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달걀
계란
난자
알맹이
난세포
알집
알찝
뉴스
"
알
"(으)로 총 4,327건 검색되었습니다.
"누리호 발사 성공 기준은 초속 7.5km 700km 상공에 위성 올려놓는 것"
동아사이언스
l
2022.06.21
있다. 위성의 고유 번호인 비콘 수신은 4~5시간 지난 후에 남극 세종기지에서 교신하면서
알
수 있다. 위성이 제대로 작동하는지 여부는 18 시간이 지난 22일 오전 10시 대전 지상국과 교신하면서 확인할 수 있다. 누리호의 3단에 설치된 텔레메트리 정보를 입수해서 정확한 고도에서 정확한 속도로 ... ...
"성공 기원" 누리호 발사 직관하러 고흥으로
연합뉴스
l
2022.06.21
그는 "아이들이 누리호 미니어처를 다 만들어보고 나로호가 왜 실패했는지 다
알
정도로 관심이 많다"며 "아이들이 좋아하다 보니 발사 현장에 꼭 데려오고 싶었다"고 말했다. 일찍부터 텐트나 돗자리를 깔고 명당을 선점한 관람객들은 미리 준비해온 음식을 먹거나 휴식을 취하며 누리호 발사 ... ...
중국 연구팀 "외계신호 포착"주장에…천문학자들 "인간이 만든 무선신호 오인한 것"
동아사이언스
l
2022.06.19
많은 위성이 생기고 있다”며 “간섭이 어떻게 데이터에 침투해 데이터를 망가뜨리는지
알
수 없는 만큼 발견에 흥분하기 더 쉬울 것”이라고 말했다. 중국 연구팀도 이 신호가 전파 간섭일 가능성이 크다고 언급했다. 장 교수는 과기일보에 “의심스러운 신호가 일종의 전파 간섭일 가능성도 ... ...
[표지로 읽는 과학] 고도에 적응하는 식물 유전자
동아사이언스
l
2022.06.18
상징하는 만년설이 쌓인 봉우리들이 보인다. 안데스산맥에 자리잡은 해발 5319m의
알
타르 산 같은 극한 고도는 생명체들에겐 도전의 장소다. 고도가 높아질수록 산소가 부족하고 온도도 떨어지기 때문이다. 하지만 식물들은 극한 고도에 적응하면서 생명을 이어가고 있다. 꽃을 피우는 ... ...
[프리미엄 리포트] 태양계 끝 소외된 행성 ‘천왕성’의 재조명
2022.06.18
천왕성의 고리. 인류는 보이저 2호의 관측으로 천왕성이 고리, 위성 등이 있다는 사실을
알
게 됐다. 미항공우주연구원 제공 ○ 시속 900km 강풍, 영하 224°C 얼음 세계 보이저 2호는 천왕성 주위에 오래 머무르지 못했다. 8만 1500km 거리까지 접근했다가 다시 서서히 멀어져 간 것이 전부다. 이후 보이저 ... ...
모기 탈피 막아 성체로 못 자라게 하는 새 퇴치법 개발
연합뉴스
l
2022.06.16
살충제를 사용하지 않고 불임 상태로 만든 수컷 모기를 방사해 암컷이 부화할 수 없는
알
을 낳게 하는 방법도 존재하지만 다양한 시나리오에서 모기에 대처할 방안을 개발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연구팀은 강조했다. 야마나카 부교수는 "모기를 멸종시키는 것은 불가능하다"면서 "지구온난화로 ... ...
WHO “원숭이두창, 공중보건에 실질적 위험...내주 비상사태 선포 논의”
동아사이언스
l
2022.06.16
유럽 지역 감염자들 중 사망자는 아직 없다. 감염자 증상도 대부분 경미한 것으로
알
려졌다. 그러나 감염자와 밀접 접촉한 사람은 최소 21일 동안 격리해야 한다. 클루지 책임은 “올 여름 유럽에서 진행되는 행사나 축제, 모임 등으로 원숭이두창 확산이 가속화할 우려가 있다”며 질병에 대한 ... ...
[일문일답] 누리호 2차 발사 잠정 연기 "기체 열어봐야 향후 일정
알
수 있어"
동아사이언스
l
2022.06.15
몇가지 확인하는 작업을 거쳐야 한다. 그 다음 후속 작업을 어디를 어떻게 진행할 지
알
수 잇다. 장비가 하나가 이상하면 빠르게 대응할 수 있다. 조금 더 복잡하면 예상보다 기간이 길어질 수도 있다. 실제 확인해봐야 안다. Q 센서에 어떤 이상이 생겼나 센서값이 잘못 나오고 있다. 산화제 ... ...
[누리호 타고 우주로]②초소형위성 최초 지상 촬영 도전하는 '랑데브'
동아사이언스
l
2022.06.13
보이지 않아도 내부에 어떤 광물이 있는지, 농업 분야에선 수확물이 얼마나 상했는지도
알
수 있다”고 말했다. 초소형위성 랑데브 비행모델의 모습이다. 한쪽 면에 방효충 교수의 얼굴을 그려놓았다. 방효충 교수 연구실 제공 통신 중계(RAN·Repeater Arrangement)와 재난 감시(DEV·Disaster Early View)에서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지나치게 걱정이 많은 사람에게
2022.06.11
괜찮은 사람》, 《나를 사랑하지 않는 나에게》를 썼다. 삶에 도움이 되는 심리학 연구를
알
기 쉽고 공감 가도록 풀어낸 책을 통해 독자와 꾸준히 소통하고 있다. 온라인에서 '지뇽뇽'이라는 필명으로 활동하고 있다. 현재 미국 듀크대에서 사회심리학 박사 과정을 밟고 있다. ... ...
이전
69
70
71
72
73
74
75
76
77
다음
공지사항