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투영
반영
반향
영향
성찰
고찰
숙고
뉴스
"
반사
"(으)로 총 956건 검색되었습니다.
남극 하늘의 신비한 파란 구름 ‘화제’
팝뉴스
l
2016.12.07
구름을 만든 주역은 햇빛이다. 태양빛이 얼음 알갱이들의 밀집된 층들을 통과하면서
반사
된 덕에 구름은 신비한 파란색을 띠게 되었다. 우주정거장에서 촬영한 신비의 야광운 사진은 수년전에 촬영된 것인데 최근 해외 SNS에서 재조명을 받으며 다시 주목의 대상이 되었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 ...
구급 대원의 대실수 ‘인터넷 화제’
2016.11.29
빠른 걸음으로 다가왔다. 그런데 너무 서둘렀다. 구급대원은 발이 걸리면서 쓰려졌고
반사
적으로 팔을 뻗었다. 그 결과 비극적인(?) 상황이 벌어진다. 들것이 누워 있던 부상자의 얼굴과 복부 등을 덮친 것이다. 부상자와 구급대원은 하나가 되었고 부상자는 괴로운 듯 몸을 뒤튼다. 구급대원은 ... ...
"인공지능, 번역하고 사진 앨범 정리까지"
포커스뉴스
l
2016.11.29
' 앱이 소개됐다. 최근 구글의 독립형 앱으로 출시된 포토스캐너는 스캔하는 사진의
반사
광을 제거해 오래된 필름 사진도 고품질의 디지털 사본으로 만들어준다는게 회사 측 설명이다. 특히 머신러닝 기술을 적용해 스캔한 사진의 가장자리를 감지하고, 이미지를 올바른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등 ... ...
스마트폰으로 사진작품 만들고 가구 치수를 잴 수 있다면?
포커스뉴스
l
2016.11.28
제품 주요 사양으로는 △디스플레이 6.4인치·QHD(1440x2560)·햇빛이나 조명
반사
등 조명 조건에 따라 화면 밝기 조정 가능 △카메라는 16메가픽셀 후면 카메라·8메가픽셀 전면 카메라·0.3초의 초고속 포커스 속도 △디자인은 8.9mm 두께 알루미늄 소재·일체형 지문 인식기(후면 ... ...
차세대 우주망원경 ‘제임스 웹’ 마침내 완성
2016.11.28
우주망원경(허블)’의 뒤를 이을 차세대 관측장비다. 완전히 펼쳤을 때 직경 6.5m의
반사
경 18개로 이뤄져 테니스장 보다 크다. 허블보다 2.7배 큰 크기로 7배 많은 빛을 모을 수 있다. 로켓에 탑재하기 위해 접힌 채 쏘아 올렸다가 우주에서 펼쳐지도록 설계됐다. 제임스웹이란 이름은 허블 발사를 ... ...
스코틀랜드에서 희귀한 하얀 무지개 ‘포착’
2016.11.24
속에서 만들어진 무지개여서 ‘안개 무지개’로도 불린다. 안개 속의 물방울에 햇빛이
반사
되면서 무지개가 생겨나는데, 물방울 크기가 아주 작아 무지개의 색깔이 옅어진다. 그러니까 완전히 하얀 것이 아니다. 무지개의 바깥 경계는 약간 붉고 안쪽 경계는 푸른색을 띤다. ※ 편집자주 ... ...
입자물리, 유체역학까지 동원… 과학자의 집회인원 계산법
2016.11.23
작은 영역을 잘라낸 뒤, 이 SW가 촛불의 개수를 정확히 세는 것을 확인했다. 건물 유리에
반사
된 불빛은 후처리를 통해 뺐다. 이를 통해 한 장의 사진 속에서 확인한 촛불 수는 1만8000개였다. 박 교수는 촛불을 든 사람 대비 촛불을 들지 않은 사람의 수를 1~2배로 가정했다. 이 경우 사진에 보이는 ... ...
고릴라와 도마뱀 ‘눈길’
2016.11.22
사진은 왠지 모를 긴장감을 일으킨다. 거구의 고릴라가 도마뱀을 해치지지 않을까
반사
적으로 걱정하게 된다. 사진 공개자에 따르면 위 사진은 미국 샌디에이고 동물원에서 촬영한 이미지다. 어디선가 도마뱀이 나타났고, 고릴라 앞에서 얼어붙은 듯 가만있었다고 한다. 고릴라는 조심스럽게 ... ...
화산으로 떨어지는 유성 ‘포착’
2016.11.19
조화를 이루었다. 그런데 사진은 데칼코마니 같다. 화산과 유성의 모습이 깨끗한 호수에
반사
되었던 것이다. 우리가 모르는 사이에서 자연은 끊임없이 예술 활동을 하고 ‘매직’을 만들어낸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 ...
표범의 추억
2016.11.08
지각하고 신경신호를 전달하는 유전자들이 많이 속해 있어서 역시 사냥에 필수적인 빠른
반사
반응이 생존에 결정적임을 시사하고 있다. 반면 소과에서 냄새를 맡거나 인지기능에 관여하는 유전자들이 잘 보존돼 있어 식물의 독에 대한 방어메커니즘이 중요함을 알 수 있다. 한편 고양잇과에 속하는 ... ...
이전
69
70
71
72
73
74
75
76
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