교수는 합성생물학 기법을 이용한 인공 광합성 시스템 연구를 주도하고 있다. ... ...
[일문일답]"아이들 눈
높이
로 대답합니다" 중대본 코로나19 어린이 특집브리핑
동아사이언스
l
2020.04.29
정은경 중앙방역대책부본부장이 29일 오후 충북 청주시 질병관리본부에서 열린 코로나19 관련 어린이 특집 브리핑에서 질문을 듣고 있다. 이날 브리핑은 사전에 어린이에게 받은 질문을 정 본부장(오른쪽 두번째)과 최은하 서울의대 소아과학교실 교수(왼쪽), 김예진 성균관의대 삼성서울병원 소아 ... ...
이전
69
70
71
72
73
74
75
76
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