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근절
절멸
몰살
박멸
제거
절제
말살
뉴스
"
멸종
"(으)로 총 858건 검색되었습니다.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2)거대 잠자리의 비밀을 풀어낸 지구화학자 ‘로버트 버너’
2015.12.22
큰 거대잠자리 메가네우라도 있다. 어떻게 곤충이 이렇게 크게 자랄 수 있었고 왜
멸종
했을까. 이런 의문에 대한 답을 준 지구화학자 로버트 버너(Robert Berner)가 올 초 오랜 투병 끝에 타계했다. 1935년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이리에서 태어난 버너는 지질학도인 형 폴의 영향으로 미시건대에서 ... ...
열대림에서 영장류 사라진다면…
2015.12.21
작은 나무의 씨앗들만 퍼뜨렸다. 피어스 교수는 “최근 대형 동물들이 밀렵 등으로
멸종
위기를 맞으면서 열대림에 큰 타격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며 “기후변화를 상당 부분 지연시켜 주고 있는 열대림의 수목 밀집도가 줄어들면 그만큼 기후변화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 ...
백두산 호령하던 그때처럼… ‘大虎’ 복원 프로젝트
2015.12.20
먹이사슬에서 상위 포식자를 복원하는 프로젝트는 세계 각국에서 꾸준히 진행돼 왔다.
멸종
위기에 처한 특정 종을 복원한다는 의미도 있지만 상위 포식자가 생태계를 지키는 ‘수호자’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이 교수는 “국내에서 지리산 반달가슴곰을 복원하고 토종여우 복원을 시도한 ... ...
만화로 떠나는 생물학 기행
2015.12.06
수많은 과학자들의 생생한 이야기를 담은 과학 만화다. 고생대 바다에서 태어나 대
멸종
의 위기도 꿋꿋이 이겨낸 바다나리에서부터 수많은 인류의 목숨을 구한 살신성인의 투구게, 200년간 과학자들을 혼돈 속에 빠트렸던 초감각의 소유자 박쥐에 이르기까지, 지구 곳곳에서 은밀하게 살아가고 있는 ... ...
[오지 연구원이 된 동물들] AI 전파경로를 확인하기 위한 방법
과학동아
l
2015.11.30
있었다. 다른 개체들도 2~3일 내에는 한반도를 벗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다른 성과는
멸종
위기종인 저어새의 이동경로와 서식지를 명확하게 밝혀낸 것이다. 한국환경생태연구소는 문화재청의 의뢰를 받아 국내에서 태어난 저어새의 몸에 위치추적기를 부착하고 이동 경로를 추적해 2014년 10월 ... ...
‘사랑’ 없이는 노벨상도 없었다
2015.11.29
휴고 반 라윅 등 여러 과학자의 사랑 이야기를 책에서 만나볼 수 있다. 반니 제공 ■
멸종
하거나, 진화하거나 (로빈 던바 作, 반니 刊) ‘우리는 누구이며 어디서 왔는가.’ 과학자들은 아직 정답을 알 수 없는 질문을 해결하기 위해 뼈와 돌을 연구해 왔다. 뼈와 돌은 오랫동안 인류 역사의 ... ...
2015년 지구기온 100여년전보다 1도 높아
동아일보
l
2015.11.11
상승하면 여름철 폭염으로 유럽에서만 수만 명이 사망하고 세계 각종 생물의 3분의 1이
멸종
위기에 내몰릴 것으로 예상했다. 세계기상기구(WMO)는 이날 대기 중에 있는 이산화탄소 농도도 지난해 평균 397.7ppm으로 또다시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고 밝혔다. 1990년부터 2014년 사이 온실가스 양은 36% ... ...
2095년 식탁에서 홍합 사라진다
2015.11.03
PNAS)’ 10월 12일 자에 해수 산성화와 수온 상승으로 산호, 굴, 홍합 등 석회질 생물이
멸종
할 수 있으며 이는 바다 생태계 먹이사슬을 연쇄적으로 붕괴시킬 수 있다고 경고했다. 한편 국립수산과학원에서도 해수 산성화가 패각류의 성장을 30~40% 수준으로 감소시킨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한 바 있다 ... ...
고향으로 돌아가는 푸른바다거북
동아일보
l
2015.10.29
지난해 가을 부산과 경남 거제 앞바다에서 각각 그물에 걸린 채 발견된 국제적
멸종
위기종인 푸른바다거북 2마리가 28일 오전 부산 해운대해수욕장을 통해 바다로 돌아가고 있다. 국립해양생물자원관과 부산 아쿠아리움은 푸른바다거북의 이동 경로와 서식 형태 등을 분석하기 위해 인공위성 ... ...
지구 최북단 영구동토 탐험… 맘모스 세포 찾아 인류기원 밝힌다
2015.10.23
연구팀의 조명신 연구원은 “공룡을 비롯한 고대 생물은 대부분 인류가 존재하기 전에
멸종
했지만 매머드는 인간과 동시대에 살았다”며 “인간이 매머드를 사냥해 식량으로 삼기도 한 만큼 매머드 연구를 통해 인류의 뿌리를 추적할 수 있다”고 말했다. 연구진은 이달 17일 인천 부두에 정박한 ... ...
이전
69
70
71
72
73
74
75
76
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