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파멸
분열
파괴
황폐
분해
파산
파손
뉴스
"
붕괴
"(으)로 총 778건 검색되었습니다.
지층 파괴 없이 가스하이드레이트 생산한다
2014.10.27
기술을 개발했다. 그동안 하이드레이트 안에서 메탄가스를 꺼내면 하이드레이트층이
붕괴
돼 해저 지반이 침하하고 해저 생태계가 파괴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흔 KAIST 생명화학공학과 교수팀은 해저에 묻혀 있는 하이드레이트층 안에서 메탄가스를 꺼낼 때 공기를 주입하는 맞교환 방식을 ... ...
뱀이 모래언덕 어떻게 기어오르나 보니
2014.10.12
조 멘델슨 애틀란타 동물원 연구소장은 “이번 연구 결과를 활용하면 외계 행성과 건물
붕괴
현장, 고고학 탐사 현장처럼 열악한 환경에서 자유롭게 움직이는 로봇을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사이언스’ 10일자에 발표됐다. ... ...
네안데르탈인은 언제 사라졌을까
2014.09.22
거의 일정하게 일어난다고 볼 수 있다. 탄소14는 불안정한 동위원소로 결국 질소14로
붕괴
되는데(이때 전자와 반뉴트리노가 나온다) 반감기가 약 5730년이다. 이렇게 만들어진 탄소14는 대기중에서 산소와 반응해 이산화탄소가 되고 식물에 흡수된다. 결국 살아있는 동식물은 대기중의 탄소14 비율을 ... ...
“당신이 마신 물-와인에도 방사능… 과도한 공포심 버려야”
2014.09.11
방사성탄소도 함께 들락거린다. 생물체가 죽으면 이때부터 체내에 축적된 방사성탄소가
붕괴
하면서 그 양이 줄어들기 시작한다. 와인에서도 이 방사성탄소가 검출돼야 와인이 포도로 만들어졌다는 사실이 증명되는 셈이다. ―2011년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태는 방사능의 위험성을 보여준 사례 ... ...
석촌 싱크홀, 지하철 9호선 공사 탓?
2014.08.14
볼 수 있어 확실하지만 현실적으로 광범위한 지역을 모두 조사할 수 없고 시추 과정에서
붕괴
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점에서 조심스럽다. 일반적으로는 지표투과레이더(GPR)를 활용하는 방법이 많이 쓰인다. 싱크홀이 발생할 수 있는 지반에서 흙 입자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고 밀도가 낮아져 강도가 ... ...
사고만큼 두려운, 반복되는 그날의 기억
2014.07.16
사고 및 재난 등의 외상 발생 위험이 급증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만 해도 삼풍백화점
붕괴
, 성수대교
붕괴
, 대구 지하철 사고, 최근에는 세월호 참사까지 대형 사고 및 재난이 끊이지 않고 있다.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란 심각한 외상을 보거나 직접 겪은 후에 나타나는 불안장애다. 외상적 ... ...
존 벨, 아인슈타인과 보어가 발견하지 못했던 것을 발견한 물리학자
2014.07.14
수 없다’는 게 정리의 요지다. 벨의 사고실험은 스핀이 0인 입자가 자발적으로
붕괴
하면서 두 개의 전자 A와 B가 만들어지는 상황이다. 스핀은 보존되므로 한 전자가 스핀-업(+1/2)이면 다른 전자는 스핀-다운(-1/2)이어야 한다. 벨은 두 전자가 충분히 멀어진 뒤 개별 전자의 양자 스핀을 측정할 때 ... ...
러, 신형우주로켓 시험발사 성공… 우주산업 부활 신호탄
동아일보
l
2014.07.14
동아일보] 러시아가 9일 소련
붕괴
이후 처음 개발한 신형 우주 로켓 ‘앙가라’의 시험발사에 성공했다. 시베리아의 강 이름을 딴 앙가라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추진하고 있는 러시아 우주산업 개혁의 핵심이다. 러시아 국방부에 따르면 앙가라 1.2PP는 그리니치표준시(GMT)로 이날 ... ...
나로호와 사촌 우주로켓 ‘앙가라’ 살펴보니
과학동아
l
2014.07.13
‘앙가라’가 시험 발사에 성공했다. 러시아연방우주국(RSA)은 9일(현지시간) 구 소련
붕괴
이후 처음 개발한 신형 우주 로켓 앙가라의 시험발사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시베리아 동토 지역에 흐르는 강의 이름을 딴 앙가라는 러시아가 새롭게 추진하고 있는 러시아 우주산업 개혁의 상징이다. ... ...
마요라나 입자를 아시나요
과학동아
l
2014.06.08
때문이다. 연구팀은 이
붕괴
가 일어나는 반감기를 1.1x1025년 정도로 예상했는데, 실제 이
붕괴
의 반감기는 이보다 더 낮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EXO 200 연구진은 ‘nEXO 공동연구팀’으로 후속 연구를 이어갈 예정이다. 2003년부터 EXO 200 공동연구팀에 합류했으며 nEXO 실험에도 참여할 ... ...
이전
69
70
71
72
73
74
75
76
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